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개토제”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건축부지를 다룰 때도 이와 비슷한 제례를 행하는데, 땅을 다루기에 앞서 행하는 것을 라 하고 땅을 다룬 다음에 지내는 것을 평토제라 한다. 평토제는 묘의 봉분이 완성된 뒤에 지내는 것으로서 보다 제례자도 많고 성대하다. 가 유교형식으로...
  • 헐구제(歇柩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였다. [용례] 禮曹啓 宗親及大臣之卒 禮葬時祭奠 曹與儀禮詳定所同議參酌 依古制 設籩豆簠簋 行一獻三奠禮 其饌品則籩四豆四簠二簋二 啓殯先告祭 古制所無 宜革 啓殯奠 油白餠三行 卓花草具 行一獻三奠禮 祖奠遣奠上同 橋梁祭 古制所無 亦宜革 歇柩祭 卽文公家禮所謂 親朋郭外駐...
    동의어노제(路祭) | 관련어전(奠)
  • 개기(開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개기 개기 開基 착공(着工) 개토(開土), (), 모탕고사, 텃고사 문화예술/건축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시대~대한제국 태조~고종 김도경 [정의] 건물이나 성곽 등의 공사를 위해 터...
    관련어개토(開土), 개토제(開土祭), 모탕고사, 텃고사
  • 삼척시(강원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추존됨.)의 아버지 묘터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안사가 아버지의 상을 당해 묘지를 구하던 중, 한 도승이 혼잣말로 이곳이 명당이라면서 소[牛] 100마리로 ()를 지내고 관은 금으로 싸서 장사를 지내면 왕이 될 귀한 자손이 나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

고서·고문서(3)

  • 지, 연구, 신식법, 민족, 옛날, 법, 삭제, 옛날, 법, 사망, 행상, 반운제, 축문, 산, 모신, , 축문, 설명, 금년, 추도문, 한장, 황송, 그만, 옛법, 참고, 7월, 벼이삭, 꽃날, 깜은, 알, 설명, 의견, 병, 벼대공, 푸르싱싱, 벼, 이삭, 벼...
    대표표제어민족 | 성씨
  • 개이다. ○방실(方實)이 돌아왔다. 18일에 괴산(槐山)을 출발했으나 청천(靑川)을 들렀다가 비로 인해 하루를 머물렀기에 기한에 맞춰 오지 못했다고 한다. 18일을 ()무덤을 팔 때 지내는 제사날로 정했다고 한다. 수기(壽祺)의 편지에 이르기를, “노비가 너...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각민(覺敏)이 머물며 동인(桐人)을 깎아 만들었다. ○새벽에 방실(方實)을 괴산(槐山)에 보내며, 포(脯)‧젓갈‧과일‧오곡(五穀)이 든 항아리 등의 물품을 주어 전하게 했다. 수기(壽祺)‧애초(愛初) 등에게 편지를 해서 18일에 ()를 하라고 했다. 또 이득...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기타자료(1)

  • 명에서 탈상까지에는 여러 형태의 제사를 동반한다. 여기에 관련된 제사에는 성복제(成服祭), 발인제(發靷祭), 노전제(路奠祭, 路祭), 산신제(山神祭), (), 선영제(先塋祭), 반혼제(返魂祭), 삼우제(三虞祭), 졸곡제(卒哭祭) 등등이 있다. 이러한 제사들은...
    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경남고고학연구소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민간신앙]

    집터를 닦거나 묘자리를 팔 때 그 토지의 수호신인 산신이나 토지신에게 지내는 건축의례. 땅을 다루고자 할 때 먼저 그 주인이 되는 수호신의 허가를 받고자 예를 올리는 것으로 유교제례에서 의례화된 것으로 보인다.『사례편람 四禮便覽』의 상례조에서는 묘의 영역(瑩域) 공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