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제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3)
- 강제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1(고종 28)∼ 1978. 독립운동가. [내용] 평안북도 창성 출신. 1919년 3‧1운동 때 이승훈(李昇薰)의 밀명을 받아 창성군의 거사 책임을 맡았다. 4월 1일 창성군에서 2,000여 군중과 함께 독립선언서를 낭독...
- 창성3‧1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대 동포들도 이 민족적 거사에 참여하여야 된다고 생각하여 의주군 월화면 교회목사 송문정(宋文正)을 창성에 밀파하였다. 창성읍내 교회장로이던 강제희(康濟羲)는 이승훈의 밀지를 전하여 받고, 강정식(康貞植)‧전봉재(全鳳梓) 등과 만나 거사계획을 세워...
- 창성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는 8,459호, 4만6146명이었다. 3‧1운동 때는 교회장로이던 강제희(康濟羲)를 중심으로 시위를 전개하여 당일 2명의 사상자를 내었다. 박은식(朴殷植)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 의하면 이 군은 시위횟수 3회, 참가인원 3,000명, 사상자 100명, 부상...
고서·고문서(1)
- 황해도 옹진군 남면등 호적_1901년[광무 5] [19C말~20C초 호적자료의 수집, 정리 및 그 활용 연구(2단계) | 인하대학교]仁) 윤태봉(尹泰封) 윤석운(尹錫云) 윤응성(尹應星) 윤도민(尹道敏) 윤상인(尹相仁) 강제희(姜濟希) 윤성칠(尹聖七) ...지역황해도 옹진군 남면등 | 시기1901년
주제어사전(1)
-
강제희 / 姜濟羲 [역사/근대사]
1891-미상. 독립운동가. 평안북도 창성 출신. 1919년 3·1운동 때 향리에서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다가 잡힌 일이 있으며, 그뒤 중국 상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여 이동녕(李東寧)·안창호(安昌浩) 등과 연결되어 연통제(聯通制)의 국내책임을 맡아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