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창제” 에 대한 검색결과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2‧4(국사편찬위원회, 1966‧1968) 『춘산이유필소사(春山李裕弼小史)』(金樂山, 1943) 『朝鮮獨立運動』Ⅱ(金正明 編, 原書房, 1967) 사진
    이칭별칭 창산(蒼山)
  • 백여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에 잠입하여 활동하였다. 그해 9월 모금된 자금을 만주로 밀송한 뒤 다시 만주 관전현(寬甸縣)으로 가던 도중 친구였던 김규진(金奎珍)의 밀고로 일본경찰에 잡혔다. 출옥 후 중국으로 다시 망명하여 광저우(廣州)를 거쳐 상해에 돌아와서 ()...
  • 한도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등과 함께 항일무장단체인 병인의용대(丙寅義勇隊)를 조직, 활동하였다. 1931년 이봉창(李奉昌)에게 무기와 자금을 제공하여 일본 동경(東京)에서 의거를 일으키도록 도왔다. 1934년 김구(金九)의 밀령으로 상해일본총영사관 후지이(藤井)경부보의 밀...
    이칭별칭이국화(李國華)|왕소산(王少山)
  • 한국혁명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다. 1937년 조사에서는 중앙 위원으로 지청천(池靑天)‧최동오‧유동열(柳東說)‧이광제(李光濟)‧박창세(朴昌世)‧양기진(梁基津)‧현익철(玄益哲)‧김학규(金學奎)‧이운환(李云煥)‧()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지청천‧최동오‧박창세‧‧이...
  • 이성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복역한 뒤 병을 이유로 가출옥하였다. 출옥 후 상해(上海)로 망명하여 무장항쟁을 펴면서 2차에 걸쳐 상해의 일본영사관에 폭탄을 던졌다. 1926년 박창세(朴昌世)ㆍ문일민(文一民)ㆍ()ㆍ이운환(李雲煥) 등과 같이 무장항쟁을 위하여 병인의용대(丙寅義勇隊)...
    이칭별칭 우문(又文)

고서·고문서(6)

주제어사전(4)

  • / [역사/근대사]

    1898-1965. 독립운동가. 본관은 진주. 호는 창산(蒼山). 평안북도 창성 출신. 아버지는 시홍(時洪)이다. 1919년 3·1운동 때 향리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뒤 상해로 망명하여 1922년에 독립신문사(獨立新聞社)기자로 활약하였고, 1924년에는 임

  • 곽중규 / 郭重奎 [역사/근대사]

    였다가 곧 비서장으로 승진하여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였다. 1924년 5월 상해에 있는 인성학교(仁成學校)의 교사가 되어 민족사상을 고취시키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1925년 3월 18일 임시의정 원의원으로 나창헌(羅昌憲)·최석순(崔錫淳)·() 등과 함께

  • 김상옥 / 金尙沃 [역사/근대사]

    악형으로 등골뼈의 골절상을 입었다. 1928년 출옥한 뒤 동지 백여범(白汝範)과 같이 중국 광둥(廣東)으로 탈출하여 그곳에서 채원개(蔡元凱)·() 등과 같이 항일운동에 참여하였다. 1929년 흥사단에 가입하였으며, 1930년에는 푸젠성 샤먼시(福建省廈門市)에

  • 한도원 / 韓道源 [역사/근대사]

    1906-1984. 독립운동가. 일명 이국화(李國華)·왕소산(王少山).평안남도 대동 출신. 1925년 평양 숭실중학교(崇實中學校)를 중퇴하고 상해(上海)로 건너갔다. 그곳에서 상해전차회사의 차장으로 근무하면서 박창세(朴昌世)·() 등과 함께 항일무장단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