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호사시가” 에 대한 검색결과 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4)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맹사성 조선 초기에 맹사성이 지은 시조. 4수로 된 연시조. 강호가 또는 사시한정가라고도 부른다. 춘하추동의 네 계절에 따라 한수씩 읊고 있는데, 태평세월에 벼슬을 그만두고 강호에 묻혀 자연경관을 즐기면서 임금의 은혜를 감사하는 내용이다....
    이칭별칭사시한정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초기 맹사성(孟思誠, 1360-1438)이 지은 연시조(聯時調).
    정의조선 초기 맹사성(孟思誠, 1360-1438)이 지은 연시조(聯時調).[국어국문학자료사전] | 문광부표기Gangho sasiga | MR표기Kangho sasig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감군은(感君恩)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 송순(宋純)의 「면앙정가(傘仰亭歌)」, 신흠(申欽)·조존성(趙存性)의 시조 등에서도 나타나는 구절이므로, 독창성이 결여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금합자보(琴合字譜)』 『양금신보(洋琴新譜)』...
    관련어개청(皆靑), 악장(樂章), 요성(搖聲), 유림가(儒林歌)
  • 낙빈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요산수(樂山水)’, 분수를 지킨다는 ‘안분(安分)’의 세 가지 주지(主旨)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가사작품으로는 정극인(丁克仁)의 「상춘곡」, 차천로(車天輅)의 「강촌별곡」, 작자 미상의 「환산별곡(還山別曲)」‧「」‧「창랑곡(滄浪曲...
    이칭별칭낙빈사|강촌사|강촌별곡
  • 맹사성(孟思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실록』 20년 10월 4일 3번째기사] 작품으로는 「()」가 남아 있다. [맹사성의 향악(鄕樂) 정리와 「()」] 맹사성은 천부적으로 음률에 밝아서 아악(雅樂: 중국 음악)과 향악(鄕樂: 우리나라 음악)을 정리하...

고서·고문서(2)

  • 雅樂部歌集 목록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農夫歌 第一 農夫歌 第二 農夫歌 第三 農夫歌 第四 農夫歌 第五 農夫歌 第六 農夫歌 第七 農夫歌 第八 春歌 耘歌 華容道打令 玉人想思曲 情札回答歌 더위타령 장사타령 물것타령 임자바가라는원혼타령 蓬萊淸竒 樂貧歌 가셰타령 船遊歌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 農夫歌(三) 農夫歌(四) 農夫歌(五) 農夫歌(六) 農夫歌(七) 農夫歌(八) 舂歌 耘歌 華容道打令 玉人想思曲 情札回答歌 더위타령 장사타령 물것타령 남자가바라는원혼타령 蓮萊淸舞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멀티미디어(50)

  • 한국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_01-1_1주차_1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명할 수 있다. 이규보의 가전 창작과 그 작품 세계를 설명할 수 있다. 3주차 <>에서 15세기 강호 시조의 낙관적 세계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장육당육가>에서 16세기 강호 시조의 이분법적 세계 인식을 읽어낼 수 있다. <어부단가>에서 16세기 강호 시
    강좌제목한국 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 | 강의자이형대, 이승은
  • 한국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_01-1_1주차_2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명할 수 있다. 이규보의 가전 창작과 그 작품 세계를 설명할 수 있다. 3주차 <>에서 15세기 강호 시조의 낙관적 세계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장육당육가>에서 16세기 강호 시조의 이분법적 세계 인식을 읽어낼 수 있다. <어부단가>에서 16세기 강호 시
    강좌제목한국 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 | 강의자이형대, 이승은
  • 한국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_01-1_1주차_3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명할 수 있다. 이규보의 가전 창작과 그 작품 세계를 설명할 수 있다. 3주차 <>에서 15세기 강호 시조의 낙관적 세계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장육당육가>에서 16세기 강호 시조의 이분법적 세계 인식을 읽어낼 수 있다. <어부단가>에서 16세기 강호 시
    강좌제목한국 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 | 강의자이형대, 이승은
  • 한국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_01-1_1주차_4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명할 수 있다. 이규보의 가전 창작과 그 작품 세계를 설명할 수 있다. 3주차 <>에서 15세기 강호 시조의 낙관적 세계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장육당육가>에서 16세기 강호 시조의 이분법적 세계 인식을 읽어낼 수 있다. <어부단가>에서 16세기 강호 시
    강좌제목한국 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 | 강의자이형대, 이승은
  • 한국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_01-1_1주차_5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명할 수 있다. 이규보의 가전 창작과 그 작품 세계를 설명할 수 있다. 3주차 <>에서 15세기 강호 시조의 낙관적 세계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장육당육가>에서 16세기 강호 시조의 이분법적 세계 인식을 읽어낼 수 있다. <어부단가>에서 16세기 강호 시
    강좌제목한국 전통시대의 문인과 작품세계 | 강의자이형대, 이승은

주제어사전(3)

  • / [문학/고전시가]

    조선 초기에 맹사성(孟思誠)이 지은 시조. 4수로 된 연시조이다. 형식은 3·4, 3·5, 4·3에서 약간 벗어나는 형태이며, 초장은 모두 ‘강호(江湖)’라는 말로 시작되고, 종장 3·4구에서는 각 작품 모두가 ‘역군은(亦君恩)이샷다’로 끝난다. 연시조 형태로는 최초이

  • 연시조 / 聯時調 [문학/고전시가]

    등의 인륜(人倫)을 읊은 것이 흔하다.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및 「오륜가(五倫歌)」·「오우가(五友歌)」의 경우다. 특수한 예로는,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와 같이 4시에 저마다 10수를 배당한 것과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같이 6

  • 강호가도 / 江湖歌道 [문학/고전시가]

    조선시대 시가 문학에 널리 나타난 자연 예찬의 문학 사조. 조윤제(趙潤濟)가 처음으로 개념을 정립하였다. 조선시대의 시가 작품, 예컨대 「」·「상춘곡」·「어부사시사」·「창랑곡 滄浪曲」 등으로, 제목 자체부터 그 내용이 자연 예찬임을 짐작하게 한다. 자연 예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