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우” 에 대한 검색결과 2,5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97)

사전(46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종교요감』(대종교총본사, 1971) 『대종교중광육십년사(大倧敎重光六十年史)』(대종교종경종사편수위원회, 대종교총본사, 1971) 1862(철종 13)~1932. 민족항일기의 대...
    이칭별칭 순서(舜瑞)| 호석(湖石)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筆 大韓每日申報 독립운동사 7(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6) 大韓民國獨立運動功勳史(金厚卿, 光復出版社, 1983) 大韓民國獨立有功人物錄(國家報勳處, 1997) 규 사진
    이칭별칭 찬구(燦九)| 일우(日愚)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81년(선조 14)∼? 조선 중기의 역관. [내용] 본관은 진주(晉州). 아버지는 주교수(籌敎授)였던 유경(有慶)이다. 자세한 생애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단편적인 기록이 남아 있다. 1592년 10월 진주성이 임진왜란으로 함락되면서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53(철종 4)∼? 조선 말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할아버지는 승지 순흠(淳欽), 아버지는 경산현령(慶山縣令) 희영(羲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74년(고종 1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기특과 결의형제를 맺은 강호인(江湖人)이다. 사치와 향락에 빠진 당 황제를 벌하고자 열 명의 강호인들과 결의형제를 맺고 기특에게 간다. 그러나 반란이 실패하고 기특이 자살하자 소가죽을 쓰고 소가 될 뻔 하는 등 여덟 가지 어려움을 겪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630)

  • 漁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30 詩集 卷三 ITKC_MP_0597A_0030_010_0130 楊漁者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
    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奎(규)피고死刑(사형)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奎(규)피고死刑(사형)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간첩, 국가보안법위반...
    대표표제어姜宇奎(강우규)피고死刑(사형)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간첩, 국가보안법위반
  • 7 第七統統首李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01년_범서면(凡西面) 1801년 범서면(凡西面) 第二尺果里 7 第七統統首李 第一戶 幼學李年伍拾柒乙丑本慶州父學生尙來祖學生興伯曾祖學生時淵外 祖學生裵斗星本金海妻李氏年伍拾捌甲子籍淸安父學生尙華祖學生命佑曾祖 學生善基外祖學生金德壽本慶州率婢千禮年參拾陸...
    연도_면이름1801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第二尺果里
  • 8 第八統統首朴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4년_온양면(溫陽面) 1774년 온양면(溫陽面) 第十五禿登里 8 第八統統首朴 第一戶 府軍官朴年參拾伍庚申本密陽父業武泰文祖嘉善英漢曾祖通政春成外祖正兵李謙本月城妻金姓年參 拾肆辛酉本金海父正兵自者未祖正兵時弘曾祖正兵命立外祖正兵河戒有本金海率母李召史年柒...
    연도_면이름1774년_온양면(溫陽面) | 면이름온양면(溫陽面) | 마을이름第十五禿登里
  • 7 七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1년_온양면(溫陽面) 1771년 온양면(溫陽面) 西士乙浦里 7 七統統首慶 第七統一戶 慶故代妻安姓年肆拾肆戊申本順興父忠儀命福祖忠義順文曾祖得尙外祖司果金世漢本金海 率婢戒化年肆拾壬子率婢戒丹年參己丑〈等戊子戶口〉相準 二戶 鰥夫武學朴奉才年柒拾貳庚辰本...
    연도_면이름1771년_온양면(溫陽面) | 면이름온양면(溫陽面) | 마을이름西士乙浦里

구술자료(12)

  • 전라남도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사설로 시작함. 소리 미상4) 중타령 \"중 내려온다 중내려온다\"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추동심5) 새타령 \"새가 새가 날아든다 새 중에는 봉황새\"라는 사설로 시작함.6) 곡명미상 “남산밑에 남도령아\"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심7) 곡명미상 \"저건네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강우심
  • 전라남도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사설로 시작함. 소리 미상4) 중타령 \"중 내려온다 중내려온다\"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추동심5) 새타령 \"새가 새가 날아든다 새 중에는 봉황새\"라는 사설로 시작함.6) 곡명미상 “남산밑에 남도령아\"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심7) 곡명미상 \"저건네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윤소녀
  • 전라남도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사설로 시작함. 소리 미상4) 중타령 \"중 내려온다 중내려온다\"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추동심5) 새타령 \"새가 새가 날아든다 새 중에는 봉황새\"라는 사설로 시작함.6) 곡명미상 “남산밑에 남도령아\"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심7) 곡명미상 \"저건네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추동심
  • 전라남도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사설로 시작함. 소리 미상4) 중타령 \"중 내려온다 중내려온다\"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추동심5) 새타령 \"새가 새가 날아든다 새 중에는 봉황새\"라는 사설로 시작함.6) 곡명미상 “남산밑에 남도령아\"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심7) 곡명미상 \"저건네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의섭
  • 전라남도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사설로 시작함. 소리 미상4) 중타령 \"중 내려온다 중내려온다\"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추동심5) 새타령 \"새가 새가 날아든다 새 중에는 봉황새\"라는 사설로 시작함.6) 곡명미상 “남산밑에 남도령아\"라는 사설로 시작함. 소리 심7) 곡명미상 \"저건네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신명읍

기초학문(30)

  • 18世紀의 學派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이환, 게재일 : 2001
    08722 오이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양철학회 2001 18世紀의 學派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a01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19-20세기 지리산권 學者의 尊周意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70428 한국연구재단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19-20세기 지리산권 學者의 尊周意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19~20세기 지역 艮齋 門人의 文藝 창작과 內含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정우, 게재일 : 2014
    47596 문정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방한문학회 2014 19~20세기 지역 艮齋 門人의 文藝 창작과 內含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19-20세기 학자의 지리산 인식과 천왕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8319 한국연구재단 우리한문학회 2010 19-20세기 학자의 지리산 인식과 천왕봉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19세기 지역 학자들의 「신명사도명」 해석과 그 의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8608 한국연구재단 경상대 남명학연구소 2010 19세기 지역 학자들의 「신명사도명」 해석과 그 의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232)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秋平(秋岡商會) 서울 秋平 秋岡商會 明治町 1-54-16 오락구및운동구 - 낚시 도구(釣具) 소매 21.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
    대표표제어秋岡宇平(秋岡商會) | 지역서울 | 품목오락구및운동구 | 영업종목낚시 도구(釣具)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楨은 안악군 림시 우톄쥬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楨은 안악군 림시 우톄쥬를 임다(六月一日)공쥬군슈 심건沈健澤셩쥬군슈 리호셕李鎬奭상환되고 쳔군슈 김하션명쳔군슈 리익호李翼鎬상환되고 흥덕군슈 김건한金建漢단셩군슈 박승텰朴勝轍 상환되고 운봉군슈 리민셩李敏星은산군슈 민영원閔泳原샹환되고 죵삼품 홍희洪㝆졔쥬군슈를...
    게재일1901년 6월 10일 | 기사분류관보
  • 太郞(イトウ連鎻店 本二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吉太郞(イトウ連鎻店 本二店) 서울 吉太郞 イトウ連鎻店 本二店 本町 2-80 복장품 - 게타(下駄) 소매 27.7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
    대표표제어吉岡友太郞(イトウ連鎻店 本二店)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게타(下駄)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민세안재홍전집 : 殉國先烈追念祭後記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925 1949 11 18 1 1 安民世 안재홍 殉國先烈追念祭後記 신문 한성일보 1면 2단 논설 사회 직접자료 선집외 殉國先烈追念, 安重根,李康秊, 全海山, 閔肯鎬, 奎 金相玉 羅錫疇 A19491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園所守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비 원소수직관은 창군 리창씨오 시원관은 봉시 셕씨가 피명얏더라
    게재일1904년 11월 9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27)

  • 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006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51면 성;晠 京城;京釜線 烏山驛前 普康醫院 재학생 제1학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4505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57면 (2) 졸업생일람 송;松 개성부 동본정 265 고보17회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4353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校友會誌 제7호 1932―12―13 25면 득;得 전라북도 김제군 김제면 효촌리 418;경북 선산군 고아면 高牙공립보통학교 사범과 제4회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5039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25면 득;得 전북 김제군 白鷗공립국민학교 제4회 192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8003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74면 철;哲 전북 제8회 1930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22)

  • / [종교·철학/대종교]

    1862-1932년. 민족항일기의 대종교 지도자. 어려서부터 한학 공부, 1895년부터 9년간 함경북도 성진·길주·경원 등 세 곳의 감리를 역임하였다. 1909년 대종교가 조직되자 입교하였다. 1921년에 남도본사를 부설하고 도사교위리로서 3년간 시무하였다. 1914

  • 규 /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독립운동가(1855-1920). 자는 찬구(燦九). 호는 일우(日愚). 1911년 북간도 망명, 1917년 길림에 인재교육을 위한 동광학교설립, 1919년 부임하는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를 향해 폭탄을 던졌다가 실패하고 체포되어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훈

  • 성 / [언어/언어/문자]

    1581년(선조 14)∼? 조선 중기의 역관. 본관은 진주(晉州). 아버지는 주교수(籌敎授)였던 유경(有慶)이다. 자세한 생애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단편적인 기록이 남아 있다. 그는 일본의 풍속을 잘 알고 있었으며 언어에도 능통하여, 1609년(광해군 1)에는 역과(

  • 최자남 / 崔子南 [역사/근대사]

    1876-1933. 독립운동가. 황해도 재령 출신. 노령(露領) 시베리아로 건너가 그곳에서 장사를 하였다. 1915년경부터 독립운동가들과 접촉하기 시작하였고, 특히 사이토(齋藤實)총독 저격사건을 일으킨 규(奎)와는 약 4개월간 같이 집에서 기거하기도 하였다.

  • 강수 / 降水 [지리/자연지리]

    대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액체 또는 고체로 변화되어 지표면에 떨어지는 기상현상. 강수는 주요 기후 요소 중 하나로, 지표에 떨어지는 수분의 총량을 강수량이라고 한다. 강수 현상에는 비·눈·우박·서리·이슬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와 강설(降雪)이 가장 대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