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헌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5)
- 농려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강헌규(姜獻奎)의 시문집. [내용] 10권 5책. 목판본. 아들 진(鎭)과 유(鎏)가 유문을 정리하다가 마치지 못하고 죽자, 그의 아우 면(0x9E74)이 1895년(고종 32)에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면의 발문이...
- 주역참동계연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57년(철종 8) 강헌규(姜獻奎)가 찬집한 도가의 양생서(養生書). [내용] 1책. 필사본. 그의 문집인 ≪농려집 農廬集≫에도 같은 내용 일부가 실려 있다. 책 제목은 후한 말 위백양(魏伯陽)의 ≪주역참동계≫를 해설한 것처럼 보이나
- 사모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古代文學의 現實性 硏究(金鍾雨, 釜山大學校 國語國文學 7‧8집, 1968) 思母曲 新考(李鍾出, 梁柱東博士古稀紀念論文集, 探求堂, 1973) 高麗歌謠 思母曲 新考(姜憲圭, 국어국문학 84, 1980) 韓國古典詩歌의 硏究(金學...
- 홍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여(정양환, 민족문화 17, 1995) ‘홍기문 어원 연구 결과의 분석 평정’(강헌규, 人文科學硏究 10, 1995, 公州大) 國語學硏究百年史 4(高永根 等編, 一潮閣, 1992) 북한의 문법론 연구(임홍빈, 한국문화사, 1997) ...이칭별칭 대산(袋山)
- 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므로, 이러한 취미는 앞으로도 이어받으면 좋을 것이다. 詩와 陶磁(金相沃, 亞字房, 1975) 韓國人名字號辭典(李斗熙외, 啓明文化社, 1988) 韓國人의 字‧號 硏究(姜憲圭‧申用浩, 啓明文化社, 1990) 秋史先生雅號...
고서·고문서(4)
- 병진년 강헌규(綱獻奎)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신해년 강헌규(姜獻奎)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경암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義에게 보낸 답장. 答李士彦 (38) 1851. 禮義는 節目이고 忠信이 根本이라는 내용을 담아 李致休에게 보낸 답장. 答姜景仁 (39) 1854. 『續近思錄』을 만드는 어려움을 적어 姜獻奎에게 보낸 답장. 卷四 答鄭景休 (1) 1850. 鄭光璧에게 보낸 답...분야문학 | 유형문헌
- 고계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隱 柳箕鎭에게 보낸 편지. 자제의 교육을 부탁하는 것으로 『中庸』과 『大學』을 집중적으로 가르쳐주되 질의응답을 통해 두루 강습할 수 있도록 해주기를 바란다는 내용. 答姜景仁 (12) 守素齋 姜獻奎(1797∼1860)에게 답한 편지. 亭子의 이름을 지어 달라는 부탁을...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초학문(1)
- 姜獻奎 ??周易參同契演說??에 대한 양생역학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석민, 게재일 : 201564792 윤석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학회 2015 姜獻奎 ??周易參同契演說??에 대한 양생역학적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5
주제어사전(2)
-
강헌규 / 姜獻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7∼1860). 제자백가서를 비롯해 《좌전》·《국어》·《장자》·《이소》·《한서》·《사기》 등의 책을 두루 섭렵하였다. 1822년(순조 22) 식년시 진사 3등 32위로 합격해 성균관에 출입했다.
-
농려집 / 農廬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강헌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5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5책. 목판본. 아들 진(鎭)과 유(鎏)가 유문을 정리하다가 마치지 못하고 죽자, 그의 아우 면(0x9E74)이 1895년(고종 32)에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면의 발문이 있다. 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