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개차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6)
- 개차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 지명으로 고칠 때 개차산군을 줄여서 개산군(介山郡)으로 하였다. 940년(태조 23) 죽주(竹州)로 고쳤고, 1413년(태종 13) 주가 붙은 고을로서 도호부 이하는 ‘산’ 또는 ‘천’을 붙이는 관례에 의하여 죽산(竹山)으로 바뀌었다....
- 죽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안성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백제의 개차산(皆次山)이었는데 신라의 경덕왕이 개산군(介山郡)으로 고쳐 한주(漢州)의 영현으로 하였다. 940년 (태조 23) 죽주로 고쳐 지주사(知州使)를 두었다. 현종 때광주(廣...
- 죽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안성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백제의 개차산(皆次山)이었는데 고구려의 장수왕이 이곳을 점령하여 개차산군으로 하였고, 신라 때 경덕왕이 개산군(介山郡)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죽주(竹州)라 하였고, 성종 때 단련사...
- 柘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黃水 關東三陟府頭陀山, 太白, 太白頭陀東, 頭陀, 東海, 湖西丹陽郡, 佳次山, 古山城, 獨樂城, 頓樂城 田汝成, 許相國, 記言 居家必用, 記言 O_18_04_05 오주연문장전산고 18권 4장 5절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8권 4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죽산부(竹山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죽산부 죽산부 竹山府 경기(京畿) 개차산(皆次山), 개산(介山), 음평(陰平), 연창(延昌), 죽주(竹州) 죽산도호부사(竹山都護府使), 죽산현(竹山縣)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김세민상위어경기(京畿) | 동의어개차산(皆次山), 개산(介山), 음평(陰平), 연창(延昌), 죽주(竹州) | 관련어죽산도호부사(竹山都護府使), 죽산현(竹山縣)
고서·고문서(14)
- 고목근현(高木根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次郡 首知縣 冬音奈縣右三邑江華高木根縣喬桐骨乃斤縣 省知買縣右二邑驪州述爾忽縣 坡害平史縣右二邑坡州唐城郡南陽南買縣利川皆次山郡竹山買召忽縣仁川主夫吐郡富平平淮押縣 童子忽縣 首爾忽縣右三邑通津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德山面銀脈, 露出, 空棄可惜, 自本曹定送算員, 産銀殘盛設店當否, 詳細摘奸, 則銀脈豐盛, 設店便好, 少無貽害之端。 而本官, 諉以嶺阨成脈, 防塞不許。 槪此産銀處, 乃是他山來脈, 與鳥嶺相距, 爲七十餘里, 本官之故爲托辭, 元非實狀, 算員旣已目見其形便, 亦以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갑비고차(甲比古次)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城郡南陽南買縣利川皆次山郡竹山買召忽縣仁川主夫吐郡富平平淮押縣 童子忽縣 首爾忽縣右三邑通津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竹山縣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四十九 忠淸道 竹山縣 56 本高句麗 皆次山郡新羅改爲介山郡高麗改爲竹州成宗十四年置團練使穆宗八年乙巳廢團鍊使顯宗戊午屬廣州任內明宗二年壬辰始置監務本朝太宗十三年癸巳例改爲竹山縣監別號陰平【淳化所定】又號延昌四境東距京畿 陽智十六里西距安城十七里南距鎭川二十一里北距陽智...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罪, 故爲先嚴囚, 具由啓聞之意, 題送矣。 今始狀聞, 蓋此山, 司僕與水營, 彼此相爭, 未及定界之前, 便是禁山也, 監色之偸斫者, 當依律定罪矣。 靈光郡守任埅, 則旣報巡營受題, 且監色之偸, 非其所知, 而以地方官之不能禁飭之罪, 則在所難免, 從重推考, 何如? 上曰, 依爲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조선인민군_1950_1209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되였다. 루―마니아 정부는 1948년 7월 산업기업소은행 보건회사 운수를 국가의 수증으로 이행함에 관한 명령을 발포하였다. 이 나라에서는 100명이상의 로동자와 사무원을 가지고 있는 기업소들의 산업이 국유로 되었다. 1947년 12월에 불가리아에서는 개차산업국유화...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1209_04 | 책임주필서춘식
기타자료(1)
- 안성 죽주산성 지표 및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고구려의 남하나 신라의 북진과 관련해서도 주목되는 산성이다. 이 당시 죽산지역에 설치되었던 개차산군 또는 개산군의 치소와 관련해서도 주목되는 산성이다. 이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정밀지표조사조차 실시되지 않고 복원이 이루어지면서 산성의 상당부분이 파괴된 것은 안...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3)
-
개차산 / 皆次山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안성 지역의 옛 지명. 김정호(金正浩)의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백제 때의 고을이라고 되어 있다. 757년(경덕왕 16) 통일신라에서 지방관제를 개혁하여 셋 혹은 넉 자로 된 고을이름을 두 자 지명으로 고칠 때 개차산군을 줄여서 개산군(介山郡)으로 하였다.
-
죽산 / 竹山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안성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개차산(皆次山)이었는데 고구려의 장수왕이 이곳을 점령하여 개차산군으로 하였고, 신라 때 경덕왕이 개산군(介山郡)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죽주(竹州)라 하였고, 성종 때 단련사를 두었으나 목종 때 폐하였다. 그 뒤 1018년(현
-
죽주 / 竹州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안성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개차산(皆次山)이었는데 신라의 경덕왕이 개산군(介山郡)으로 고쳐 한주(漢州)의 영현으로 하였다. 940년 (태조 23) 죽주로 고쳐 지주사(知州使)를 두었다. 현종 때광주(廣州)에 예속시켰으며 1413년(태종 13) 죽산(竹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