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개천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7)
사전(46)
- 개천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개천군] 평안남도 북단에 있는 군. 동쪽은 알일령(戞日嶺)을 경계로 덕천군과 접하고, 서쪽은 안주군, 남쪽은 순천군, 북쪽은 청천강을 경계로 평안북도 영변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5°48′∼126°10′, 북위 39°30′∼39°50′...
- 개천군(价川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개천군 개천군 价川郡 조양현(朝陽縣), 연주방어사(連州防禦使), 익주방어사(翼州防禦使), 개주(价州)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고려~조선 고려~조선 이상배 [정의] 조...관련어조양현(朝陽縣), 연주방어사(連州防禦使), 익주방어사(翼州防禦使), 개주(价州)
- 개천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9년에 편찬된 평안남도 개천군 읍지. [내용]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平安南道价川郡邑誌地圖謄本成冊(평안남도개천군읍지지도등본성책)’이라고 되어 있다. 내용구성은 진관(鎭管)‧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
- 용원동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평안남도 개천군 중남면(지금의 개천시 용원노동자구)에 있는 석회암동굴. [내용] 길이는 400m이다. 이 동굴은 1965년에 발견되었는데, 철석봉 중턱에 있는 석회암동굴로서 굴안에는 석순‧돌꽃 등 종유석이 있는데, 특히 산석...
- 개천묵방리지석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평안남도 개천군 묵방리 노동자구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군[支石墓群]. [개설] 평안남도 개천군 묵방리는 은산군과 대동강을 사이에 두고 있는 탄광마을이다. 묘향산 줄기가 남쪽으로 뻗어 내려 대동강에 이르는...
고서·고문서(106)
- 价川郡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四 平安道 价川郡 48 知郡事一人兼朔州道左翼兵馬本高麗 朝陽縣顯宗九年戊午改連州防禦使後復爲朝陽縣高宗十四年丁亥【宋 寶慶三年】以禦丹兵有功陞爲益州防禦使後改稱价州本朝太宗十三年癸巳例改今名大林山【在郡北郡人以爲鎭山】四境東距德川二十七里西距安州二十四里南距殷山二...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개천군(价川郡) 명당도(明堂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지리-지도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 현소장처안산 부곡 진주유씨 경성당
- 1907년 개천군민(价川郡民) 고소장(告訴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장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장 | 현소장처안산 부곡 진주유씨 경성당
- 1906년 개천군(价川郡) 진지하기(進支下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용하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 현소장처안산 부곡 진주유씨 경성당
- 1907년 개천군수(价川郡守) 유원성(柳遠聲) 청원서(請願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청원서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청원서 | 현소장처안산 부곡 진주유씨 경성당
신문·잡지(59)
- 민주청년_1947_1016_02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91 송군찬 평양특별시 황금리 36 민주청년사 개천군내무서, 민청 평남 개천군 개천면 은포리 1구 초급단체는 현물세 징수 협력대의 불충분한 조직과 말 못한 원인으로 현물세 납부에 많은 지장을 가지고 오든 바 지난 7일 개천군내무서 보안대원...대표표제어민주청년_1947_1016_02_02 | 책임주필송군찬
- 개벽신보_1950_0415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0년 4월 15일 733 박우천 평양특별시 상수리 319 개벽신보사 개천군, 천동광산, 개천탄광, 남조선, 중서면 개천군 천동광산 사택 녀맹원과 개천탄광 사택 녀맹 초급반에서는 지난 3월 10일 반회의를 소집하고 금번 인민의 물질문화 생활...대표표제어개벽신보_1950_0415_01 | 날짜1950년 4월 15일 | 책임주필박우천
- 투사신문_1948_1104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한효 평양시 민본리 15 투사신문사 평남 개천군 농민들은 명년도 농산물 증수를 위하여 가을가리(추경)를 광범히 전개하여 오든바 지난 10월 말로서 계획면적의 100.6%에 추경을 실시하였다. 이는 전 경지면적에 대비하여 논은 90% 이상이며 밭은...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104_02 | 책임주필한효
- 투사신문_1948_1113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평안남도 내의 금년도 추경사업은 개천군 강동군을 비롯하여 각각 승리적으로 완수하였다. 금년도의 추경실행계획 면적은 작년에 비하여 논에 있어서 642% 중 밭에 있어서 203% 중이 대확창이다. 특히 개천군은 11월 1일 현재로 102%라는 우수한 성...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113_02
- 농민신문_1947_0912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47년 9월 12일 169 최영래 양평시 근화리 18 농민신문사 익 손승삼, 형기영, 김일성 민청, 개천군 인민위원회 만기작물의 성숙에 따라 북조선 농민들의 만기작물 농업현물세 선납운동은 광범히 또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데 이에 호응하여...대표표제어농민신문_1947_0912_01 | 날짜1947년 9월 12일 | 책임주필최영래
기타자료(36)
- 이치수;李致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443 북한 평남 耶稣敎長老會神學校 耶蘇敎長老會神學生名簿表 n.r. 4면 이치수;李致洙 평안남도 개천군 읍내 동변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耶稣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녹을;高鹿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0435 남한 경성 휘문의숙 1-48 회원명부 1942―02―15 34면 고녹을;高鹿鳦 평남 개천군 북면 원리 제9회 191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의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상촌신부;桑村信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3032 북한 평남 대동공업전문학교 大同工學會會報 제1호 1942―03―01 59면 1. 회원명부;4) K 상촌신부;桑村信夫 평남 개천군 북면 龍潭탄광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대동공업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재을;金在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2080 남한 경성 보성고등보통학교 1-29 卒業記念寫眞帖 第9回 1931―03 2 임의면 1. 졸업생 김재을;金在乙 평남 개천군 朝陽面 桐林里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요섭;韓堯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2391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26면 한요섭;韓堯燮 평남 개천군 北洞 龍淵里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6)
-
개천군 / 价川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북단에 있는 군. 동쪽은 알일령(戞日嶺)을 경계로 덕천군과 접하고, 서쪽은 안주군, 남쪽은 순천군, 북쪽은 청천강을 경계로 평안북도 영변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5°48′∼126°10′, 북위 39°30′∼39°50′에 위치하며, 면적 679.19㎢, 인구
-
개천군읍지 / 价川郡邑誌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개천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간행한 지방지.읍지.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平安南道价川郡邑誌地圖謄本成冊(평안남도개천군읍지지도등본성책)’이라고 되어 있다.내용구성은 진관(鎭管)·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
-
개천군읍지 / 价川郡邑誌 [지리/인문지리]
1899년에 편찬된 평안남도 개천군 읍지.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平安南道价川郡邑誌地圖謄本成冊(평안남도개천군읍지지도등본성책)’이라고 되어 있다. 내용구성은 진관(鎭管)·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성지(城池)·관직(官職
-
개천묵방리지석묘 / 价川墨房里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평안남도 개천군 묵방리 노동자구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군[支石墓群]. 출토된 유물은 묵방리형토기[墨房里型土器], 물고기모양[魚形] 반달돌칼[半月形石刀], 간돌검[磨製石劍], 간돌화살촉[磨製石鏃] 등이 있다. 토기는 흑갈색의 간토기[磨製土器]로 젖꼭지모양손잡이
-
개천선 / 价川線 [경제·산업/교통]
평안남도 안주군의 신안주와 개천군의 개천 사이에 부설된 철도. 이 29.5km. 1914년 12월 개천철도주식회사에서 착공하여 이듬해 6월에 완공된 사설철도이다. 그뒤 1933년 4월 신안주와 천동 사이 36.9km 구간이 철도국에 매수되었다. 이 철도는 우리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