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조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12)
- 강조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사법(修辭法)의 하나. [내용] 비유법(比喩法)이나 변화법(變化法)에 속하지 않는 모든 표현기법으로서,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명하고 뚜렷하게 드러내기 위하여 과장(誇張)‧영탄(詠嘆)‧반복(反復)‧점층(漸層)‧대조(對照)‧현재(現在)...
- 비교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내용] 두 가지 이상의 사물의 크기, 성질, 모습, 내용 등의 정도를 견주어서 어느 한 사물을 선명히 표현하는 기법이다. “강낭콩꽃보다 더 푸른 물결”에서는 ‘물결’의 푸른 색채를 ‘강낭콩꽃’의 그것에...
- 영탄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내용] 극한 느낌, 심각한 고뇌, 고조된 정감 등을 주로 정서면에 호소하여 감상적으로 표현하는 수법이다. 대개는 ‘아아, 오오, 어머나, 아이구’ 등과 같은 감탄사를 사용하여 기쁨, 노여움, 슬픔, 즐...
- 반복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내용] 같거나 비슷한 단어, 구, 절, 문장 등을 되풀이하는 표현법이다. 이에는 똑같은 말을 반복하여 쓰는 동어(同語) 반복, 뜻이 비슷한 말을 반복하여 쓰는 유어(類語) 반복 등이 있다. 반복법은 의...
- 점층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내용] 하나의 대상이나 현상에 대하여 한 단계 한 단계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말들을 거듭해 가는 표현법이다. 단진법(段進法)이라고도 한다. 이 표현법은 마치 층계를 하나 하나 밟으며 올라가거나 내려가는이칭별칭단진법(段進法)
고서·고문서(1)
- 聖賢道統第五【單一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處之綽然; 衆憂以爲甚難, 而先生爲之沛然, 雖當倉卒, 不動聲色。 先生所爲綱條法度, 人可效而爲也, 至其道之而從, 動之而和, 不求物而物應, 未施信而民信, 則人不可及也。” ○《墓表》曰: “潞國太師【文彦博】題其墓曰明道先生。” 弟頤序之曰: “周公沒, 聖人之道不行; 孟軻死, 聖人之...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주제어사전(9)
-
강조법 / 强調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修辭法)의 하나. 비유법(比喩法)이나 변화법(變化法)에 속하지 않는 모든 표현기법으로서,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명하고 뚜렷하게 드러내기 위하여 과장(誇張)·영탄(詠嘆)·반복(反復)·점층(漸層)·대조(對照)·현재(現在)·미화(美化)·열거(列擧)·비교(比較)·억
-
과장법 / 誇張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사물이나 사실을 실제보다 지나치게 크거나 작게 형용하는 표현법이다. 이에는 ‘산더미 같은 파도’와 같이 사물이나 사실을 실제보다 지나치게 크게 하는 향대과장(向大誇張)과 ‘간이 콩알만하다.’와 같이 실제보다 지나치게 작게 하는 향소과장(向小
-
대조법 / 對照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상반(相反)되는 두 어구 또는 사상(事象)을 맞 세워 그 형식이나 내용의 다름을 두드러지게 드러내어 보이는 표현법이다. 이 표현법은 고저(高低), 장단(長短), 흑백(黑白), 선악(善惡), 신구(新舊), 빈부(貧富), 음양(陰陽), 남녀(男
-
반복법 / 反復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같거나 비슷한 단어, 구, 절, 문장 등을 되풀이하는 표현법이다. 이에는 똑같은 말을 반복하여 쓰는 동어(同語) 반복, 뜻이 비슷한 말을 반복하여 쓰는 유어(類語) 반복 등이 있다. 반복법은 의미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훙취 혹은 리듬을 두드
-
비교법 / 比較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두 가지 이상의 사물의 크기, 성질, 모습, 내용 등의 정도를 견주어서 어느 한 사물을 선명히 표현하는 기법이다. “강낭콩꽃보다 더 푸른 물결”에서는 ‘물결’의 푸른 색채를 ‘강낭콩꽃’의 그것에 견주어서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하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