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홍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8)
사전(138)
- 강홍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자, 명나라는 후금을 치기 위해 조선에 원병을 청해왔다. 조정에서는 후금을 의식하면서도 임진왜란 때 명나라가 원병을 보냈으므로 어쩔 수 없이 출병을 결정했다. 강홍립은 오도원수(五道元帥)가 되어 부원수인 김경서(金景瑞)와 함께 1만 3000여 군사를 이끌고 출...이칭별칭 군신(君臣)| 내촌(耐村)|진녕군(晉寧君)
- 강홍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조선 광해군 때의 장수이다. 명문가의 후손으로, 선조 때에 과거시험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오르고, 활과 말을 잘 다루어 함경남도병마사에 임명된다. 후금와 명나라가 싸우자, 명나라가 요청한 조선 원병의 도원수로 임명된다. 그러나 가는 곳마다 술판을 벌여 군사는 돌보지 않고...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강홍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조선의 도원수로, 후금을 치러 병사들을 이끌고 출전하나 광해군의 밀지를 받고 후금에 투항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강홍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청나라가 명나라를 침공할 때 명나라를 구원하러 간 조선의도원수다. 김응서와 함께 출전하나 청나라에 항복하고 김응서를 죽게 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강홍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광해군 때 오랑캐에 항복한 조선 장수이다. 한윤이 찾아와 반정 공신들이 가족을 다 죽였다고 꾀며 청나라 군사를 빌어 원수를 갚자고 하니, 청태조에게 군사를 청한다. 태조가 거절하자, 그가 승하한 후 청태종을 움직여 조선을 침략하게 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40)
- 人事門11_姜弘立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姜弘立 姜弘立, 宰臣也. 深河之役, 受廢朝密旨, 不肯死戰, 被拘於北庭. 丁卯, 引兵至國, 俄又歸順. 謂之引敵入寇, 則可, 歸之投降, 則非其實. 其遺孼子璹書曰: “天日上照, 鬼神旁臨, 投降之說, 何爲而出乎?” 降則必剃頭, 必有爵名之可聞, 蓋無是矣. 其來也, 張玉城貽書曰...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강화도(江華渡)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4972 B014972 강화도 江華渡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1 경기도 江華府 典故 ... 軍全慶等道 後金劉海與姜弘立朴蘭英等由開城府豐德入見 行在因成和事 十四年淸兵入境命原任大臣尹昉金尙容奉 廟社及嬪宮元孫 鳳林麟平兩大君入于江都以金慶徵爲都檢察使張紳爲留守 十五年正月淸兵渡江城遂不...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김상용(金尙容)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金劉海與姜弘立朴蘭英等由開城府豐德入見 行在因成和事 十四年淸兵入境命原任大臣尹昉金尙容奉 廟社及嬪宮元孫 鳳林麟平兩大君入于江都以金慶徵爲都檢察使張紳爲留守 十五年正月淸兵渡江城遂不守開國方略云睿親王多爾袞等至江華渡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薨, 王命卜兆宅金浦, 吉遷元宗大王方上同原異墓, 是爲章陵。 丁卯正月, 金人以戊午降帥姜弘立爲導, 大擧深入, 王幸江都, 命元老李元翼, 翼世子鎭湖南。 王御行宮中門, 面諭島中父老, 又御燕尾亭 ...출처전거仁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人事門2_儒者補世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儒者補世 儒者之補益世道也, 大矣. 光海之末, 姜弘立被執不還, 而蠟書之報相續. 後有靖社之勳, 及韓明璉黨逆被誅, 其子潤逃入, 謂: “姜族已赤.” 於是, 有丁卯之亂. 弘立之意, 蓋以家國爲言也. 旣入境, 知諸姜無恙. 又問旅軒、愚伏諸賢出處, 曰: “皆仕於朝, 一似平日.” 弘立...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주제어사전(7)
-
강홍립 / 姜弘立 [종교·철학/유학]
1560(명종 15)∼1627(인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강온 증손, 할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 아버지는 참판 강신, 어머니는 정유의 딸이다. 1597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한성부우윤, 순검사, 오도원수 등을 역임하였다.
-
강로전 / 姜虜傳 [문학/고전산문]
1630년 권칙(權侙, 1599∼1667)이 지은 한문소설. 강홍립이 후금(後金, 청나라)에 항복한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강로(姜虜)’란 ‘강씨 오랑캐’라는 뜻으로 강홍립을 지칭한다. 이 제목만으로도, 권칙이 강홍립에 대하여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엿볼
-
경번당가 /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시조. 모두 14수로 된 연시조이다. 정월부터 섣달까지의 시상을 각각 1수씩 읊고, 마지막에 전체 시상을 마무리한 2수를 첨가시킨 월령체의 작품이다. 1618년(광해군 10) 강홍립(姜弘立)이 후금을 치기 위해 출병하였을 때, 종군하였던 함평이씨(咸
-
관서지도 / 關西地圖 [지리/인문지리]
북안에 대해서도 진(津)·곶(串)·동명(洞名) 등이 자세하게 기입되어 있으며, 금국성(金國城)까지의 거리, 강홍립(姜弘立)·김경서(金景瑞)의 군대가 패한 곳도 기입되어 있다.
-
김장군전 / 金將軍傳 [역사/조선시대사]
副元帥) 김경서(金景瑞)의 휘하에 들어가 1619년(광해군 11) 강홍립(姜弘立)을 따라 여진의 건주위(建州衛) 정벌에 참여하였다가 전사하였다. 내용은 포록(褒錄)·증직(贈職)·건사(建祠) 및 권말에 후서(後敍)·만사(輓詞)·제문으로 되어 있다. 영남대학교 도서관,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