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호가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8)
- 강호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연 예찬임을 짐작하게 한다. 자연 예찬은 조선시대 시가 내용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문학 현상을 조윤제는 문학 사조로 파악해 ‘강호가도’라 부르고, 그 내용을 ‘자연미의 발견’이라 규정, 강호가도의 형성 원인을 조선시대 사대부층의 정치상과 생활상에서 파악하...
- 사시풍경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여 흠모하였다. 애조(哀調)를 띠고 있는 강호가도(江湖歌道)에 속하는 작품이다. 『주해가사문학전집(註解歌辭文學全集)』(김성배 외, 정연사, 1961) 『가사집(歌詞集)』(신명균 편, 중앙인서관, 1936)...
- 강호별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여 유유자적하는 무위자연의 생활관과 산수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는 조선 초기 이후의 시풍인 강호가도(江湖歌道) 계열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교합악부(校合樂府) 하(下)』(김동욱‧임기중 편, 태학사, 1982)
- 농암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옛 자취가 너무나 의연함에 기뻐서 이 노래를 지은 것이다. 이현보는 이같은 귀전(歸田)의 생활 속에서 한국시가문학사상 중요한 의미를 갖는 강호가도(江湖歌道)의 길을 열었다. 『국문학(國文學)과 자연(自然)』(최진원, 성균관대학교출...
- 율리유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에 김광욱(金光煜)이 지은 연시조. [내용] 조선 중기에 김광욱(金光煜)이 지은 연시조. 모두 14수로, ≪청구영언≫‧≪해동가요≫ 등의 가집에 수록되어 있다. 강호가도(江湖歌道) 계열의 전원시가(田園詩歌)이다. “陶淵明(도연명)...
주제어사전(5)
-
강호가도 / 江湖歌道 [문학/고전시가]
은 조선시대 시가 내용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문학 현상을 조윤제는 문학 사조로 파악해 ‘강호가도’라 부르고, 그 내용을 ‘자연미의 발견’이라 규정, 강호가도의 형성 원인을 조선시대 사대부층의 정치상과 생활상에서 파악하였다.
-
강호별곡 / 江湖別曲 [문학/고전시가]
강호에 은거하여 무궁한 자연경개를 즐긴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자연에 침잠하여 유유자적하는 무위자연의 생활관과 산수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는 조선 초기 이후의 시풍인 강호가도(江湖歌道) 계열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
면앙정단가 / 俛仰亭短歌 [문학/고전시가]
와 잘 새들, 맑은 강의 낚시질 등의 자연경관을 작자의 풍류와 안빈낙도의 유유자적을 통하여 잘 그려낸 작품으로, 뒷 시기 강호가도(江湖歌道)의 형성에 토대를 이루었다.
-
율리유곡 / 栗里遺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김광욱(金光煜)이 지은 연시조. 모두 14수로, 『청구영언』·『해동가요』 등의 가집에 수록되어 있다. 강호가도(江湖歌道) 계열의 전원시가(田園詩歌)이다. “陶淵明(도연명) 죽은후에 ᄯᅩ연명이 나닷말가/밤ᄆᆞ을 녯일홈이 맛초와 ᄀᆞᆺ틀씨고/돌아와 守拙田園
-
분강가단 / 汾江歌壇 [문학/고전시가]
물러나 고향인 분강에서 이해, 이황, 이문량, 이중량, 황준량 등과 뱃놀이를 하면서 「어부가」를 산정하고, 놀이를 통하여 문화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면서 강호가도를 수립하였다. 이현보가 죽은 뒤에는 그의 아들들이 이러한 풍류를 이었으며, 17세기 이후 18세기 초반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