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개화사상” 에 대한 검색결과 1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6)

사전(13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 새로운 것으로 백성을 변하게 하여 풍속을 이룬다는 뜻이다. 은 19세기 중엽의 민족적 위기를 당해 나라와 백성을 자주적으로 근대화하고 변혁해서 진보한다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한국의 은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계승하고, 중국으로부터 들여 온...
  • 변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개항기에 김옥균(金玉均, 1851-1894) 등이 일본의 메이지유신을 모델로 체제 변혁을 도모했던 급진적인 개혁사상.
    정의개항기에 김옥균(金玉均, 1851-1894) 등이 일본의 메이지유신을 모델로 체제 변혁을 도모했던 급진적인 개혁사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byeonbeop gaehwa sasang | MR표기pyŏnpŏp kaehwa sas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개화사연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이광린(李光麟)이 지은 한국 근대사 논저. [개설] A5판. 296면. 1969년 일조각(一潮閣)에서 발간하였다. 이 논저는 11편의 논문이 ① 연구, ② 개화운동 연구, ③ 개화기의 인물과 그 활동의 3주제로 구성되어
  • 유길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56(철종 7)∼1914. 조선 말기의 가ㆍ정치가. [개설]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성무(聖武), 호는 구당(矩堂). 서울 출신. 아버지는 진사 유진수(兪鎭壽)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아버지와
    이칭별칭 성무(聖武)| 구당(矩堂)
  • 유홍기(劉鴻基)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6508 인물 유홍기(劉鴻基) 유홍기 劉鴻基 1831 ? 조선 말기의 가. 자는 성규(聖逵), 호는 대치(大致, 大癡) ‧ 여여(如如). 한양 출신. 역관의 집안에 태어나 한의업(漢醫業)에 종사하였다. 불교...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3)

  • 『노동야학독본(勞動夜學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되어 있다. 2. 저자 유길준은 개화 사상가, 정치가, 교육가이다. 전통 유학 교육을 받다가 박규수의 문하에 들어가 김옥균, 박영효, 김윤식 등 초기 개화파 인사들과 교류하며 실학과 을 접했다. 국비 유학생 자격으로 1881년 6월부터 약 1년 6개월 동안...
    서명 『노동야학독본(勞動夜學讀本)』
  • 『지구약론(地球略論)』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문물과 근대적 제도를 수용하는 데 지리서는 큰 역할을 하였다. 을 담고 있는 『서유견문』을 필두로, 이후 지리적 내용을 담은 교과서 형식의 『여재촬요』, 『사민필지』가 초기에 제작되었다. 한국 지리 지역 분석의 내용으로 구성된 『여재촬요』와 세계 지리 내용의 『...
    서명 『지구약론(地球略論)』
  • 『대한문전(大韓文典)』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유길준은 가이면서 정치가이고 국어학자이다. 유길준이 우리말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한자의 지나친 사용 때문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로부터 언문불일치(言文不一致)를 극복하기 위해 문전(文典)의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여러 해에 걸쳐서 우리말을 연구하...
    서명 『대한문전(大韓文典)』

기초학문(3)

  • 의 형성과 近代佛敎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상길, 게재일 : 2006
    24162 한상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불교문화연구원 2006 의 형성과 近代佛敎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실학과 의 관련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명호, 게재일 : 2000
    06130 김명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00 실학과 의 관련양상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金玉均의 에 대한 一考察 : 그 背景과 形成過程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천욱, 게재일 : 2015
    14794 박천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15 金玉均의 에 대한 一考察 : 그 背景과 形成過程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5)

기타자료(1)

  • (교육자료) 서유견문에 나타난 의 재음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자료) 서유견문에 나타난 의 재음미 (교육자료) 서유견문에 나타난 의 재음미 (敎育資料) 西遊見聞에 나타난 의 再吟味 교육 문헌 교육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오수신 | 사료철명교육제주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1)

  • / [역사/근대사]

    구한말 자주 근대화와 변혁, 진보의 사상. 한국의 은 실학자들을 바탕으로, 온건파와 급진파로 나뉘어 전개되었다. 동도서기론과 청과의 관계 설정에서 대립이 있었으며, 위정척사파와의 이념적 논쟁을 낳았다.

  • 유홍기 / 劉鴻基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가·개화운동가(1831∼?). 가. 개화운동 지도자. 1869년 한성판윤와 더불어 의 동지가 되었다. 1870년 초부터 박규수의 사랑방에서·김윤식·김옥균·박영효·유길준 등의 양반 자제들에게 을 교육하였다. 당대의 뛰어난 청년

  • 오경석 / 吳慶錫 [역사/근대사]

    조선 후기의 가·역관·서화가·금석학자(1831∼1879). 13차례나 역관으로 중국을 내왕하면서 《해국도지》·《영환지략》·《박물신편》을 비롯한 다수의 신서를 구입해 연구,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1870년 초부터는 박규수의 사랑방에서 박영교·

  • 계몽주의 / 啓蒙主義 [사회/사회구조]

    이성적 사고와 진보적 역사관을 갖고 사회를 개혁하려는 데 목적을 두었던 시대적인 사조(思潮). 우리나라의 계몽주의는 계몽사상·애국계몽운동·계몽주의문학 등 사회 전반에서 나타났으며, 실학자들과 가들에게서 계몽주의가 발견된다. 계몽주의는 근대시기를 성찰하는 데 주

  • 김좌진 / 金佐鎭 [정치·법제/국방]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89∼1930). 부유한 명문대가 출신으로 15세 때 집안 노비를 해방할 정도로 진취적 이 강하였다. 1920년 10월 20~23일 청산리 80리계곡에서 유인되어 들어온 일본군을 맞아 백운평·천수평·마록구 등지에서 3회의 격전을 전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