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응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6)
- 강응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2(명종 17)∼1635(인조 13). 조선 중기의 의병장ㆍ학자. [내용]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명보(明甫), 호는 남계(南溪).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향병을 모집하여 경상도 상주를 지켰다. 그뒤 정기룡(鄭...이칭별칭 명보(明甫)| 남계(南溪)
- 강응철(康應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358 인물 강응철(康應哲) 강응철 康應哲 1562 1635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명보(明甫), 호는 남계(南溪).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모집하여 경상도 상주(尙州)를유형분류인물
- 연악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서원. [내용]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언성(朴彦誠)‧김언건(金彦健)‧강응철(康應哲)‧조광벽(趙光璧)‧강용량(康用良)의 덕행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 김지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권세를 잡은 간신 이이첨(李爾瞻)을 탄핵하는 소를 올렸으나 관철되지 않자, 은둔할 생각으로 고향에 돌아갔다. 그 뒤 이준ㆍ정경세를 비롯하여 조찬한(趙纘韓)ㆍ강응철(康應哲) 등 당시에 뜻있는 선비들과 서로 수창(酬唱 : 술과 시 등으로 세상일을 논함)하며 때를 기...이칭별칭 무회(?悔), 수초(守初)| 우연(愚淵)
- 남계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강응철(康應哲)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841년 후손 만원(萬元)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유주목(柳疇睦)의 서문 및 저자의 연보가 있고, 권말에 만원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고서·고문서(13)
- 南溪集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1225 0611_01 南溪集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전 종가, 일상생활, 교육생활, 문집, 南溪集, 康應哲 한자 전적 WL204.JPG 목판본 康應哲 선장본 辛丑年 28.4 19.5 2책 이전 종가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南溪集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1226 0611_02 南溪集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전 종가, 일상생활, 교육생활, 문집, 南溪集, 康應哲 한자 전적 WL204-8.JPG 이전 종가 상주박물관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南溪集 03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1227 0611_03 南溪集 03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전 종가, 일상생활, 교육생활, 문집, 南溪集, 康應哲 한자 전적 WL204-9.JPG 이전 종가 상주박물관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막내동생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막내동생 강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대경시(大庆市) 4 3 막내동생, 57세, 강응철, 인상, 려관, 불해, 피면, 송국현...대표표제어막내동생 | 성씨강
- 8 第八統統首姜應連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年伍拾戊寅本慶州父水軍奉上祖水軍同曾祖水軍奉元外祖正兵孫士同本密陽甲子戶口相准 第四戶 府案付御保姜應哲年伍拾肆甲戌本晋州父正兵弘男祖軍功部將善伊曾祖正兵甘道外祖正兵李連生本慶州妻金 分年肆拾壹丁亥本金海父正兵億福祖正兵者斤同曾祖通政大夫守福外祖正兵金永化本慶州率女自隱 連年柒辛酉率女自隱作...연도_면이름1687년_온양면(溫陽面) | 면이름온양면(溫陽面) | 마을이름第五西士浦里
주제어사전(3)
-
강응철 / 康應哲 [종교·철학/유학]
1562(명종 17)∼1635(인조 13). 조선 중기의 의병장·학자.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향병을 모집하여 경상도 상주를 지켰다. 그뒤 정기룡이 이끄는 의병과 뜻을 같이하여, 여러 곳에서 왜적들과 싸워 이를 무찔렀다. 벼슬은 찰방에 이르렀으나,
-
연악서원 / 淵岳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서원.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언성(朴彦誠)·김언건(金彦健)·강응철(康應哲)·조광벽(趙光璧)·강용량(康用良)의 덕행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
-
남계문집 / 南溪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강응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1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41년 후손 만원(萬元)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유주목(柳疇睦)의 서문 및 저자의 연보가 있고, 권말에 만원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