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개비자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사천곤양면의비자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선시대는 곤양군청사의 정문에 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비자나무는 주목과(朱木科)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常綠針葉喬木)으로 에 비해서 훨씬 따뜻한 곳에서 자란다. 자웅이주(雌雄異株: 같은 종류의 식물에서 암‧수의 구별이 있는 것)이고 잎에 손을 대...
    연계항목사천곤양면의비자나무(泗川昆陽面의비자나무)
  • 해남연동리의비자나무숲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슴높이지름 1m 내외이다. 숲 밑에는 사스레피나무‧참식나무‧마삭덩굴‧‧남오미자‧송악‧모새나무‧보리밥나무‧자금우‧동백나무 등의 상록수종과 더불어 맥문동‧실맥문동‧춘란 등이 여기저기에서 자라고 있다. 숲의 윗가장자리에는 커다란 참식나무가 특히 눈에 띈다....
    연계항목해남연동리의비자나무숲(海南蓮洞里의비자나무숲)
  • 대둔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이 무성하고, 그 이상에는 신갈나무‧졸참나무 등 낙엽활엽수가 울창하다. 이 밖에 고채목‧돌양지꽃‧천마제비난초‧나나벌이난초 등 희귀 식물이 자생한다. [명칭 유래] 원래 대둔이라는 명칭은 ‘인적이 드문 벽산 두메 산골의 험준하고 큰 산봉우리’...
  • 덕유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리실나무 등 거목의 활엽수림과 전나무‧구상나무‧잣나무‧소나무‧노간주나무‧ 등의 침엽수림이 분포한다. 능선 지대에는 털윤노리나무‧살구나무‧자두나무‧박태기나무‧헛개나무‧달피나무 등이 자생한다. 또, 능선의 수림 지대에는 지리바꽃이나 모데미풀의 군락이 있고...
  • 서산시(충청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많다. 지질은 결정편암계(結晶片岩系)이고, 토양은 황갈색 삼림토이며, 낙엽활엽수 혼합림대에 속해 눈‧대나무류‧곰솔‧사찰나무‧줄사철나무‧굴피나무‧팽나무‧백동백나무‧단풍나무 등이 자생한다. 겨울에는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같은 위도상의 동해안 지역보다...

주제어사전(2)

  • / ─榧子─ [과학/식물]

    주목과 속에 속하는 상록 침엽 소교목. 제주도·울릉도를 제외한 경기도와 충청북도 이남에 자생한다. 나무의 지름은 5∼25㎝, 높이 5∼10m이다. 경기도 화성시 융릉에 소재한 는 천연기념물 제504호로 지정되어 있다. 잎은 나선상으로 어긋나기를 한다

  • 사천 성내리 비자나무 / 泗川 城內里─ [과학/식물]

    고 있다. 비자나무는 주목과(朱木科)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常綠針葉喬木)으로 에 비해서 훨씬 따뜻한 곳에서 자란다. 자웅이주(雌雄異株: 같은 종류의 식물에서 암·수의 구별이 있는 것)이고 잎에 손을 대면 아프게 찌른다. 의 잎은 비자나무를 닮았으나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