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개성상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
사전(38)
- 개성상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조선시대 개성을 중심으로 국내 상업, 국제교역을 담당하고 축적된 상업자본을 바탕으로 인삼재배, 홍삼제조업등을 경영한 한국의 대표적 상인집단. [개설] 개성상인들은 개성부내의 상설점포인 시전(市廛)상업, 전국적 행상(行商)과 도고(都...이칭별칭송상(松商)
- 호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나라의 호산은 중국의 수마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믿어진다. 실제로 호산과 수마를 비교하면, 5와 9만 다를 뿐 나머지 숫자는 같다. 그런데 개성상인이 주로 호산을 사용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그들의 중국 접촉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 호산은 1...
- 인삼(人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일본에서는 ‘조선인삼’이라고 부른다. 조선 중기까지 인삼은 대개 야생인삼[山蔘]을 지칭했으나, 가삼(家蔘)이라고 부르는 재배삼은 17세기 말에 개성상인(開城商人)들이 재배에 성공하여 개성은 인삼재배의 중심지가 되었다. 『정조실록』에 따르면 박유철(朴有哲)이 인삼의 일...유형분류동식물
- 양대(涼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제주도에서 생산되었으며 개성·안성 등지에서도 생산되었다. 양대로 만드는 갓은 조선시대 남성의 생활필수품으로서 없어서는 안 될 품목이었다. 본래 양대의 무역에는 양대전(凉臺廛)이 중간상인으로서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19세기부터 개성상인(開城商人)이 성장하면서 양대의...상위어갓[笠子] | 동의어양태(凉太), 갓양태[笠檐] | 관련어말총[馬尾]
- 조선후기상업자본의발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파악하고 있었다는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제2장과 제3장에서는 상인을 지역별로 구분해 경강(京江)상인과 개성상인의 활동을 고찰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경강상인과 조선도고(造船都賈)>로, 수도권내의 한강 연변에 근거를 두고 있던 경강상인들의 상업 활동을 검토하...
구술자료(1)
- 김조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元町)국민학교(이후 선죽국민학교), 아주약품, 연합약품, 유유산업, 유한양행, 濟石재단, 조선일보 개성지국, 한독약품, 호수돈중학교, 훽스트(Hoechst AG), 개성상인, 개성 인삼, 고려 인삼, 고충상담처리실, 대구 남산동, 대구 장관동, 디테일 활동, 미수복지구술자김조형 | 직업사업가 | 지역경기도
기초학문(1)
- 조선 후기 개성상인의 경쟁과 상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노혜경, 게재일 : 201254469 노혜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사학회 2012 조선 후기 개성상인의 경쟁과 상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2)
- 한인상공회보_2009_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청 강연회 28 개성상인 마인드 이규태 31 황수관 박사 심천 방문기 황수관 32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2009
- 진상_1959_04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음을 올린 명사들-청년 장군 장도영 씨 나운공 23 돼지해에 첫울음을 올린 명사들-개성상인의 후예 김영찬 씨 나운공 23 내가 만난 이 대통령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9
연구결과보고서(1)
- 조선왕조 말 개성상인과 자본주의 결과보고서 [조선왕조 말 개성상인과 자본주의 | 사단법인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자료유형연구보고서
연구과제(1)
-
조선왕조 말 개성상인과 자본주의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허성관 | 사단법인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 201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
-
개성상인 / 開城商人 [역사]
고려·조선시대 개성에 근거를 두고 각종 상업 활동을 하던 상인. 개성은 고려 왕조의 수도로서 ‘송도’라고도 불리었다. 이곳은 중국 사신의 빈번한 왕래에 의한 정부 무역과 중국 상인에 의한 민간 무역이 번창한 상업 도시였다.
-
만상 / 灣商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대중국 무역 활동을 하던 의주상인. 만상은 대청 무역에 있어서 국내 최대 규모의 상인이었던 개성상인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국내외 시장을 연결하고 있었다. 만상이 중국 시장에서 상품을 구입해오면 개성상인은 국내에서 판매를 담당하는 무역 구조를 이루고 있었
-
사개치부법 / 四介治簿法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부터 주로 개성상인들이 사용했던 우리 나라 고유의 독특한 회계처리법. 사개치부법은 네 가지가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는 치부법을 말하는 것이다. 1920년대까지 사용되어 존속한 것으로 보인다. 사개치부법으로 기록된 장부는 대한천일은행의 1899년부터 1906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