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희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2)
사전(165)
- 강희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慵齋叢話 燃藜室記述 國朝名臣錄 海東名臣傳 國朝人物考 國朝人物志 강희맹 선생 신도비이칭별칭 경순(景醇)| 사숙재(私淑齋), 운송거사(雲松居士), 국오(菊塢), 만송강(萬松岡)| 문량(文良)
- 강희맹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문장왕국의 문사로, 호는 사숙재(私淑齋)이다. 허리에 서각대를 띠고 이마에는 옥을 붙인 것으로 묘사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姜希孟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892 姜希孟 인물 擢嵬科, 詩文, 醞藉, 精深, 雄渾, 雅健, 訓子, 左贊成, 登第, 右議政 晉州 景醇, 希顔, 私淑齋, 號雲松居, 我英廟, 文良, 龜孫, 用休 五說 D_17_02_10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10...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강희맹(姜希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강희맹 강희맹 姜希孟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세종~성종 이현숙 김구진 2007 경순(景醇) 사숙재(私淑齋), 운송거사(雲松居士), 국오(菊塢), 만송강(...
- 강희맹사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그러나 양자로 입양되었다 하더라도 친가의 아들이 죽으면 다시 돌려받는 관습이 있다. 이것을 ‘파계귀종(罷繼歸宗)’이라 한다. 강희맹사안은 당시까지 없었던 이와 같은 파계귀종의 관습을 제정하기까지의 조정의 논의이다. [내용] ≪경국대전≫의 예전 입후조...
고서·고문서(32)
- 강어(江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4711 B014711 강어 江魚 수산물 新增東國輿地勝覽 京畿道 長湍都護府 山川 牡悤悤經海邦歸程又渡臨津江靑山倒浸幾千丈白鳥齊飛三五雙風灑殘雲點客袂魚吹細浪侵篷窓醉來舍笑問歡伯多少離愁因爾降○萬斛龍驤占上流緩移蘭棹散輕漚酒闌又踏江東路無數靑山擁馬頭○姜希孟詩一舸度淸津江花欲暮春潮回沙有...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근도(近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679 B030679 근도 近島 도서 근도(近島) 成宗實錄 四年(1473) 四月 성종실록_10404025_004 ○御晝講。 講訖, 知事姜希孟啓曰: “我國南方, 土地廣大, 密近島夷, 備禦之緊, 比他道爲甚。 近來昇平日久, 狃於無虞, 萬戶除授, 慢不致意。 近日如朴枝、安...출처전거成宗實錄 | 지역분류근도(近島)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노량(露梁)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7276 B037276 노량 露梁 군사교통 新增東國輿地勝覽 京畿道 衿川縣 樓亭 孝思亭 在 H040306]露梁渡南岸右議政盧閈別墅姜希孟記三聖山卽衿之鎭也其一支蜿蜒北騖遇漢水而作區卽議政盧恭肅公之世塋也恭肅於某甲葬母於其地居廬盡孝服闋因廬爲家家北有斷隴臨江遂構亭其上時登眺以紓永慕之懷...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991 B049991 덕진 德津 군사교통 新增東國輿地勝覽 京畿道 長湍都護府 山川 ... 多少離愁因爾降○萬斛龍驤占上流緩移蘭棹散輕漚酒闌又踏江東路無數靑山擁馬頭○姜希孟詩一舸度淸津江花欲暮春潮回沙有迹風細水生鱗地僻帆檣少人稀鷗鷺馴經行曾幾日不覺鬢絲新○王敞詩渡口臨沙 磧江流赴石門銀絲...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003 B050003 덕진 德津 군사교통 新增東國輿地勝覽 京畿道 長湍都護府 山川 ... 莓苔○姜希孟詩翠 壁沿江鐵削成岩前古碣倒澄明何當占得烟村路隨意滄浪坐釣鯨 東江 在臨津縣西十五里 江連浦 在臨津縣西十里漁船泊處 臨津渡 在府南三十七里其源出咸鏡道安邊屬縣永豐防墻洞經伊川安峽朔寧...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姜希孟 ‘寓意’ 개념의 연원과 문인화론- 蘇東坡 ‘우의’ 개념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재숙, 게재일 : 201563526 김재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양철학회 2015 姜希孟 ‘寓意’ 개념의 연원과 문인화론- 蘇東坡 ‘우의’ 개념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유형논문 | 게재일2015
멀티미디어(54)
-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주제어사전(25)
-
강희맹 / 姜希孟 [종교·철학/유학]
1424(세종 6)∼1483(성종 14). 조선 전기의 문신. 강시 증손, 할아버지는 동북면순무사 강회백, 아버지는 지돈녕부사 강석덕, 어머니는 영의정 심온의 딸이다. 형이 인순부윤이자 화가 강희안이며, 이모부가 세종이다. 1447년(세종 29) 24세로 친시문과에
-
강희맹사안 / 姜希孟事案 [사회/가족]
가의 아들이 죽으면 다시 돌려받는 관습이 있다. 이것을 ‘파계귀종(罷繼歸宗)’이라 한다. 강희맹사안은 당시까지 없었던 이와 같은 파계귀종의 관습을 제정하기까지의 조정의 논의이다.
-
진산세고 / 晉山世稿 [문학/한문학]
고려후기부터 조선전기까지 문신·학자 강회백·강석덕·강희안 등 3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편찬한 시문집. 권1은 강희맹의 조부 강회백의 문집으로 첫머리에 강희맹이 쓴 행장 1편과 99수의 시를 실었다. 권2는 강희맹의 부친 강석덕의 문집으로 권두에는 강희맹이 쓴 행장
-
태평한화골계전 / 太平閑話滑稽傳 [문학/구비문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서거정이 해학적 일화를 수록하여 편찬한 설화집. 앞 부분에는 편자의 자서와 양성지(梁誠之)·강희맹(姜希孟)의 서문이 있는데, 편찬의 동기 및 과정, 골계전적인 소화(笑話)의 효용성과 의의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현존하는 원본은 없고 네 종류의 이
-
국조오례의서례 / 國朝五禮儀序例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 신숙주·강희맹 등이 『국조오례의』를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1474년에 편찬한 예서. 5권 2책. 목판본. 1474년(성종 5)에 신숙주(申叔舟)·강희맹(姜希孟) 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하였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은 길례(吉禮) 20편, 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