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객주” 에 대한 검색결과 5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6)

사전(13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 모든 상인에게 유통시키는 위치에 있는, 초기의 자본가계급에 속하는 우리 나라 고유의 좌상(坐商)이다. 보부상(褓負商)이 유통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직접 소비자들과 상대하는 우리 나라 고유의 행상인 것과 대조된다. 는 객지에서 장사하는 여러 상인들의 주인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이나 잔학성, 음모에서 주로 긴밀성을 얻도록 한 것은 문제로 남는다 할 것이다. 그리고 한말의 농민운동‧의병운동 등 큼직한 역사적 사건과의 관련성이 희박한 점도 문제가 된다고 할 것이다. 과거의 재생과 현재적 삶의 완성-와 타오르는 江을 중심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79년 6월부터 1983년 2월까지 《서울신문》에 연재된 김주영(金周榮, 1939- )의 역사소설.
    정의1979년 6월부터 1983년 2월까지 《서울신문》에 연재된 김주영(金周榮, 1939- )의 역사소설.[한국현대문학대사전] | 문광부표기Gaekju | MR표기Kaekch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조선시대 물건의 위탁 판매, 거간 및 그에 부수되는 기능을 담당한 중간 상인.
    정의고려‧조선시대 물건의 위탁 판매, 거간 및 그에 부수되는 기능을 담당한 중간 상인.[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aekju | MR표기kaekch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조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76년 개항 이후에 들이 그들의 상권을 유지하기 위해 결성한 동업 조합. [개설] 개항기에는 상회(商會)‧상회사(商會社)‧상법회사‧상회소(商會所)‧상회소‧상법회사 등으로 일반 상인들의 상회사(합자회사)와 구별되지 않은 채
    이칭별칭상회|상회사|상법회사|상회소|객주상회소|객주상법회사

고서·고문서(230)

  • 17743 B017743 경제산업 中京誌 卷之七 題詠 本朝 銜遣情吟浩浩談笑語喃喃短景誠堪愛高懷自莫緘金鞍催窈窕珠履上嶄巖谷鳥驚歌板晴嵐逐舞衫霜毛欺鵠鷺玉骨闘松杉紅日芳樽倒蒼崖醉墨鑱佳名傳萬古應伴不亡凡]閔思平詩[千尺雲根聳北山古賢遺跡畫應難自從相國題詩後多少行人指點看]李穀禮成...
    출처전거中京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744 B017744 경제산업 全羅道邑誌 扶安縣輿地勝覽(邑誌) 扶安縣 題詠 入村逢燕社李奎報詩分憂無暇日乘馹走平原是處花迷路誰家竹鎖園藤纏扶倒蔓視仆露孤根逸駕如鞭鶴輕裝可趁猿湖天春霧暗巒店瘴雲溫苔活添新潮狂過舊痕云云望海問鼇審古堰晨開閘空城晝掩門郡胥迎道路邑宰出開樽役役皆王...
    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745 B017745 경제산업 忠淸道邑誌 扶餘縣邑誌 扶餘縣 樓亭 ... 昔㓛銘字半銷霜重海山初下葉日沈官渡晩生潮盈樽美酒非無分奈此逢秋两鬂凋 觀察使坡谷李誠中題鑑古楼詩曰古國留殿鑑新亭瞰椘墟人亡何处獄草沒正言閭聖世還吾軰清歡屬歲餘百年尋勝迹知復是誰歟 東岳李安訥詩曰夏日青竜...
    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746 B017746 경제산업 新增東國輿地勝覽 黃海道 開城府上 人物 ... 去其夫悔作是歌婦人去時粧束甚固頭綱欲亂之不得舟至海中盤旋不行卜之曰節婦所感頭綱還之婦亦作歌○李奎報詩江岸人稀白鷺飛漁翁日暮得魚歸輕雲薄薄那成雨海氣干天偶作霏○李穀詩河海東流想禹功南 檣北楫遠相通何人...
    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747 B017747 경제산업 新增東國輿地勝覽 全羅道 扶安縣 題詠 社 李奎報詩分憂無暇日乘馹走平原是處花迷路誰家竹鎖園藤纏扶倒蔓槐仆露孤根逸駕如鞭鶴輕裝可趁猿湖天春霧暗蠻店瘴雲溫苔活添新暈潮狂過 舊㾗云云望海問龞番古堰晨開閘空城晝掩門郡胥迎道路邑宰出開樽後後皆王事陶陶亦聖恩...
    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

  • 방학중과 집 주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방학중이 이야기에는 추한 방면의 것도 많다고 했다. 그런 것을 해달라고 했더니, 이 이야기를 하는 것이었다. *
    조사일시1980-06-08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덕곡동 | 제보자서두석
  • 생활하면 서 이순식이가 볼 때가 제일 컸어. 그 양반이 미국 사람들이랑 알았거든.)(청중 3 : 기석이 작은아버지가 봤잖아.) [조사자 : 가 뭐예요?] 장에 위탁해 주는 물건을 팔아주고서 수수료 먹는 것이 여.(청중 1 : 고기 잡아오면 팔아주겠
    조사지역충남 보령 | 조사일2014년 4월 11일

기초학문(13)

  • 근대 이행기 서울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우용, 게재일 : 2005
    34388 전우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5 근대 이행기 서울의 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조선후기 旅人 및 旅人權 재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69204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2 조선후기 旅人 및 旅人權 재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19세기말 서울 동막 의 미곡 거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성찬, 게재일 : 2016
    62746 홍성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19세기말 서울 동막 의 미곡 거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한말 서울 東幕 의 米穀 반입과 재래 船運業 -업체 ‘東泰元’의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성찬, 게재일 : 2009
    25396 홍성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연구회 2009 한말 서울 東幕 의 米穀 반입과 재래 船運業 -업체 ‘東泰元’의 자료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한말 일제초 서울 동막 의 정미업 진출과 경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성찬, 게재일 : 2013
    53413 홍성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제사학회 2013 한말 일제초 서울 동막 의 정미업 진출과 경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28)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조합설립(남포) 1916년 5월23일 진남포 진남포 진남포 원 상업회의소에서 조합을 설립하고 조합장 임우돈 등...
    대표표제어객주조합설립(남포) | 연월일1916년 5월23일 | 지역진남포
  • 洪在範(仁川物産組合)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洪在範(仁川物産組合) 인천 洪在範 仁川物産組合 - - 동업조합 - - -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洪在範(仁川物産客主組合)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本人이陰曆八月一日營業을繼續開始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이陰曆八月一日營業을繼續開始오니知舊間照熙亮옵 南門外屈井洞郭泰鉉字聖三 告白
    게재일1906년 9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이陰曆八月一日營業을繼續開始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이陰曆八月一日營業을繼續開始오니知舊間照熙亮옵 南門外屈井洞郭泰鉉字聖三 告白
    게재일1906년 9월 20일 | 기사분류광고
  • 本月十五日夜에木浦金亨淑家에셔朴鳳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月十五日夜에木浦金亨淑家에셔朴鳳熙畓長城郡南一面月谷坪六石十二斗落과外東面新基坪十石四斗五升落公文과踏印量案文一張과朴均協젼刻圖章을逢賊얏스니內外國人은此文蹟과圖章을施行치마시오 全南長城郡 朴鳳熙 고
    게재일1906년 2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11)

  • 발해대사가 발해로 떠났으나 표착하여 복량진에 안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 발해 일본→발해 【번역】 (9월) 무술(20일) (…) 송발해객사 무생조수(武生鳥守, 다케후노토리모리) 등은 밧줄을 풀어 바다로 들어갔다. 갑자기 폭풍을 만나 능등국(能登國, 노토국)에 표착하였다. 는 겨우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 바로 복량진(福良津...
    대표표제어발해대사가 발해로 떠났으나 표착하여 복량진에 안치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72년(壬子/신라 혜공왕 8/발해 문왕 大興 36/唐 代宗 大曆 7/日本 光仁天皇 寶龜 3)
  • 발해대사가 발해로 떠났으나 표착하여 후쿠라진(福良津)에 안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3) 발해 일본→발해 【번역】 (9월) 무술(20일) (…) 송발해객사 다케후노 토리모리(武生鳥守) 등은 밧줄을 풀어 바다로 들어갔다. 갑자기 폭풍을 만나 노토국(能登國)에 표착하였다. 는 겨우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 바로 후쿠라진(福良津)에 안치하였다...
    대표표제어발해대사가 발해로 떠났으나 표착하여 후쿠라진(福良津)에 안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72년(壬子/신라 혜공왕 8/발해 문왕 36 大興 36/唐 大曆 7/日本 寶龜 3)
  • 발해 대사 양성규가 장객사를 통해 천황 및 황태자에게 사헌물을 전달하고자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天皇及皇太子 掌客使奏狀 有詔許之 內裏東京賽物有數 是日 勅 遣民部少甫兼東宮學士從五位下橘朝臣廣相賜客徒曲宴 遣兵部少輔從五位下兼行下野權介高階眞人令範賜御衣 具醉 興成賦時 (『日本三代實錄』 21 淸和紀) 【원문】 (五月)廿四日癸巳 大使楊成規從掌客使請 私以壤奠 將奉獻天皇及皇...
    대표표제어발해 대사 양성규가 장객사를 통해 천황 및 황태자에게 사헌물을 전달하고자 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72년(壬辰/신라 경문왕 12/발해 현석 3/唐 咸通 13/日本 貞觀 14)
  • 고려사신에게 서위하고 자치를 베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福正三位 副使李能本正四位上 判官楊懷珍正五位上 品官着緋達能信從五位下 餘各有差 賜國王及使傔人已上祿亦有差 宴五位已上及蕃客 奏唐樂於庭 賜五位已上 祿各有差 (『續日本紀』 24 淳仁天皇 天平宝字7年 正月 庚戌)
    대표표제어고려사신에게 서위하고 자치를 베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63년(癸卯/신라 경덕왕 22/발해 문왕 27 大興 27/唐 寶應2·廣德1/日本 天平寶字 7)
  • 발해 사신 왕문구 등이 타구(격구)를 즐기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녹을 차등있게 내려 주었다. (『類聚國史』 194 殊俗 渤海 下) 【원문】 正月戊申 於豐樂殿 宴五位已上及蕃客 奏踏歌 渤海國使王文矩等打毬 賜綿二百屯爲賭 所司奏樂 蕃客率舞 賜祿有差 (『類聚國史』 72 歲時 3 踏歌) 【원문】 (正月)戊申 御豊樂殿 宴五位已上及蕃踏歌...
    대표표제어발해 사신 왕문구 등이 타구(격구)를 즐기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22년(壬寅/신라 헌덕왕 14/발해 宣王 建興 5/唐 長慶 2/日本 弘仁 13)

주제어사전(6)

  • / [사회/사회구조]

    상인의 물건을 위탁받아 팔아주거나 매매를 거간하며, 여러 가지 부수 기능을 담당한 중간상인. 의 주된 업무는 매매를 위탁하는 주선으로서, 현재의 〈상법〉에서는 주선행위에 속하는 ‘위탁매매인(委託賣買人)’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제도는 다른 나라에도 있으나, 우리

  • / [문학/현대문학]

    김주영(金周榮)이 지은 장편소설. 1979년 6월부터 1982년 2월까지 4년 9개월 동안 1,465회에 걸쳐 『서울신문』에 연재된 대하소설이다. 이 작품은 19세기 후반기 한말의 상인 사회를 중심으로 사회적 변동을 입체적으로 투시한 작품으로서, 보부상·노비, 타락한

  • 놀이 / 留 [생활/민속]

    한쪽 끈의 고리에 있는 구슬을 다른 쪽 끈의 고리로 옮기는 놀이. 유 놀이는 혼자서 궁리하면서 하는 놀이로, 어른 뿐만 아니라 아이들도 누구나 즐길 수 있으며, 때와 장소에 큰 구애를 받지 않으므로 널리 행하여졌다. 또, 혼자서도 하지만 여러 명이 경쟁적으로 놀기

  • 거간 / 居間 [사회/사회구조]

    타인간의 상행위의 중개 및 토지와 가옥의 매매·임차·전당의 중개를 직업으로 삼는 중간상인. 거간의 주거하는 장소가 집의 내부인가 외부인가에 따라 내거간(內居間)과 외거간(外居間)으로 나누어진다. 내거간은 의 사용인으로 일체의 업무를 담당, 처리하는 임무를 가지

  • 복덕방 / 福德房 [사회/사회구조]

    토지나 건물 등 부동산의 매매·대차·교환을 위한 중개나 대리 사무를 해주는 곳. 복덕방의 기원은 고려시대 이후의 ()와 거간(居間)에서 찾아볼 수 있다. 란 원래 객상주인(客商主人)이라 하며 거래를 알선하는 일종의 위탁매매업자를 뜻한다. 가운데 타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