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개국원종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9)

사전(70)

  • 조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위화도회군 뒤 이성계(李成桂)에 의하여 최영(崔瑩)과 함께 요동을 친 죄로 풍주(豊州)에 장류(杖流)되었다. 1392년(태조 1) 조선이 개국되자 풀려나서 이 되었고, 책봉주청사(冊封奏請使)로 명나라에 가서 태조를 권지고려국사(權知高麗國事)에 봉한다는 명제(...
    이칭별칭 강소(康昭)|은천군(銀川君)
  • 진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갔다. 조선이 개국되자 ()에 책록되고 전결과 노비가 하사되었다. 1393년(태조 2) 전라도절제사로서 왜구 침입을 방비하고, 왜구가 물러가자 군사를 재점검하고 군적(軍籍)을 만들어 올렸다. 1395년 서북면병마도절제사평양윤에 임명되었다. ...
    이칭별칭 양간(襄簡)
  • 왕승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년(태조 1) 그간 태조의 휘하에서 노고가 많았다 하여 ()에 책록되었다. 1394년에 동래현령 김가행(金可行) 등이 밀성(密城)의 맹인 이흥무(李興茂)에게 신국가의 안위와 공양왕의 복립 가부 등 왕씨의 운명을 점친 사건을 계기로 한 조정의 왕씨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선무원종공신을 정하기도 하였다. → 개국공신 張寬錄券 의 檢討(朴天植, 史學硏究 28, 1986) 朝鮮建國의 政治勢力硏究(朴天植, 全北史學 8‧9, 1986)
  • 심지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95년(태조 4) 조선개국에 끼친 공로로 사재감부령(司宰監副令)으로서 ()에 책록되었다. 1397년 공신녹권(功臣錄卷)과 함께 전(田) 15결(結)이 하사되고, 부모가 봉작(封爵)되고 자손이 음직(蔭職)을 수여받는 상전(賞典)을 입었다.

고서·고문서(18)

  • 1395년 녹권(錄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395년(태조 4) 윤9월에 으로 책록하는 증서이다. 은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여 조선왕조를 창업한 정공신 다음으로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리는 훈호이다. 당시 으로 책록되면 공신 훈호와 함께 녹권을 받았으며, 그의 부모와 처는 봉작...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녹권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녹권 | 현소장처서울 성암고서박물관
  • 1395년 진충귀(陳忠貴) 녹권(錄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395년(태조 4) 윤9월에 진충귀를 으로 책록하는 증서이다. 은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여 조선왕조를 창업한 정공신 다음으로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리는 훈호이다. 당시 진충귀는 본 문서와 함께 밭 30결과 노비 3구를 받았으며, 그의 부모와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녹권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녹권 | 현소장처국립중앙박물관
  • 1395년 정진(鄭津) 녹권(錄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395년(태조 4) 윤9월에 정진을 으로 책록하는 증서이다. 은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여 조선왕조를 창업한 정공신 다음으로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리는 훈호이다. 당시 정진은 본 문서와 함께 밭 30결과 노비 3구를 받았으며, 그의 부모와 처는...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녹권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녹권 | 현소장처평택 봉화정씨 삼봉기념관
  • 1395년 이화상(李和尙) 녹권(錄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395년(태조 4) 윤9월에 이화상을 으로 책록하는 증서이다. 은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여 조선왕조를 창업한 정공신 다음으로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리는 훈호이다. 당시 이화상은 본 문서와 함께 밭 30결과 노비 3구를 받았으며, 그의 부모와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녹권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녹권
  • 1395년 최유련(崔有漣) 녹권(錄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395년(태조 4) 윤9월에 최유련을 으로 책록하는 증서이다. 은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여 조선왕조를 창업한 정공신 다음으로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리는 훈호이다. 당시 최유련은 본 문서와 함께 밭 30결과 노비 3구를 받았으며, 그의 부모와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녹권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녹권 | 현소장처서울 강릉최씨대종회

기초학문(1)

  • 柳觀, 辛克敬, 鄭津 朝鮮 錄券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권희, 게재일 : 2009
    30299 남권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문화연구원 2009 柳觀, 辛克敬, 鄭津 朝鮮 錄券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주제어사전(4)

  • /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개국공신을 늘리려는 의도에서 원종공신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조선에 들어와 신포상 제도로서 마련된 것이다. 정공신인 개국공신을 늘리려는 의도가 변경되어 28인의 원종 공신을 책봉한 데서 비롯되었다.

  • 김천리 녹권 / 金天理錄券 [역사/조선시대사]

    1395년 공신도감에서 김천리를 에 녹훈하며 발급한 녹권. 보물 제1076호. 1축. 필사본. 은 1392년(태조 1)부터 1397년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1,400명에게 봉해졌는데, 김천리가 녹권을 받을 때에는 695인이 받았다. 그 때 그들

  • 김회련 녹권 / 金懷鍊錄券 [역사/조선시대사]

    1395년 공신도감에서 문신 김회련을 에 녹훈하며 발급한 녹권. 보물 제437호. 녹권은 공신에게 내려주는 문서로서 공신에 오른 자의 증서라 할 수 있다. 조선초에는 개국(開國)·정사(定社)·좌명(佐命)의 정공신(正功臣)에게는 공신교서와 녹권을 함께 주었

  • 원종공신 / 原從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신의 종류로는 을 비롯해 정국·정난·위사·광국·선무·호성·청난·영사·영국 원종공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