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엄” 에 대한 검색결과 3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3)

사전(22)

  • 근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저자의 증손 준연(駿然)이 간행하였다. 권두의 서는 없고, 권말에 준연의 후기가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92수, 권2‧3에 서(書) 40편...
  • TD_L13_D_0120 不與俯仰 심리·감정 , 爲人, 倜儻, 抗論, 直言, 徑情直行 朱悅, 高若海, 趙云 仡 麗史, 勝覽 D_12_01_14 대동운부군옥 12권 1장 1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1장 1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2_O_0009 南齊書 사서·역사학 蕭子顯, 江文通, , 沈約, 吳均, 沈遜 齊志, 齊書, 齊書, 齊春秋, 齊紀 O_15_01_02 오주연문장전산고 15권 1장 2절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5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근대신어 : 에이커(에카)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8774 에이커 아항 에카 Acre 三에카半 全部 大理石 花 3에이커 반 전부 대리석 화강암 청춘 1 1914 10 부86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5, 242면 エーカー:...
    출전청춘 | 계통분류 [과학지식] 도량형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애석(艾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애석 애석 艾石 쑥돌 강화도(江華島), 화강암(花) 문화예술/건축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시대 신지혜 [정의] 검푸른 잔 점이 많고 매우 단단한 화강암. [내용] 애석(艾石)은
    동의어쑥돌 | 관련어강화도(江華島), 화강암(花崗巖)

고서·고문서(312)

  • 주역대전 : 해제_40. ()의 주역(周易)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 58 해제 40. ()의 주역(周易) 은 영조 42년(1766)에 태어나 순조 33년(1833)에 작고한 조선 후기 성리학자로 자는 사언(思彦)이고, 호는 근암(謹庵)이다. 강인석(康仁碩)의 후손으로, 손재(損齋) 남한조(南漢朝)와 입재(...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47822 B047822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英祖實錄 四十五年(1769) 九月 영조실록_14509001_003 ○竄掌令韓鏶於絶島。 鏶上疏言: “鄕儒陳章, 宸衷激惱。 國子之長, 效執藝之義, 掌憲之臣, 陳匡救之忱, 不賜開納, 譴罰過重。 請竝收還成命。” 上旨切責,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주역대전 : 困卦_단전1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 19 困卦 단전1 彖曰, 困, 也, 「단전」에서 말하였다:곤괘는 굳셈이 가려진 것이니, 中國大全 傳 卦所以爲困, 以剛爲柔所掩蔽也. 陷於下而掩於上, 所以困也. 陷亦掩也. 剛陽君子而爲陰柔小人所掩蔽, 君子之道, 困窒之時也. 괘가 곤괘(困卦)가 된 까닭은...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立幾千仞仰悌突亢神魂▣自從混沌開闢來夸娥雷斧力能扛剝開山骨打成片雕鎪稜角出硿如壯士橫部曲只許斷頭身不降伏波銅柱安足誇天將葉表悍箕邦君不見綾波者將伏鎭節又不見德水詞客擁油幢詩鋒武略不兩大直輿雙巖添一雙是時秋高日色溥風烟慘慘迷征▣俯瞰憑夷窟茱萸錦席葡萄缸三更風起水氣昏但聞▣竇天淸瀧吹鏡擊筑間靑娥...
    출처전거咸境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玉洞 獐項峯 萬折洞 太上洞 洞 淸涼瀨紫雲潭 羽化洞 赤龍潭 降仙臺 國望峯 日出峯 月出峯 迦葉峯 熊虎峯 天灯峯彌勒峯 達摩峯 國馬峯 永郞峯 雁門峯 五賢峯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4)

  • 조선출판경찰월보 068호 기독신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파멸 또는 종교의 태도와 사상의 조류가 어떤 민족성을 파멸했다고 하는 역사와 #을 보지 못하는 뿐만이 아니라 오히려 견고하게 되어가는 것을 보는 것이 아닌가? 그 이탈리아 「파시즘」 정치와 독일 「나치스」의 ()한 독재 정치와 노당(勞黨) 「소비에트」의 전제주의...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68호 기독신보 | 출판물명기독신보(基督申報) 1934년 4월 4일
  • 투쟁에 용감히 참가하고 있으며 적의 후방을 혼란 파괴하는 일체 사업에 용감히 참가하고 있다. 오늘 남반부 전체 녀성들은 영예로운 공화국 깃발 밑에 우리의 경애하는 령도자 김일성 장군주위에 굳게 뭉치어 전쟁승리에도 돌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화국 남반부 녀성들의 한...
    대표표제어농민신문_1950_0730_03 | 날짜1950년 7월 30일 | 책임주필독고철
  • 전선은 더 많은 무기와 탄약을 요구한다. 전쟁의 신속한 승리를 위하여 생산속도를 더욱 높이라! 원료와 자재를 절약하라! 전선의 요구를 제때에 수응하라! 원쑤들이 파괴한 공장 복구에 용감성과 성을 발휘하라! 18. 공화국 남반부의 로동자들이여! 당신들을 가혹하게 착취...
    대표표제어조선인민보_1950_0812_01
  • 5만여명의 대군중이 홍수처럼 밀려드러 대성황을 이룬 한 기념식은 오후 1시부터 진행되여 국가제창, 각 사회 단체 대표들의 의의 깊은 축사 그리고 박수와 환호의 만세로 승리의 기빨을 날리였는 바 특히 중학교, 농림학교 고등학교 생도들의 힘차고 씩씩한 구호로써 새 조선...
    대표표제어정로_1946_0511_03

기타자료(5)

  • 김윤상;金閏相;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1762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94면 김윤상;金閏相;金 전남 목포부 조선신탁회사 지점 제26회 1939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제, 신라, 당이 웅진에서 맹약을 맺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新羅本紀 7 文武王 4年) 【원문】 (二月) 角干金仁問伊湌天存與唐勑使劉仁願百濟扶餘隆 同盟于熊津 (『三國史記』 6 新羅本紀 6 文武王 4年) 【원문】 至麟德元年 復勑 責不盟誓 卽遣人於熊嶺築壇 共相盟會 仍於盟處 遂爲兩界 盟會之事 雖非所願 不敢違勑 (『三國史記』 7 新羅...
    대표표제어백제, 신라, 당이 웅진에서 맹약을 맺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64년(甲子/신라 문무왕 4/고구려 보장왕 23/唐 高宗 麟德 1/倭 天智天皇 3)
  • 백제의 풍이 고구려와 왜에 사신을 보내어 당군에 맞설 구원병을 청하다 / 백제의 부여충승 등이 당에 항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記』 7 新羅本紀 7 文武王 4年) 【원문】 (二月) 角干金仁問伊湌天存與唐勑使劉仁願百濟扶餘隆 同盟于熊津 (󰡔三國史記󰡕 6 新羅本紀 6 文武王 4年) 【원문】 至麟德元年 復勑 責不盟誓 卽遣人於熊嶺築壇 共相盟會 仍於盟處 遂爲兩界 盟會之事 雖非所願 不敢違勑 (『三國史...
    대표표제어백제의 풍이 고구려와 왜에 사신을 보내어 당군에 맞설 구원병을 청하다 / 백제의 부여충승 등이 당에 항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3년(癸亥/신라 문무왕 3/고구려 보장왕 22/唐 龍朔 3/倭 天智 2)
  • 문무왕이 설인귀의 편지에 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存未降 不可以爲旣平 又且百濟 姦詐百端 反覆不恒 今雖共相盟㑹 於後恐有噬臍之患 奏請停盟 至麟德元年 復勑 責不盟誓 即遣人於熊嶺 築壇共相盟㑹 仍於盟處 遂爲兩界 盟㑹之事 雖非所願 不敢違勑 又於就利山築壇 對勑使劉仁願 歃血相盟 山河爲誓 畫界立封 永爲疆 百姓居住 各營産業 至乾封二...
    대표표제어문무왕이 설인귀의 편지에 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1(辛未/신라 문무왕 11/唐 咸亨 2/倭 天智 10)
  • 신라 문무왕이 薛仁貴에게 보낸 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雖未降下 卽可共相盟誓 新羅以爲準勑 旣平已後 共相盟會 任存未降 不可以爲旣平 又且百濟姦詐百端 反覆不恒 今雖共相盟會 於後恐有噬臍之患 奏請停盟 至麟德元年 復勑 責不盟誓 卽遣人於熊嶺 築壇共相盟會 仍於盟處 遂爲兩界 盟會之事 雖非所願 不敢違勑 又於就利山築壇 對勑使劉仁願 歃血相盟...
    대표표제어신라 문무왕이 薛仁貴에게 보낸 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766년(영조 42)∼1833년(순조 33). 조선 후기 성리학자. 강인석의 후손으로, 부친은 강윤조, 동생은 강검이다. 손재 남한조·입재 정종로 문하에서 수학하며, 제자백가의 서적 및 경전을 두루 익혔다. 1807년(순조 7) 식년시 생원 3등 24위로 합격하였으

  • 광양광산 / 光陽鑛山 [경제·산업/산업]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사곡리에 있었던 금·은 광산.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의 지리산편마암복합체(智異山片麻岩複合體) 중 화강암질편마암(花質片麻岩)·반상변정질편마암(斑狀變晶質片麻岩) 및 혼성편마암(混成片麻岩)으로 구성된 변성암과 경상계(慶尙系) 하부낙동층군(下部洛東層群

  • 근암집 / 謹庵集 [종교·철학/유학]

    의 문집. 목활자본, 4권 2책. 후손 주일재와 추수공이 주도하여 류주목의 교감을 받고, 종중과 사림에서 보조하여 증손 강준연이 1900년경에 간행하였다. 문집의 권두에 서는 없고, 권말에 강준연의 발문이 붙어 있다. 문집은 권1에 시 159제 184수가 실려

  • 남파유고 / 南坡遺稿 [종교·철학/유학]

    1편, 행장 1편, 유사 1편, 묘갈명 1편, 묘표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나라가 어지러운 때 고독한 자기의 뜻을 지키려는 고행의 면모를 지닌 감상적인 것이 많다. 「야방금강암(夜訪金)」·「춘행(春行)」·「대월(待月)」 등에서는 어두움 속에서 광명을 찾으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