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재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13)
- 문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어 정인홍(鄭仁弘)에게 한시대의 인망이 기울었으나, 그는 지나는 길에도 일부러 들르지 않았다. 군자감정(軍資監正)에 추증되었고, 진주(晉州)의 덕천서원(德川書院)과 청계서원(淸溪書院)에 봉향되었다. 저서로는 『연강재집』 1권이 있다.이칭별칭행선(行先)|연강재(練江齋)
- 강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매산집(梅山集)』 강재집 / 송치규 조선 후기의 학자 송치규의 시문집. 1865년(고종 2) 그의 장손 기수가 간행했다. 필사본. 장서각도서.
- 강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大學辨疑)」는 경의(經義)에 대한 상세한 주석을 붙이고 있어 저자의 경학에 관한 학문적 깊이를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강재집 / 정재현 조선 말기의 학자 정재현의 시문집. 1921년 저자의 현손인 병권이 편집...
- 강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근대의 유학자 이기완(李起完)의 시문집. [내용] 4권 4책. 활자본. 1984년 김형관(金炯觀)의 편집을 거쳐 이강영(李康永)‧이강훈(李康勳)‧이철재(李鐵宰)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형관의 서문과 권말에 이강영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 강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덕환(崔德煥)의 시문집. [내용] 6권 2책. 목판본. 1916년 아들 효규(孝珪)에 의해 편집, 발간되었다. 권두에 최장환(崔鏘煥)의 서문과 권말에 최병식(崔秉軾)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
단행본(1)
- 규장각 소장 문집해설 (19세기) 1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저자 : 노태돈(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장), 김인걸, 옥영정, 이영주, 이종묵, 정원재... | 출판사 : 민창문화사 | 출판일 : 2011.08.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甘華集 江皐集 剛齋集 居士詩文 絅堂遺稿 經山集 警修堂全藁 景葊居士詩藁 敬菴遺稿
고서·고문서(1)
- 강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卷一 詩 義尙窟, 次再從叔金山公韻, 次三從弟范汝, 金山從叔又賦來字示之仍有劈破之敎以務存養休强說之意仰復焉, 贒希-族姪欽大-聞來字韻賦示故又次之, 范汝更賦來字示之又次之, 令兒曺賦讀書仍與共之, 敬次華陽洞泣弓巖韻, 和洪綾州-容默-韻, 新秋, 與范汝夜話呼韻, 梅湖陪過齋先生共吟,...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강재집 / 剛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송치규의 시문집. 15권 7책. 필사본. 1865년(고종 2) 그의 장손 송기수가 간행, 권말에 편간 경위를 적은 송기수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49수, 소 31편, 권2는 소 15편, 서계 20편, 헌의 12편, 권3·4는 서 138편, 권5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