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태홍” 에 대한 검색결과 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3)

사전(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지어 여러 제자들에게 가르쳤다. 김윤덕과 박귀희도 배운 일이 있으며, 그의 예술은 제자들에 의하여 널리 전승되어 가야금독주회에서 연주되기도 한다. 그가 연주한 가야금산조 및 병창은 축음기판으로 남아 있다. 『류가야금산조연구』...
    이칭별칭 효산(曉山)
  • 가야금산조(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유파의 가야금독주곡. [내용]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호. 1989년 7월에 지정되었다. 가야금산조는 무속음악의 시나위처럼 허튼가락에서 출발하여 판소리 등의 영향으로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와 같이 느린 속도의 곡에서 빠...
  • 김춘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19∼1980. 가야금 산조의 명인. [내용] 본명은 채운(彩雲).?경상남도 마산 출신. 1926년 ()으로부터 가야금풍류를 배웠고, 1929년 조용구(趙鏞九)에게서 가야금병창을 배웠으며, 1934년 한영호(韓英鎬)에게서
  • 운담풍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목을 풀기 위하여 부르는 단가. [내용] 그리 오래되지 않은 단가로 일제강점기에 많이 불렸으며, ()‧김초향(金楚香)과 같은 명창들이 즐겨 불렀다. 이 단가를 운담풍경이라 함은 첫머리에 ‘운담풍경근...
  • 김창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락에 판소리가락을 도입하여 민속장단인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장단에 짜넣어 산조의 틀을 만들었다고 전한다. 연주시간 15∼20분의 김창조가락 가야금산조를 한성기(韓成基)‧최옥산(崔玉山)‧김병호(金炳昊)‧()‧안기옥(安基玉) 등에게 전수하...

고서·고문서(5)

  • 1929년 강대홍() 고목(告目)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929년 8월에 무성서원 서재의 장대영 등이 강대홍에게 도내 유림 장의로 임명되었음을 알리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고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고목 | 현소장처강진 진주강씨 강성민
  • 1929년 강대홍() 망기(望記)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929년 8월에 유림도회소에서 강대홍을 무성서원 도내유림장의로 추천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망기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 현소장처강진 진주강씨 강성민
  • 1931년 강대홍() 망기(望記)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931년 10월에 유회소에서 강대홍을 무성서원 도내훈장으로 추천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망기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 현소장처강진 진주강씨 강성민
  • 1931년 강대홍() 고목(告目)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931년 10월에 무성서원서재의 강병선 등이 강대홍에게 도내 훈장으로 임명되었음을 알리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고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고목 | 현소장처강진 진주강씨 강성민
  • 황해도 옹진군 남면등 호적_1901년[광무 5] [19C말~20C초 호적자료의 수집, 정리 및 그 활용 연구(2단계) | 인하대학교]
    (田奎成) 조득환(趙得煥) 강대홍() 주기득(周杞得) 최재복(崔在福) 표성복(表成福) 안창식(安昌植) 노장엽(盧長...
    지역황해도 옹진군 남면등 | 시기1901년

구술자료(49)

  • 유적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유적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D-051 3172 전남 유적조사자료 1) 강귀희가 양부인 과 그의 가족들에 대해서 증언한 자
    자료구분상세유적조사자료 | 자료유형산조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강귀희
  • 유적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유적조사 ① 예술·체육 작품 현대 B-005 3220 부산 유적조사자료 1) 김동민이 의 행적과 교육활동에 대해 증언한 자료
    자료구분상세유적조사자료 | 자료유형산조;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동민
  • 유적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유적조사 ① 예술·체육 작품 현대 B-005 3220 부산 유적조사자료 1) 김동민이 의 행적과 교육활동에 대해 증언한 자료
    자료구분상세유적조사자료 | 자료유형산조;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손재숙
  • 유적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유적조사 ② 예술·체육 작품 현대 B-007 3473 부산 유적조사자료 1) 김동민이 의 행적과 교육활동에 대해 증언한 자료
    자료구분상세유적조사자료 | 자료유형산조;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동민
  • 유적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유적조사 ② 예술·체육 작품 현대 B-007 3473 부산 유적조사자료 1) 김동민이 의 행적과 교육활동에 대해 증언한 자료
    자료구분상세유적조사자료 | 자료유형산조;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손재숙

신문·잡지(3)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宣川屋) 서울 宣川屋 內資町 10 요리_음식점 - 조선 주점 - 27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姜大鴻(宣川屋)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조선 주점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들이 근절되지 못하고 있다. 례하면 리용진 소속 구분대 6중대장 동무는 자기 구분대 앞에 제기된 전호 굴설작업 진행 행정에 있어서 직접 전사 대중들이 일하는 작업현장에 나가 옳게 사업을 조직 지도할 대신에 하부에게만 맡기고 자기는 안일하게도 지방 인민들과 모여...
    대표표제어인민의아들_1952_0403_02 | 책임주필김학석
  • 절되지 못하고 있다. 례하면 리용진 소속구분대 6중대장 동무는 자기 구분대 앞에 제기된 전호굴설작업 진행행정에 있어서 직접 전사대중들이 일하는 작업 현장에 나가 옳게 사업을 조직지도할 대신에 하부에게만 맡기고 자기는 안일하게도 지방인민들과 모여 앉아 쓸데없는...
    대표표제어인민의 아들_1952_0403_04 | 책임주필김학석

기타자료(10)

  • 강대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2604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32면 강대홍; 경남 사천군 三千浦邑 東里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배기동,안신원,박종부,,조성호 총괄:배기동/집필:안신원,박종부/유물실측:,조성호,김영숙/유구‧유물잉킹:박종부,,김영숙/유구‧유물설명:박종부/사진촬영:박종부,/최종편집:안신원,박종부, 안산시/한양대학교박물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안산시/한양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파주 교하 택지개발지구 시‧발굴조사 보고서(2003년도)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報告書(2003年度) 2005 한국토지공사/한양대학교박물관 329 배기동,이화종,김소형,조성호, 지도:배기동/총괄:이화종/유구원고:이화종/유물원고 및 유물촬영:이화종,/도면작성:김소형,노지현,백승주/편집과 교정:이화종, 한양대학교박...
    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한국토지공사/한양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의정부 민락(2)지구 택지개발사업 예정부지 문화유적 지표조사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교박물관 232 배기동,이관호,김효경,이왕건,이은정,조성호,,유재훈,차민호,백승주,김영숙,김지영,심수정,김민정,정래진,남향 배기동,이관호,,유재훈 대한주택공사/한양대학교박물관 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동, 낙양동 일원 경기도 의정부시 ...
    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대한주택공사/한양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b7-0002 유구 광주향교 수복사부지 발굴조사 보고서 廣州鄕校 守僕舍敷地 發掘調査 報告書 2006 하남시/한양대학교 박물관 87 배기동,유재훈,안신원, 총괄:배기동/집필:안신원,유재훈/유물의 설명,실측,제도:조성호,,김영숙,...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하남시/한양대학교 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3)

  • / [예술·체육/국악]

    1897-1957. 가야금산조의 명인. 호는 효산(曉山). 전라남도 무안 출신. 원각사에서 창극활동을 하던 명창 용안(龍安)의 셋째 아들이다. 아홉살 때부터 가야금을 배웠으며, 가야금산조의 창시자로 알려진 김창조(金昌祖)에게서 전수받았다. 거주지를 대구로 옮겨 살면서

  • 강대홍 / [역사/근대사]

    1904-미상.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 본적은 경상남도 김해(金海)이다. 1925년 1월 경남청년연맹 준비위원을 맡았으며, 같은 해 6월 진영소작인회 창립대회 실행위원을 지냈다. 1926년 10월 동아일보 부산지국에서 기자생활을 할 때 김단야(金丹冶)·박헌영(朴

  • 강용환 / 姜龍煥 [예술·체육/국악]

    항일기의 판소리 명창·창극 명인(1865-1938). 가야금산조의 명인인 의 아버지이며 판소리명창인 강남중의 작은아버지이다. 이날치로부터 판소리를 배워 명창이 되었고 서편제소리를 하였는데 계면조를 주장하였다. ‘심청가’ 및 ‘춘향가’를 창극화하였고, 최초의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