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화도” 에 대한 검색결과 1,9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67)

사전(1,22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길이 30㎞, 동서 길이 12㎞, 해안선 길이 99㎞이다. 는 본래 김포반도와 연결된 육지였으나 오랜 침식작용으로 평탄화된 뒤 침강운동으로 육지에서 구릉성 도서로 격리되었다. 결정편암과 화강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는 는 마니산(469m)‧고려산(436m...
  • 조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선 현지의 사정을 정탐하고 무력 시위에 의한 국교 촉진의 방안을 건의한 모리야마(森山茂)의 권고를 받아들여 군함 3척을 파견, 부산항에서 함포사격 연습을 한다는 구실로 조선 정부에 간접적인 위협을 가해 왔다. 또, 일본은 운요호(雲揚號)를 수도의 관문인 에...
    이칭별칭병자수호조약|조일수호조규
  • 조약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876년 2월 강화부(江華府)에서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
    정의1876년 2월 강화부(江華府)에서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anghwado Joyak | MR표기Kanghwado Choy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영사재판(領事裁判)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5648 제도 영사재판(領事裁判) 영사재판 領事裁判 외국인에 관한 재판을 그 본국의 법률을 적용하여 영사나 기타 관리가 재판하는 제도. 1876년 일본의 강요로 체결된 조약에서 “일본국 인민이 조선국이 지정한 각 항구에 머무...
    유형분류제도
  • 조약(條約)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381 제도 조약(條約) 조약 條約 1876년(고종 13) 2월 강화부에서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 조약의 정식 명칭은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이며, 강화조약(江華條約) 또는 병자수호조약(丙子修好條約...
    유형분류제도

단행본(1)

  • 문명의 충격과 근대 동아시아의 전환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
    저자 : 송성유(북경대학역사게 교수), 송규진(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 안대옥(고려대학... | 출판사 : 도서출판 경진 | 출판일 : 2012.12.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燕行과 條約 (4)만주국의 국가 성격과 안수길의 북향정신 (5)동아시아적 맥락에서 본 '만주국' 조선인 문학 (6)낭만: 한국 근대문학사의 은폐된 주체

논문(1)

  • 이유원의 을해연행과 조약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
    저자 : 鄭墡謨(中國海洋大學) | 게재정보 : 동방한문학 1권, 게재일 : 2012.09
    유형논문

고서·고문서(378)

  • 14968 B014968 도서 인천광역시 世宗實錄 地理志 世宗 154 地理志 / 평안도(平安道) 세종실록_40010004 ... , 一唐岳。】郭、【三登。】韓、【公州。】文、【龍岡。】池、【忠州。】康。【安岳。】厥土肥塉相半, 墾田六千八十四結。【水田止一百二十結。...
    출처전거世宗實錄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969 B014969 도서 인천광역시 仁祖實錄 五年(1627) 四月 인조실록_10504001_006 建, 自龍骨城潰破之後, 收散兵轉鬪, 遇賊力戰, 射賊甚多, 弓弦忽斷, 空拳冒刃, 被賊殺死。 賊長驅深入, 至于平山, 分屯三陣, 放兵四掠等因。’” 據此,
    출처전거仁祖實錄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970 B014970 도서 인천광역시 仁祖實錄 七年(1629) 十一月 인조실록_10711020_001 其後繼彦見臣曰: ‘任令公使吾持書, 往見任正郞興後處。’ 蓋興後專主此謀者, 以通書一度及抵韓潤書一度, 使李英南付送于者胡之行。” 鄭雲白供稱: “付送兇書時,...
    출처전거仁祖實錄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971 B014971 도서 인천광역시 元史 卷208 列傳第95 高麗-58/33 ... 元宗]十一年五月癸丑條及卷一三○《林衍傳》均作「[宋松禮]」, 疑作「松」是.*/ 殺[惟茂]及[衍]婿[崔宗(玿)[紹]]./$據《高麗史》卷一三○《林衍傳》及《東國通鑑》卷三五改...
    출처전거元史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972 B014972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1 경기도 江華府 典故 ... 軍全慶等道 後金劉海與姜弘立朴蘭英等由開城府豐德入見 行在因成和事 十四年淸兵入境命原任大臣尹昉金尙容奉 廟社及嬪宮元孫 鳳林麟平兩大君入于江都以金慶徵爲都檢察使張紳爲留守 十五年正月淸兵渡江城遂不...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9)

  • 로 귀향 온 호랑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화도에는 호랑이 이야기가 없느냐는 조사자의 물음에 대하여 꺼낸 이야기""<page id="258"/>다. 옛날에는 있었다고들 하는데 근래에는 없다고 하면서도 호랑이에 관한 이런 이야기는 있다고 하면서 시작하였다.*
    조사일시1981-07-16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 제보자배용환
  • 장옥순 할머니는 황해도 연변 모정리에서 두부장사를 하는 집의 3녀 중 막내딸로 태어나 부족함 이 없는 어린 시절을 보냈다. 1.4 후퇴 시 로 월남하여 식모살이와 직조공을 거치며 남한 생 활을 했고 나중에는 서강대학교 앞에서 중국집을 운영하였다. 30세에 결혼하
    조사지역서울 | 조사일2012년 4월 26일
  • 차봉순 할머니의 고향은 이다. 에서 결혼하여 신접살림을 시작했고, 6.25 전쟁도 강 화도에서 겪었다. 비교적 부유한 집의 며느리였으나, 첫 아이를 낳은 지 열 달 만에 6.25전쟁을 겪 어, 경찰이었던 남편을 이별인사도 하지 못한 채 잃게 되었다. 그 후
    조사지역경기 남양주 | 조사일2013년 6월 16일
  • 김기춘 할머니는 황해도 연백이 고향으로 6남매의 둘째로 자랐다. 전쟁이 발발한 후 시댁에 있 던 배로 서해 상에서 피난 생활을 한 특이한 경험의 소유자이다. 1.4후퇴 이후 가족 모두 로 이주했다. 전쟁 전 연백에 있을 때는 배로 운송업을 했었고, 로 월남
    조사지역인천 | 조사일2013년 4월 16일
  • 최헌일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주회사, 평상, 평양 제1중, 평양 제2중, 강서중학교, 진지 고급 중학교, 6.25, 문교부, 홍용선, 대성, 기암, 교도대대, 보안성, 내무성, 황해도 곡산, 중공군, 유엔군, 사리원, 신주막, 김숙권, 해주군인병원, 웅진, 연백, , 인천, 방위군, 구포,
    구술자최헌일 | 직업무직 | 지역평안도

기초학문(3)

  • 에서 이동휘의 계몽운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기훈, 게재일 : 2009
    26205 이기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문화연구원 2009 에서 이동휘의 계몽운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젓새우잡이 어업의 발달과 변화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형숙, 게재일 : 2009
    31518 윤형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문화연구원 2009 젓새우잡이 어업의 발달과 변화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지역사회의 ‘삼차원 다(多)축제 평가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의 다(多)축제 통폐합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황수영, 게재일 : 2012
    52458 황수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관광학회 2012 지역사회의 ‘삼차원 다(多)축제 평가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의 다(多)축제 통폐합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61)

  • 민세안재홍전집 : 自律性의崩壞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911 1949 10 11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自律性의崩壞 平海號慘變所感 신문 한성일보. 1면 1단 사설 사회 직접자료 7권 平海號, , 自律 A19491011한성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蒙古亂壬辰役!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39 1934 9 21 15 10 安在鴻 安在鴻 忠武遺跡(十) 蒙古亂壬辰役! 血淚에어린西南海島 신문 조선일보 1면2단조간 기행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珍島, , 裵仲孫, 三別抄, 蒙古亂, 濟州,...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行 名越湖風 46 支那人石工の歌へる, 夏の宵, 港町 佐野道 49 교실 川崎正憲 52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0
  • 6 UWA 홍찬석 교수 미술 개인전 열어 17 산따라 물따라 한국기행 18 Myeong-Do...
    발행국가호주 | 발행연도2004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無認許商議所 1915년 6월24일 기타 기타 인천, 개성, 수원, 등지의 조선인상업회의소는 어떠한 인가의 수속...
    대표표제어無認許商議所 | 연월일1915년 6월24일 | 지역기타

멀티미디어(162)

  • 유적지 복원 준공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박정희 대통령이 김성진 문화공보부장관과 관계자 일행을 대동하고 일대를 시찰하였다. 갑곶돈대, 용두돈대, 쌍충비각 등을 차례로 돌아보며 무명용사를 위한 헌화, 강화 전적지 정화 기념비등을 제막하였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7년 11월 7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1876년 2월의 _ 조약 체결의 전과 후_2주차_1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덕궁 _ 흥선대원군의 정치와 정책 2주차. 1876년 2월의 _ 조약 체결의 전과 후 3주차.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_1884년12월 4일의 우정총국 _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4주차. 1888년 1월 17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_ 양절체제 5주
    강좌제목현장에서 바라본 제국의 시대 | 강의자권기하 교수
  • 1876년 2월의 _ 조약 체결의 전과 후_2주차_2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덕궁 _ 흥선대원군의 정치와 정책 2주차. 1876년 2월의 _ 조약 체결의 전과 후 3주차.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_1884년12월 4일의 우정총국 _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4주차. 1888년 1월 17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_ 양절체제 5주
    강좌제목현장에서 바라본 제국의 시대 | 강의자권기하 교수
  • 1876년 2월의 _ 조약 체결의 전과 후_2주차_3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덕궁 _ 흥선대원군의 정치와 정책 2주차. 1876년 2월의 _ 조약 체결의 전과 후 3주차.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_1884년12월 4일의 우정총국 _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4주차. 1888년 1월 17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_ 양절체제 5주
    강좌제목현장에서 바라본 제국의 시대 | 강의자권기하 교수
  • 1876년 2월의 _ 조약 체결의 전과 후_2주차_4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덕궁 _ 흥선대원군의 정치와 정책 2주차. 1876년 2월의 _ 조약 체결의 전과 후 3주차. 1882년 7월 19일의 숭례문 인근_1884년12월 4일의 우정총국 _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4주차. 1888년 1월 17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_ 양절체제 5주
    강좌제목현장에서 바라본 제국의 시대 | 강의자권기하 교수

기타자료(18)

  • 사회조사 보고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사회조사 보고서 사회조사 보고서 社會調査 報告書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사회과교육연구회 | 사료철명사대학보
  • (신국토 기행3) 개화의 격전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신국토 기행3) 개화의 격전지 (신국토 기행3) 개화의 격전지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영훈, 김대벽 | 사료철명교육월보
  • 김선명;金善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0162 남한 경성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1-38 梨高 창간호 1934 91면 ㅁ1. 졸업생 주소록;ㅁ12) 제12회 졸업생(1930년 3월 20일) 김선명;金善明 吉祥面 船頭里 171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2.2. Spots sights and maps roads:Excerpt/Stars and Stripes, 1948.09.02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ted Nations Command Star and Stripers 숙명여자대학교 미군 성조기 기사, 한국의 주요 지역에 대한 지도와 도로 작성 작업 중, 마니산을 안내 해 줄 한국인, 양반을 만났다는...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Star and Stripers
  • . 이러한 점은 13세기 당시 고려왕궁이 존재하고 있었던 지리적 조건과 관련 깊을 것이다. 또한 출토된 청자는 주로 고려 왕실사찰인 강화 선원사지 출토 청자, 희종 석릉 출토 청자, 일대에서 출토된 청자들과 기형, 문양, 번법 등에서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관청...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한강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인천광역시

연구과제(5)

주제어사전(96)

  • /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있는 섬. 우리나라에서 4번째로 큰 섬으로 강화군의 주도(主島)이다. 면적은 305.75㎢이고 해안선 길이는 106.5㎞이다. 경기만 북쪽의 한강 하구에 있으며, 동쪽의 염하(鹽河)를 사이에 두고 경기도 김포시와 접해 있다. 는 원래 김포반도

  • 조약 / 條約 [역사/근대사]

    1876년 2월 강화부에서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약. 조약의 체결로 조선은 개항 정책을 취하게 되어 점차 세계 무대에 등장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으나, 불평등조약이었기에 일본의 식민주의적 침략의 시발점이 되었다. 한편, 이 조약은 척사위정세력과 개화 세력 사이의

  • 강화부 / 江華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수도 방위를 목적으로 강화에 설치되었던 특수 행정기관. 조선왕조는 수도 방위를 위해 한성부 주변의 행정적·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주·부·군·현의 일반적인 행정 체계와는 별도로 특수 행정 체계인 유수부를 설치, 운영했다.

  • 월곶진 / 月串鎭 [정치·법제/국방]

    경기 교동현에 있던 수군의 거진. 『신증동국여지승람』권 13, 교동현(喬桐縣) 관방조(關防條)에 “月串鎭 在縣南十六里 有右道水軍僉節制使營”이라 하였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월곶진(月串鎭)은 호부(護府)로 이설(移設)되었다.

  • 수신사 / 修信使 [역사/근대사]

    조약 이후 일본에 파견한 외교사절. 이전까지는 조선에서 일본에 파견하는 사신을 통신사(通信使)라 불렀으나, 1876년 조약 이후 수신사로 바뀌었다. 이는 양국이 근대적 입장에서 사신을 교환한다는 뜻인데, 1876년과 1880년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