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혼” 에 대한 검색결과 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2)

사전(4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64(세조 10)-1519(중종 14). 조선 중기의 문신. ≪명가필보≫에 수록된 글씨.
    이칭별칭 사호(士浩)| 목계(木溪), 동고(東皐)| 문간(文簡)
  • TD_L14_D_4458 인물 輒書輒抹, 經術, 亂政, 阿諛, 取容, 都承旨, 赦文, 成文, 狐魅之文 燕山 陰崖日錄 D_19_03_26 대동운부군옥 19권 3장 2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3장 2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0_D_0559 인간 기타 承旨, 靖國, 判中樞府事 我成廟丙午, 燕山朝 晉州 士浩, 木溪子 D_11_01_24 대동운부군옥 11권 1장 2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1장 2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3_J_0381 시 舍人所, 蓮亭, 竹葉, 淸樽, 白玉杯, 舊遊, 陳迹, 滿庭明月, 梨花樹, 劉郞, 亂蟬, 深樹, 池臺, 主人, 閑却, 優劣, 東萊靜邊樓詩, 靑山, 孤鴈外, 紅日, 霱雲端, 紫燕, 靑蛙, 蔚山東軒詩, 岳陽, 蓬島, 秋月軒詩, 搖...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3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경혼()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혼 경혼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중종~명종 이현숙 김구진 2007 언회(彦晦) 양반 남자 1498년(연산군4) 1568...

고서·고문서(48)

  • 68564B068564 동래 東萊 정치행정 中宗實錄 七年(1512) 三月 중종실록_10703018_001 “昨日持平尹宕, 入侍經筵時曰: ‘爲觀察使時, 臣爲都事, 渾可堪監司之任。’ 如是再啓, 此附會之議也。 成希顔極褒曰: ‘渾得拜一職, 輒被臺駁, 故不得展布四體。...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7466 B027466 광진 廣津 군사교통 燕山君日記 十年(1504) 十月 연산군일기_11010022_008 ○承旨、韓恂承命往罷左右廂陣軍而還, 恂以右廂大將李蓀之言啓: “今旣罷陣。 江原、黃海等軍當從陸路, 下三道軍則必由漢江、麻田、廣津以渡, 而其地皆入禁限, 何以爲之?...
    출처전거燕山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95204 B095204 본도 本島 도서 일반 中宗實錄 五年(1510) 六月 중종실록_10506011_009 ○柳洵、、朴永文、安潤德議: “以近日倭奴叛亂而言, 則京外囚倭, 雖盡殺無赦, 未爲不可, 但此輩在倭奴未叛之前, 受前島主書契而來, 是不干於叛逆者也, 殺之無名。 今...
    출처전거中宗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사진 18 칠셕가어와시샹 람드라 이회포 드러보소인간부〃 몃〃친고 우리형뎨 람이옥황샹 님으로 맛동은 츌가여월궁하 도여잇고 둘형은 여 여: ()하여. 요지왕모 부고 오신명 치야건우군 만드이 존고금실 별 자별:...
    가사유형풍류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 47835 B047835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世宗實錄 八年(1426) 十一月 세종실록_10811017_003 ○濟州察訪金爲民啓: “濟州牧使趙希鼎濫刑私奴洪龍致死。 衙內入役皮匠, 托以進上, 收斂民間耳瑱眞珠, 受私奴金祿玉纓, 使祿守信, 私婢式分。 前旌義縣監梁孟智...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464(세조 10)∼1519(중종 14). 조선 중기의 문신. 강우덕 증손, 할아버지는 집의 강숙경, 아버지는 강인범, 어머니는 호군 여인보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다. 1486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호당에 들어가 사가독서함으로써 문명을 떨쳤다. 대제학, 공

  • 속청구풍아 / 續靑丘風雅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유근(柳根)이 편찬한 시선집. 7권 1책. 목판본. 내용은 세조 때부터 선조 때에 걸친 여러 시인들의 시작품을 각 체별로 선록(선별하여 수록)해 놓고 있다. 권1은 오언절구로 김정(金淨)의 「가월(佳月)」 등 16인의 시 19수, 권2는 칠언절구로

  • 생육신합집 / 生六臣合集 [문학/한문학]

    序)」, ()의 「어계일고서( 漁溪逸稿序)」, 9세손 조영석(趙榮祏)의 후지 「後識)」, 박필주(朴弼周)의 「어은일고서( 漁隱逸稿序)」, 한치응(韓致應)의 「관란일고서 觀瀾逸稿序)」, 이자(李耔)와 이산해(李山海)의 「매월당본집서(梅月堂本集序)」, 조신숙(曺伸叔

  • 나재집 / 懶齋集 [종교·철학/유학]

    편, 기 7편, 대책문 3편, 격문 1편이 실려 있다. 권4에는 잡저 5편 그 가운데 장편의 기행문인 유송도록이 있다. 부록에는 신용개·류순··정광필·최숙생·김안국·홍언필·이행·경세창·이장곤·김정국·강중진·성세창 등이 지은 32편의 만사, 2편의 제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