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개국기년”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6월 28일 신분‧제도‧관습의 개혁과 아울러 모든 국내외의 공문서에 을 사용할 것을 의결하였다. 이로써 당시 사용되던 청나라 덕종(德宗)의 연호인 광서(光緖)는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이 제도는 이듬해 11월 단발령과 함께 ‘건양(建陽)’ 연호와 양력...
  • 전권공사(全權公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개혁을 추진하면서 독립자주국의 입지를 취하였다. 그들은 국내외의 공문서 및 사문서에 ()을 사용하여 조선이 국제적으로 청국에 의존하지 않는 독립국임을 선언하였다. 청국과의 조약도 개정하고 각국에 특명전권공사(特命全權公使)를 파견하였다[『고종실록』 31년...
    관련어개항(開港), 공사관(公使館), 대리공사(代理公使), 영사관(領事館), 외교관(外交官), 을사조약(乙巳條約), 전권공사(特命全權公使), 참서관(參書官), 칙임관(勅任官), 판리공사(辨理公使)
  • 개국기원경절(開國紀元慶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하였다. [내용 및 특징] 개국기원을 기념하는 것은 1894년(고종 31)부터 진행하였다.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에서 경각사(京各司)와 지방 간에 주고받는 문서에 을 쓰도록 하였다[『고종실록』 31년 7월 1일]. 또한 11월에는 을미년인 1895년...
    동의어개국기원절(開國紀元節) | 관련어국경일(國慶日), 계천기원절(繼天紀元節)
  • 갑오개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계를 탈피하기 위한 상징적 조처로서 모든 공사문서에 있어서 ()의 사용을 의무화하였다. 군국기무처 회의원들은 파격적인 정치‧행정‧관료제도의 개혁을 통하여 의정부와 8아문을 중앙정부의 실질적인 집권기구로 만듦으로써 자신들의 정권을 공고히 하는 동시...
    이칭별칭갑오경장
  • 관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5일에 비로소 호수를 매긴 제1호가 발행되기 시작했다. 발행의 연호는 첫 호에는 ‘갑오(甲午) 6월 21일’이라 하여 간지에 음력을 썼으나, 제2호부터는 ‘개국 503년 7월 1일’로 을 사용하여 1895년 2월 26일자 제213호까지 내려오다가, 189...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갑오개혁 때 채택한 연호.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1392년을 원년으로 하고 채택년인 1894년을 503년으로 산정하였다. 군국기무처는 6월 28일 신분, 제도, 관습의 개혁과 아울러 모든 국내외의 공문서에 을 사용할 것을 의결하였다. 이 제도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