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개암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

사전(2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가화(一家花)로 3월에 피며, 열매는 9월에 익는다. 의 열매는 땅콩이나 호두의 맛처럼 고소하여 지난날에는 과일로 이용되었다. ≪세종실록≫ 지리지와 ≪경상도지리지≫에도 경상도‧전라도‧경기도‧충청도‧강원도에서 개암이 난다고 기록되어 있다. ...
  • 진자(榛子)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8246 물품도구 진자(榛子) 진자 榛子 의 열매. 개암. 는 산에 자생하며 봄에 꽃이 피고 열매는 도토리와 비슷하다. 식용과 약용으로 쓴다. 맛은 밤과 비슷하고 고소하여 먹기가 좋다. 개암을 많이 먹으면 살이 오르...
    유형분류물품도구
  • 운만대신의대군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함경북도 화대군 목진리에 있는 신의대군락지.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311호. 동쪽은 바다이고 북서남쪽은 산이 둘러 있다. 주변에서 자라는 식생은 신갈나무‧물푸레나무‧피나무‧소나무 및 등이다. 신의대의
  • 풍산왜가리번식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무‧피나무‧싸리나무‧‧진달래 등이 자라고 있다. 왜가리는 3월 중순에 와서 9월까지 번식을 한다. 한 번에 3∼5개의 알을 낳아 새끼를 기르나, 5∼6월경에 새끼가 다 자란 어미는 다시 두 번째 번식을 하기도 한다. 왜가리는 주변의 저수지와 논에서 먹이...
  • 두꺼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장선생의 말에 따라 폭포를 헤치고 들어가 별세계를 발견하고 그에게 알려 준다. 짐승들이 서로 윗자리를 다투자, 자신의 말솜씨를 이용해 윗자리를 차지하고자한다. 건넛산을 보며 눈물을 흘리다가 여우가 질책하자, 예전 자신이 반고씨 때 세 그루를 심었는데, 하나는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3)

  • 에 붉은 발진이 없는 곳이 없었다. 붉은 발진은 동전만큼 큰 것도 있고 큰 열매만 한 것도 있으며, 피부 위는 기포가 생긴 것 같기도 하고 또 불에 덴 것 같기도 해서 이루 다 형용할 수가 없다. 이 중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양손 손가락인데, 양손 모두 셋...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밤 같은 것이 올라왔다. 혹은 열매 콩알 같이 올라왔고 혹은 위로 솟지 않은 것도 있어서 그 모양이 똑같지 않다. 손가락 종통(腫痛)이 고통스러워서 다른 곳이 아픈 것을 느끼지 못할 정도라고 한다. 오늘 먹은 것은 단지 녹두죽물과 미음[元糜] 뿐이다. 밥과 흰...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유산록(遊山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구슬 한 알인데 좁쌀만 한 크기였다. 유리통(琉璃筒)에 보관하였는데, 통의 크기는 열매만 했다. 그 통을 금으로 된 곽에 넣어 솜으로 메우고, 오색 문양의 비단으로 만든 보자기로 여러번 싸서 검은 함에 넣어 두고 있다. 불전 앞에는 육각의 전각이 있는데, 그...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이명준(李命俊)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멀티미디어(1)

  • 18세기 중반 열매[榛子]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18세기 중반 열매[榛子]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383_18세기_중반_열매[榛子] 경제_1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주제어사전(2)

  • /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BL [과학/식물]

    9월에 익는다. 의 열매는 땅콩이나 호두의 맛처럼 고소하여 지난날에는 과일로 이용되었다. ≪세종실록≫ 지리지와 ≪경상도지리지≫에도 경상도·전라도·경기도·충청도·강원도에서 개암이 난다고 기록되어 있다.

  • 답동산가침박달군락 / ─群落 [과학/식물]

    ··갈매나무·산사나무·분지나무 등이 섞여 자라고 있다. 가침박달나무의 총 대수는 3만 9000대이고, 그 면적은 3㏊이다. 가침박달군락이 퍼져 있는 토양은 석회암지대에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고 모래메흙이며 토양수분과 거름기는 적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