검색결과 필터

[전체] “거관법”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한 직종에 주어진 한품(限品)과 근무연한을 마치고 다른 직종으로 옮기는 법제. [내용] ‘사만거관(仕滿去官)’이라고도 한다. 예컨대, 경갑사(京甲士)의 경우 사만 62일에 가계(加階)하고 종4품에 거관하여 그 관품에 해당하...
    이칭별칭사만거관(仕滿去官)
  • 천문관(天文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7품직을 수여하였으며, 원래 관품을 가지고 있던 자에게는 4계를 더 올려 주었다. 천문관은 기본적으로 한품(限品)에 의해 관로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법규상으로는 최고 정3품 당하관까지 올라갈 수 있었다[『세종실록』 19년 2월 10일]. 그들은 당상관으...
    관련어음양관(陰陽官), 관상감(觀象監), 천문학(天文學), 음양과(陰陽科)
  • 의과(醫科)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실제 운영에서는 합격자를 의과·음양과·율과 순으로 배출하고 있어 의과가 중요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의관은 한품(限品)에 의해서 관로가 제한되어 계속적인 승진이 보장되지 않았다. 법규상으로는 최고 정3품 당하관까지 올라갈 수 있었다. 하지만 규정과 달리 실제...
    상위어잡과(雜科) | 관련어의과초시(醫科初試), 의과복시(醫科覆試), 전의감(典醫監), 의관(醫官)
  • 고만(考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 1하에 중이 2번 연속되면 파면하고 중이 사이사이 2번인 등은 자급을 그대로 두게 하였다[『세종실록』 26년 11월 6일]. 또 일반 관료는 물론 서리의 경우에도 고만제가 운영되었는데, 1403년(태종 3)에 제정된 이전(吏典)의 고만(考滿)이 이를...
  • 의관(醫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품계와 같을 경우에는 1계를 또 올려 주었다. 참고로 양반들이 응시하던 문과의 경우 1등 합격자에게는 정7품직을 수여하였으며, 원래 관품을 가지고 있던 자에게는 4계를 더 올려 주었다. 의관들은 기본적으로 한품(限品)에 의해 관로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동의어의원(醫員) | 관련어의과(醫科), 전의감(典醫監), 내의원(內醫院), 혜민서(惠民署), 활인서(活人署)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 직종에 주어진 한품과 근무연한을 마치고 다른 직종으로 옮기는 법제. 거관한 뒤에도 그 직종에 계속 근무하기를 원하는 사람에게는 사만일수를 늘려 일정한 한품에 이를 때까지 계속 근무할 수 있게 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