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응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6)
- 강응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사주해삼편(새歌辭註解三篇)」(이태극, 『국어국문학』25, 1962) 수사공 강응환 가전 유물 / 영정 1735(영조 11)∼1795(정조 19). 조선 후기의 무신.이칭별칭 명서(命瑞)| 물기재(勿欺齋)
- 무호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영‧정조 연간에 강응환(姜膺煥)이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국한문혼용체.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가 128구이다. 형식은 3‧4조와 4‧4조가 주조를 이루고 3‧6조, 2‧2조 등도 드물게 나온다. 『물기재집(勿欺齋集)』에...
- 수사공강응환가전유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암치리 강응환가(姜膺煥家)에 전하는 강응환의 유품. [내용] 영정(影幀)‧지도(地圖)‧저술(著述)‧교지(敎旨) 등 4종 12점.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0호. 강응환은 일반적으로 강수사공으로도 불리...연계항목수사공강응환가전유물(水使公姜膺煥家傳遺物)
- 고령진민선정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구성 및 형식] 조선 영‧정조 때 관리인 강응환(姜膺煥)의 선정을 찬양하여 지은 가사이다. 강응환의 『물기재집(勿欺齋集)』 부록에 「무호가(武豪歌)」라는 가사와 함께 실려 전한다. 강응환이...
- 물기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무신 강응환(姜膺煥)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12년 강응환의 5세손 강대직(姜大直)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순(宋秉珣)의 서문, 권말에 기우만(奇宇萬)‧강천수(姜天秀) 등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
고서·고문서(11)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前縣監兪漢鼎, 柒原縣監姜膺煥等, 竝拿問處之事, 傳旨啓下矣。 李河永·沈㶊之, 今方待命, 卽爲拿囚, 而孫相龍以吉州牧使, 時在任所。 依例發遣府書吏, 交代後拿來。 盧廷尹時在任所, 尹師國以東萊府使, 時在任所, 竝交代後, 待待命拿囚, 閔游·李鎭翼·洪秉殷·丁載遠·沈重奎·金尙斗·朴光...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密陽府使洪秉殷, 醴泉郡守丁載遠, 醴泉兼任豊基郡守沈重奎, 龍宮縣監金尙斗, 安東前縣監申思運, 前縣監尹師國, 咸昌縣監朴光晦, 前縣監兪漢鼎, 柒原縣監姜膺煥等, 竝拿問處之事, 傳旨啓下矣。 李河永·沈㶊之, 今方待命, 卽爲拿囚, 而孫相龍以吉州牧使, 時在任所。 依例發遣府書吏, 交代後...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4750 B034750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8年 3月 2日_020 ... 縣薪智島爲奴罪人松得, 移配他島。 慶尙道河東府竄配罪人白處玄, 移配道內遠地。 長?縣安置罪人景煥·古正山, 移配道內遠地稍實事, 徒流案中書下矣。 金吉行·李道馨·姜膺煥·趙亨逵·李寅成·...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적첨사(德積僉使)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368 B049368 덕적첨사 德積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正祖 9年 12月 27日_014 張玹奎·李明奎爲忠翊將, 金爀爲中樞經歷, 吳璟爲晉州營將, 崔範重爲慶州營將, 姜膺煥爲大丘營將, 柳春?爲加德僉使, 李尙履爲法聖僉使, 李鼎九爲北虞候, 韓烱爲昌州僉使, 李廷爀爲洪忠...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鄭好仁·李聖圭·李在學·金履禧·李普溫·任希一·李基恒副司果, 柳誨·尹光顔·金瑞輯, 李顯三爲武兼, 尹範敍爲白翎僉使, 許溟爲城津僉使, 權聖鎭爲昌洲僉使, 曺憲章爲防踏僉使, 魚福龜爲登山僉使, 丁景達爲古今島僉使, 金光國爲善積僉使, 黃重錫爲龍媒僉使。 三度, 以姜膺煥爲高靈僉使, 金履彬...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강응환 / 姜膺煥 [문학/고전시가]
1735년(영조 11)∼1795년(정조 19).조선 후기의 무신. 강희맹(姜希孟)의 9세손으로 전라도 무송[茂松 : 지금의 고창(高敞)]에서 태어났다. 경과정시(慶科庭試)에 합격하여, 부장(部長)·사헌부감찰·칠원현감(漆原縣監)·초계군수(草溪郡守)·대구영장(大丘營將)·고
-
수사공강응환가전유물 / 水使公姜膺煥家傳遺物 [문학/고전시가]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암치리 강응환가(姜膺煥家)에 전하는 강응환의 유품. 영정(影幀)·지도(地圖)·저술(著述)·교지(敎旨) 등 4종 12점.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0호. 강응환은 일반적으로 강수사공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말년에 경상좌도수군절도사(慶尙左道水軍節度使
-
고령진민선정가 / 高嶺鎭民善政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조선 영·정조 때 관리인 강응환(姜膺煥)의 선정을 찬양하여 지은 가사이다. 강응환의 『물기재집(勿欺齋集)』 부록에 「무호가(武豪歌)」라는 가사와 함께 실려 전한다. 강응환이 고령진첨사(高嶺鎭僉使)로 있을 때 만들어진 노래로, 가
-
무호가 / 武豪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영·정조 연간에 강응환(姜膺煥)이 지은 가사. 국한문혼용체.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가 128구이다. 형식은 3·4조와 4·4조가 주조를 이루고 3·6조, 2·2조 등도 드물게 나온다. 『물기재집(勿欺齋集)』에 수록되어 전한다. 이 가사는 작자가 젊었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