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개항장” 에 대한 검색결과 4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2)

사전(23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또한 외교관이 주재하고 출입외화(出入外貨)의 관세 수입처가 되었다. [연원] 은 그 이전 고대부터 존재했지만, 기록이 유실되어 대체적으로 장소와 규정 정도만 대체적으로 알 수 있는 정도이다. 고려 때 예성강 입구의 벽란도(碧灡渡)는 일찍부터 송나라와...
  • 재판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5년에 부산‧원산‧인천 등의 에 설치된 재판소. [개설] 1895년 3월 근대적인 「재판소구성법」이 공포되고, 그 해 5월 재판소 설치가 공포되었다. 이에 따라 감영‧유수영(留守營) 및 기타 지...
  • 근대신어 :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1218 가항 개장되는 이니 大船이 自由로 出入하야 개장되는 이니 대선(大船)이 자유로 출입하여 청춘 1 1914 10 51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4, 118면 ...
    출전청춘 | 계통분류 [정치경제] 무역 [과학지식] 공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1219 가항 日本國은明治初年에各에洋銀이流通을驅逐코자야 일본국은 명치 초년에 각 에 양은(洋銀)이 유통함을 구축코자 하여 朴承 희(釒熹)/ 朱定均 最新經濟學 普文社 1908...
    출전最新經濟學[普文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무역 [과학지식] 공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1220 가항 元來關稅巨萬의物品이에輻湊을待야 원래 관세는 거만(巨萬)의 물품이 에 폭주함을 기다려서 兪致衡 經濟學 미상 1907추정 198 한) :
    출전經濟學[미상] | 계통분류 [정치경제] 국제무역 [과학지식] 공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49)

  • 개항장의 영사관 설치에 관해 중국이 동의하는지 대한제국에서 문의했다는 내용.
    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연방 국립문서보관소  | 발신일1904.5.22.(6.4)
  • 외국인 영대차지권에 관한 교섭시말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일본 외무성 조약 개정 조사계에서 1909년(명치 42) 8월에 인쇄한 문건으로 조약개정 조사보고 조약 삼과에서 작성한 제12호로 작성된 문건이다. 제목은 <외국인의 영대차지권에 관한 교섭 시말>이며, 1854년(안정 원)부터 1909년(명치 32)까지 일본이 서양 각...
    분류민사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최신 원색판 이북 제일의 빛나는 청진의 봉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
    5044 P-SDK-05044-P-D-06-00 P-SDK-05044-P-D-06-00-1 P-SDK-05044-P-D-06-00-2 최신 원색판 이북 제일의 빛나는 청진의 봉투 VIEWS OF SEISIN 북조선 제일 청진을 소개...
    자료명최신 원색판 이북 제일의 개항장 빛나는 청진의 봉투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陳樹棠 : 訴訟 2-釜山華商德興號控日本官(1)(부산의 華商 德興號가 일본의 관리를 고소함) [<駐朝鮮使館檔> 소송 안건의 탈초, 정본화 및 DB화 | 고려대학교]
    작성기관總理各國事務衙門 | 분류진수당 소송(陳樹棠 訴訟) | 주제어통상관련 소송, 贸易诉讼, 貿易訴訟, 중국 상인과 일본 관리의 충돌, 개항장에서의 청과 일본의 경쟁
  • 陳樹棠 : 訴訟 3-釜山華商德興號控日本官(2)(부산의 중국 상인 德興號가 일본의 관리를 고소함) [<駐朝鮮使館檔> 소송 안건의 탈초, 정본화 및 DB화 | 고려대학교]
    작성기관總理各國事務衙門 | 분류진수당 소송(陳樹棠 訴訟) | 주제어통상관련 소송, 贸易诉讼, 貿易訴訟, 중국 상인과 일본 관리의 충돌, 개항장에서의 청과 일본의 경쟁

기초학문(14)

  • 으로서의 부산항과 기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정숙, 게재일 : 2011
    58584 송정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학국기록관리학회 2011 으로서의 부산항과 기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으로서의 부산항과 기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정숙, 게재일 : 2011
    58624 송정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기록관리학회 2011 으로서의 부산항과 기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공간의 조직과 근대성의 표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주관, 게재일 : 2006
    02807 김주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문화학회 2006 공간의 조직과 근대성의 표상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목포 상인층의 존재양태와 그 성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이준, 게재일 : 2007
    05581 박이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문화학회 2007 목포 상인층의 존재양태와 그 성격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목포의 海港性과 형성과정의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70352 한국연구재단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목포의 海港性과 형성과정의 특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88)

  • 鴨綠江邊의 선정 의뢰에 관한 건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문서 주한일본공사관기록 주한일본공사관기록 19 鴨綠江邊의 선정 의뢰에 관한 건 1903년 8월17일 인천 인천 일본 특명전권공사가 인천...
    대표표제어鴨綠江邊의 開港場 선정 의뢰에 관한 건 | 연월일1903년 8월17일 | 지역인천
  • 露船 北關 未에 出入의 件 (제2 보고)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문서 주한일본공사관기록 주한일본공사관기록 12 露船 北關 未에 出入의 件 (제2 보고) 1897년 5월31일 원산 원산 원산상업회의소에서...
    대표표제어露船 北關 未開港場에 出入의 件 (제2 보고) | 연월일1897년 5월31일 | 지역원산
  • 露船 北關 未에 出入의 件 (제3 보고)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문서 주한일본공사관기록 주한일본공사관기록 12 露船 北關 未에 出入의 件 (제3 보고) 1897년 6월9일 원산 원산 북관의 방곡(防穀)...
    대표표제어露船 北關 未開港場에 出入의 件 (제3 보고) | 연월일1897년 6월9일 | 지역원산
  • 露船 北關 未에 出入 件 (제6 보고)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문서 주한일본공사관기록 주한일본공사관기록 12 露船 北關 未에 出入 件 (제6 보고) 1897년 6월17일 원산 원산 러시아 선박이 북관...
    대표표제어露船 北關 未開港場에 出入 件 (제6 보고) | 연월일1897년 6월17일 | 지역원산
  • 調査次 出張간 商業會議所員의 報告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문서 주한일본공사관기록 주한일본공사관기록 21 調査次 出張간 商業會議所員의 報告 1903년 10월4일 인천 인천 압록강 일대 조사...
    대표표제어開港場調査次 出張간 商業會議所員의 報告 | 연월일1903년 10월4일 | 지역인천

기타자료(23)

  • 80. 제물포 의 많은 일본인들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80. 제물포 의 많은 일본인들 n°56 Nombreux japonais dans Le port de Tchemoulpo C, D, E, N 정치 법제, 경제 산업, 사회, 국제 문헌, 사건, 행사 근대 대한제국 고서/고문서 월미도 및...
    집필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8월 29일 | 발신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프랑스 외무부 장관
  • 24. 보호 조약 체결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24. 보호 조약 체결 n°7 Signature du traité de protectorat C, E, N 정치 법제, 사회, 국제 문헌, 사건 근대 서울 고서/고문서 보호조약 체결을 알리는 전보 보호령, 조약, 통감, , 이사관,...
    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 | 작성연도1909년 | 작성월일11월 19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전권공사 | 수신자프랑스 외무부(사본)
  • 2-3. 별첨 3―일본 정부 선언문 번역본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선언문, 한국 행정 개혁, 전권위원, 완전 병합, 조약, 행정기관, 대외무역, 마산포, , 신의주 프랑스어 5_CFD02-3.pdf (탈초)5_CFD02-3.pdf pdf 일본정부 프랑스 외무부 선언문(번역문) 1914년 8월...
    집필자일본정부 | 작성연도1914년 | 작성월일8월 30일 | 발신자파리 주재 일본 대리공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 5-2. 별첨 2―일본 정부 선언문 번역 사본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언문 번역 사본 일본국, 한국협정 체결, 선언문, 한국 행정 개혁, 전권위원, 완전 병합, 조약, 행정기관, 대외무역, 마산포, , 신의주 프랑스어(번역문) 5_CFD05-2.pdf (탈초)5_CFD05-2.pdf pdf 일본정부 프랑...
    집필자일본정부 | 작성연도1914년 | 작성월일8월 28일 | 발신자A. 제라르, 일본 주재 프랑스 대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 69. 대한제국 내 일본인 인구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실상 보고 일본인, 인구, 통계, 호구조사, 통감부, , 오차, 선교사, 여행객, 정보, 이민자, 통계, 침략 프랑스어 2_CFD69.pdf (탈초)2_CFD69.pdf pdf 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프랑스 외무부 ...
    집필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7월 11일 | 발신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프랑스 외무부 장관

연구과제(1)

  • 일본의 한국 해안측량 침탈사, 1872-1910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한철호 | 동국대학교 | 2022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0)

  • / [역사/근대사]

    처가 되었다. 은 외국 선박의 정박처이며 외국 상품의 진열장인 동시에 유행에도 민감하였다. 1906년 10월 감리서가 폐지될 때까지 대외 관계 사무의 창구 구실을 하였다.

  • 재판소 / 裁判所 [역사/근대사]

    1895년에 부산, 원산, 인천 등의 에 설치된 재판소. 1895년 3월 근대적인 '재판소구성법'이 공포, 그 해 5월 재판소 설치가 공포되었다. 이에 따라 감영, 유수영 및 기타 지방 관아에서 행하던 재판 사무를 폐지하고, 각 해당 재판소에서 수리, 심

  • 감리 / 監理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감리서의 주임관 관직. 감리는 특정한 일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감독, 관리하는 최고책임자라는 뜻이 명사화된 것이다. 종류로는 삼림, 광무, 매광, 지계, 양무, 광, 봉조, 양전 등의 감리가 있다. 대표적 존재는 주로 , 개시장(開市場)의 감리로,

  • 마산항 / 馬山港 [경제·산업/교통]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항구. 1898년 5월 개항되었다. 러시아가 남하정책에 의하여 군항으로 개발하려는 것을 영국과 일본이 이를 저지하기 위하여 개항되었다. 그러나 1913년 일본은 식민지 통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을 폐쇄시켰는데, 194

  • 제포 / 薺浦 [경제·산업/산업]

    조선시대 왜인의 무역 및 거주를 허용하였던 삼포 중 하나. 부산포와 함께 1424(세종 6)에 이 되었다. 선초에는 왜인에게 회유정책을 써서 관대하게 대우하였으나 1424년에는 부산포·내이포를 8년에는 염포를 으로 삼고 왜선의 왕래와 무역을 삼포로 제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