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개마고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4)
사전(92)
- 개마고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개마고원과 동해안 지방 간의 교통은 혜산선‧신흥선(함흥∼부전호반)‧단풍선(단천∼홍군) 등의 철도와 함흥‧황초령‧장진‧신갈파진, 함흥‧신흥‧풍산, 북청‧후치령‧풍산‧갑산‧혜산, 단천‧풍산 등지를 잇는 도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이들 도로는 신작로로 확장되기 이전부...
- 개마고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북한 작가동맹출판사에서 1956년 발간한 황건(黃鍵, 1918-1991)의 장편소설.정의북한 작가동맹출판사에서 1956년 발간한 황건(黃鍵, 1918-1991)의 장편소설.[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aema gowon | MR표기Kaema kow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대암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 2,000m 이상의 고산들과 함께 개마고원 위에 솟아 우리나라의 지붕을 이룬다. [자연환경] 북동쪽의 호랑산(2,149m), 남동쪽의 설린령(1,663m)과 잇닿아 있으며, 이 산에서 북서쪽으로 지맥이 갈라졌다. 서쪽 9㎞ 지점에 부전강이 북쪽으로...
- 두운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함경남도 풍산군 안산면과 천남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2,487m. 북동쪽에 위치한 궐덕산(蕨德山, 1,430m)‧희사봉(希砂峰, 1,780m), 북서쪽에 있는 노룡봉(老龍峰, 1,661m) 등과 함께 개마고원 위...
- 마대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면은 개마고원의 남서단지역으로 경사가 비교적 완만하나, 서사면은 관서의 산간지방으로 급사면을 이룬다. 동쪽은 개마고원의 서단을 북류하는 장진강(長津江)의 상류 고토리(古土里)에서 서쪽으로 분기하는 계곡으로 통하고, 서쪽은 대동강의 최상류인 창리(倉里)에서 동쪽으...
고서·고문서(7)
- 함경도 지도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R8-B1-01-010 함경도 지도 사진 도면 미상 (미입력) 함경도의 영역을 표기한 지도이다. 함경도지도에는 북쪽으로 길게 백두산에서 발원하는 두만강이 펼쳐져 있으며 개마고원에서 발원하는 여러 물줄기들이 동해로 흐른다. 동해쪽으로 녹둔도 등의 몇문서종류사진 도면 | 생산일자미상
- 1990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8월, 3일, 저녁, 답, 정몽주, 충성, 사람, 사이, 성실, 1990년, 8월, 4일, 답, 개마고원, 닭인삼탕, 몸보신, 오복탕, 백두산, 천지수, 한라산, 장구초, 신체, 장수대표표제어1990년 | 성씨박
- 혜산선전통기념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이 철도는 개마고원 지역의 삼림과 지하자원 개발을 목적으로 삼고 있으며 나아가 만주로 이어지는 국방상으로도 매우 중요한 노선이다. 1931년 5월에 시작하여 1937년 11월에 모든 구간을 완공하였다. 백두산, 천지, 전경 일본어 최종길 신동규 신동규...자료명혜산선전통기념 | 발행처朝鮮總督府鐵道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혜산선전통기념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이 철도는 개마고원 지역의 삼림과 지하자원 개발을 목적으로 삼고 있으며 나아가 만주로 이어지는 국방상으로도 매우 중요한 노선이다. 1931년 5월에 시작하여 1937년 11월에 모든 구간을 완공하였다. 백두산, 천지, 전경 일본어 최종길 신동규 신동규...자료명혜산선전통기념 | 발행처朝鮮總督府鐵道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담당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계속, 옥체, 건강, 19세, 남자, 지금, 무순시, 조선족, 제1중학, 학습, 학생, KBS, 충실, 방송, 성원, 금일, 문제풀이, 답안, 1948년, 리승만, 대통령, 담배, 청해, 탕호라산맥주봉, 개마고원, 량해, 고향, 경상남도, 진주, 우리, 학교, 서울특별...대표표제어담당자 | 성씨김
구술자료(1)
- 의사 부인이었지만 가난했던 피난살이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응. 체육대회를 하는데 이북사람들은 문화계 같은 건 그 때는 이남이 이북보다 한 20년떨어졌어. [3] 이북의 여성해방운동, 개마고원과 수력발전소로의 수학여행 그 소련사람들 들어와서 막 여성해방 운동이라 이래가지고 여성들 막 권리를 많이 준거야. 여자 를. 여자들조사지역경남 거제 | 조사일2014년 8월 27일
신문·잡지(4)
- 함남인민보_1949_0518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6 림상준 함남인민보사 인민위원회 5월의 훈풍에 탐스러운 목초가 잔잔한 파도 이루는 넓다란 목장! 면양의 떼는 이리로 저리로 무리처 다니면서 유유히 풀을 뜯고 있다. 해발 1천메―터가 넘는 이 장진 개마고원 일대에는 면양목장으로서 호적한 이...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518_03 | 책임주필림상준
- 함남로동신문_1949_0119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6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 3구 3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김명구 김명구 수풍발전소 우리 조선은 동력자원으로 석탄자원도 많으나 수력자원은 더욱 풍부하다. 동북지방과 서북지방에는 개마고원을 중심하여 큰 산과 높은 령이 많고 압록강 두만강을...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119_03 | 책임주필강길모
- 함남로동신문_1949_0109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7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지두영 한용봉, 박기운, 송병도, 김광섭 【장진】 랑림산맥과 개마고원에 위치하면서 방대한 자연림을 가지고 있는 장진군내에는 장진과 동문림산사업소 관하 17개소의 작업장과 1개소의 재재소가 있다...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109_04 | 책임주필강길모
- 함남로동신문_1949_120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85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 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전사학, 김성철 우리 광천면은 뒤로는 개마고원과 련접하여 면내에는 북대천 물줄기를 사이에 두고 높고 낮은 산들이 동남을 향하여 내려 뻗고 있다. 해방 전 북대천 물은 거듭되는 홍수로...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201_02 | 책임주필강길모
주제어사전(28)
-
개마고원 / 蓋馬高原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삼수·갑산·풍산·장진군의 북부에 넓게 발달한 용암대지. ‘한국의 지붕’이라고 불린다. 서쪽은 낭림산맥, 동쪽은 마천령산맥, 남쪽은 함경산맥과 경계를 이룬다. 동해 사면(斜面)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북쪽으로는 완만하게 이루어진 경사지가 되어 허천강·장진강·
-
개마고원 / 蓋馬高原 [문학/현대문학]
북한작가동맹출판사에서 1956년 발간한 황건의 장편소설. 황건의 『개마고원』(1956)은 1950년대 남북한 문학사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작품이다. 북한문학사에서 『개마고원』에 대해 ‘일제의 패망을 앞둔 해방 직전 조선 인민의 암담한 비극적 처지’부터 시작해서 해방
-
마대령 / 馬垈嶺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영원군 소백면과 함경남도 장진군 장진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1,720m. 낭림산맥의 마대산(馬垈山, 1,745m)과 동백산(東白山, 2,096m) 사이의 안부(鞍部)에 위치한다. 동서방향의 고개로 동사면은 개마고원의 남서단지역으로 경사가 비교적 완만하나
-
설한령 / 雪寒嶺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용림면과 함경남도 장진군 서한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1,427m. 이 고개는 낭림산맥의 소백산(小白山, 2,184m)과 천의물산(天宜勿山, 2,032m) 사이의 안부(鞍部)에 위치한다. 동서방향의 고개로 동쪽은 개마고원의 서단에 접하고, 서쪽은
-
아득령 / 牙得嶺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공북면과 함경남도 장진군 장진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1,479m. 낭림산맥 북단의 사랑봉(舍廊峰, 1,573m)과 맹부산(孟扶山, 2,214m) 사이의 안부(鞍部)에 해당한다. 동서방향의 고개로 동은 개마고원에 접하고 서는 개마고원보다는 고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