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용환” 에 대한 검색결과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65(고종 2)∼1938. 판소리 명창 및 창극 명인. [개설] 전라남도 무안 출신. 가야금산조의 명인인 태홍(太弘)의 아버지이며 판소리명창인 남중(南中)의 작은아버지이다. 이날치(李捺致)로부터 판소리를 배워 명창이 되었고...
  • ()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판소리연희담당 가 () (, 1865-1938)은 전남 무안(현재 전남 무안군)에서 태어나 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에 활동한 판소리 명창이다. 세습예인 집안 출신으로, 가야금산조 명인인 강태홍(姜太弘, 1894-1957)의 아버지이자, 판소...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서편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면이 있고 여러 가지 다양한 기교를 쓴다. 서편제 소리는 박유전(朴裕全)의 법제를 표준으로 하여 전승되어 온 것이다. 박유전의 소리는 그의 수제자 이날치(李捺致)와 정재근(鄭在根)에게 전해졌다. 이날치의 소리는 이창윤(李昌允)‧강룡환()‧김채만(金采萬)에게...
  • 창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터득하게 하였던 것이다. 실제로 20세기에 들어와서 창극발전에 절대적 구실을 하였던 ()‧이동백(李東伯) 등은 창희의 고정관객이었고 다른 명창들도 창희를 관람하였다. 그러므로 같은 인물이야말로 신재효‧김세종을 이어 판소리의 내재적‧외재적 계...
    이칭별칭국극
  • 조선창극사(朝鮮唱劇史)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윤(李昌允), 오끗준(吳-- ), 송재현(宋在鉉), 배희근(裵喜根), 장수철(張壽喆), 강재만(姜載萬), 김찬업(金贊業), 양학천(梁鶴天), (, 1865-1938), 백근룡(白根龍), 김질엽(金質燁, 1850-?), 김창환(金昌煥, 1855-1937), 신...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기타자료(1)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1561 남한 제주 제주농업학교 2-46 회원명부(1930년 3월 현재) 1930―03 15면 ; 제주도 중면 감산리 제7회(27명) 1927년 3월
    학교소재지역제주 | 학교명제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 [예술·체육/국악]

    항일기의 판소리 명창·창극 명인(1865-1938). 가야금산조의 명인인 강태홍의 아버지이며 판소리명창인 강남중의 작은아버지이다. 이날치로부터 판소리를 배워 명창이 되었고 서편제소리를 하였는데 계면조를 주장하였다. ‘심청가’ 및 ‘춘향가’를 창극화하였고, 최초의 본격

  • 은세계 / 銀世界 [예술·체육/연극]

    1908년 간행된 국초 이인직의 정치색이 짙은 친일개화소설이며, 신소설로서는 가장 먼저 무대에 올려진 작품. 1908년 11월 15일 원각사에서 당대의 명창 이동백, 등에 의해 상연되었다. 이 공연을 신극의 출발점이라고 보는 설과 신극이 아니라 단순히 구극의

  • 춘향전 / 春香傳 [예술·체육/연극]

    1903년 가을 이 창극화하여 원각사에서 공연한 작품. 이 시초의 <춘향전>은 한마디 대사도 없었고 장치 소품도 없이 배경으로 둘러친 백포장 앞에서 극중인물로 분장한 남녀 명창이 역할에 따라 발림을 하면서 소리를 하는 분창의 형식이었다. 전편을 앞과장 뒷과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