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진희”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매화도()
    이칭별칭 청운(菁雲)
  • 국한회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5년(고종 32) 이준영(李準榮)‧정현(鄭玹)‧이기영(李琪榮)‧이명선(李明善)‧()가 편찬한 국한대역사전. [개설] 한국인에 의해서 한국어를 표제어로 하여 편찬된 최초의 국한대역사전이다. 표지명(表紙名)이 ‘국한회화’로
    이칭별칭국한회화
  • 언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9세기 말까지의 우리 문헌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1895년 이준영(李準榮)‧정현(鄭玹)‧이기영(李琪榮)‧이명선(李明善)‧()가 우리말을 표제어로 하여 편찬한 최초의 국어사전(필사본)인 ≪국한회어 國漢會語≫에도 ‘언니’라는 낱말은 없다. 사전의...
  • 서화미술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옥건물이었으나, 1915년에 관철동으로 옮겨졌다. 교수진은 당시 서화계의 대가였던 조석진(趙錫晋)과 안중식(安中植)을 중심으로 ()‧정대유(丁大有)‧김응원(金應元)‧강필주(姜弼周)‧이도영(李道榮) 등이었다. 이들의 교육방법은 고법전수식(古法傳授...
  • 서화협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였다. 그리고 당시 서화계의 대가들이었던 안중식(安中植)‧조석진(趙錫晋)‧오세창(吳世昌)‧김규진(金圭鎭)‧정대유(丁大有)‧현채(玄采)‧()‧김응원(金應元)‧정학수(丁學秀)‧강필주(姜弼周)‧김돈희(金敦熙)‧이도영(李道榮) 등과 함께 서화협회의 창립을 추...

고서·고문서(4)

  • 平安道庄土文績_제16책 : 平安南道平壤郡小串所在庄土英親王宮提出圖書文績類 23. 嘉慶十五年庚午三月初七日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2 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810년(순조 10) 3월 7일 邊光福 답주 邊光福 답주 尹致任 평안 평양 小串 二所 外垌 평안도 평양(군/현) 小串(면/방) 二所 外垌 토지 1 ...
    자료명平安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平安道庄土文績_제16책 : 平安南道平壤郡小串所在庄土英親王宮提出圖書文績類 54. 嘉慶十五年庚午三月初四日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3 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810년(순조 10) 3월 4일 申永國 답주 申永國 답주 尹致任 평안 평양 安谷 二所 평안도 평양(군/현) 安谷(면/방) 二所 토지 1 律 47 ...
    자료명平安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平安道庄土文績_제16책 : 平安南道平壤郡小串所在庄土英親王宮提出圖書文績類 55. 嘉慶十五年庚午三月初四日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8 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810년(순조 10) 3월 4일 申夢延 답주 申夢延 답주 尹致任 평안 평양 安谷 二所 평안도 평양(군/현) 安谷(면/방) 二所 토지 1 律 46 ...
    자료명平安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알렌이 딘스모어에게 근황과 사업추진에 대하여 전하는 건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
    R2-L2-01-131 알렌이 딘스모어에게 근황과 사업추진에 대하여 전하는 건 서한 1888년 11월 21일 Horace N. Allen Hugh A. Dinsmore 박정양, 이하영, , 이계필, 헤럴드, 리훙장, 데니(Owen N.
    문서종류서한 | 생산일자1888년 11월 21일 | 수신자Hugh A. Dinsmore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2)

  • / [예술·체육/회화]

    1851-1919. 서화가. 본관은 진주. 호는 청운(菁雲). 1886년 일본공사접응관차(日本公使接應官差)를 거쳐, 1887년 주미공사수원(駐美公使隨員)으로 미국에 다녀온 뒤 법부주사(法部主事)를 지내고, 1905년에는 학부위원(學部委員)을 역임하였다. 1911년에 설

  • 국한회어 / 國韓會語 [언어/언어/문자]

    1895년(고종 32) 이준영(李準榮)·정현(鄭玹)·이기영(李琪榮)·이명선(李明善)·()가 편찬한 국한대역사전. 19세기말 신문화·신문명의 도입이라는 개화의 사상에서 편찬된 것이지만, 그 근본적인 동기는 그 당시 어문(語文)의 무질서와 혼란을 바로잡으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