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홍중” 에 대한 검색결과 3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2)

사전(28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77(선조 10)∼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임보(任甫), 호는 도촌(道村). 온(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필(士弼)이고, 아버지는 승지 정(綎)이며, 어머니는 정응규(鄭應奎)의...
    이칭별칭 임보(任甫)| 도촌(道村)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379 인물 () 1577 164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임보(任甫), 호는 도촌(道村) ∙ 용계(龍溪). 강온(姜溫)의 증손, 강사필(姜士弼)의 손자, 좌승지(左承...
    유형분류인물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광해군~인조 이현숙 김구진 2007 임보(任甫) 도촌(道村) 양반 남자 ...
  • 강석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31(인조 9)∼1691(숙종 17).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위사(渭師). 우의정 사상(士尙)의 현손으로, 할아버지는 홍중(弘重)이고, 아버지는 목사 욱(頊)이며, 어머니는 이창원(李昌源)의 딸이다. ...
    이칭별칭 위사(渭師)|진선군(晉善君)
  • 동사록(東槎錄)[1]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2635 문헌 동사록(東槎錄)[1] 동사록 東槎錄 1624년 갑자사행 당시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의 부사로 일본에 갔던 ()이 쓴 사행록. 1권 1책. 일기체 형식으로 『해행총재(海行摠載)』에 실려 있다. 「천계갑자일...
    유형분류문헌

단행본(1)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임선빈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
    조선후기 통신삼사에 대해 통신사 파견의 추이, 통신삼사의 인물별 개황, 통신사 인물 사례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후기 통신사 파견의 추이는 본 연구의 배경에 해당한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선조 40년(1607)에 처음 다녀왔으며, 순조 11년(1811)에 끝났다...

고서·고문서(14)

  • 1637년 장현광(張顯光) 제문(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현소장처구미 옥산 인동장씨 여헌 종택
  • 15219 B015219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0年 4月 21日_004 ○啓曰, 江華府經歷李聖淵推考事, 命下, 二行燼缺室之祭用, 一牛過多, 故宣廟朝孝敬設祭時, 以太廟所供之牛, 分割一脚而用之, 今亦依此爲之乎? 敢啓。 傳曰, 依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551 B040551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仁祖 10年 2月 15日_005 ○, 以司饔院提調意啓曰, 咸鏡道二月朔饍進上, 大王大妃殿·大殿, 生文魚·生靑魚, 中宮殿, 生大口魚·生靑魚, 尤甚臭惡, 莫重享上之物, 不謹封進, 事甚未安, 當該封進官推考, 何...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552 B040552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仁祖 10年 2月 15日_005 ○, 以司饔院提調意啓曰, 咸鏡道二月朔饍進上, 大王大妃殿·大殿, 生文魚·生靑魚, 中宮殿, 生大口魚·生靑魚, 尤甚臭惡, 莫重享上之物, 不謹封進, 事甚未安, 當該封進官推考, 何...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4250 B064250 도중 島中 도서 일반 仁祖實錄 十三年(1635) 十月 인조실록_11310024_001 ○辛丑 / 沈都督接伴使馳啓曰: “卽見留島譯官文狀, 則島中差官許天忠, 領餉銀, 自北京出來言: ‘禮部差中書胡泰, 齎奬諭朝鮮勑書出送, 島中 ...
    출처전거仁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577(선조 10)∼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문신. 강온 증손, 할아버지는 강사필, 아버지는 승지 강정, 어머니는 정응규의 딸이다. 장현광의 문인이다. 1606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등용되었으며, 청송부사, 동지의금부사, 성천부사 등을 역임

  • 강석빈 / 姜碩賓 [종교·철학/유학]

    1631(인조 9)∼1691(숙종 17). 조선 후기의 문신. 우의정 강사상 현손, 할아버지는 , 아버지는 목사 강욱, 어머니는 이창원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충청도암행어사, 이조좌랑, 경기도수군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