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신철” 에 대한 검색결과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2)

  • 청년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李在五, 形成社, 1984) 한국민족운동사론(강만길, 한길사, 198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한국독립운동사연구회 편, 지식산업사, 1986) 80년대 학생운동사(, 1988) 한국기독교민권운동1‧2(한국기독교사회문제...
  • 학생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梁東柱, 靑坡出版社, 1960) 80년대 학생운동사( 외, 형성사 1988) 日帝下韓國學生獨立運動史(金成植, 正音社, 1974) 학생운동논쟁사(편집부 편, 일송정, 1990) 한국변혁운동논쟁사(권형철, 일송정, 1990)...

고서·고문서(1)

  • 30년 9월 13일자 조선관광기념 경성이란 인장이 찍혀있다. 사진은 한강에 새롭게 개설되는 철근구조물 다리이다. 경성, 명승, 한강, 철교, 신철도교 일본어, 영어 최종길 신동규 신동규 京城名所 , 漢道橋, The New Iron Bridge...
    자료명한강 신 철도교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2)

  • 권용세 음악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대전풍류 권용세 신은휴 신창휴 윤창수 김창희 강명균 오창헌 전영동 이영산 이경호 김덕규 심남섭 이태걸 이종근 송희철 오재근 이상덕 송인화 이농춘 최준현 조창훈 김영균 사재성 박인기 대전정악원 풍류방 율회 가야금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권용세
  • 임윤수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활동한 율객들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대전풍류 예산풍류 뒷풍류 굿거리 소심구락부 연정국악원 해동병원풍류방 임윤수 최윤 신창휴 임석윤 윤창수 이태호 김덕규 심남섭 이규성 이태걸 이농춘 오도영 김명진 풍류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임윤수

기타자료(1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80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3면 ; 제8회 1941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3422 남한 경성 선린상업학교 1-31 靑坡제12호 1933―01 177면 1. 1933년도 B조 졸업생(39명)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선린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4202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예과 1-17 경성제국대학예과일람 1924 83면 1. 생도;1) 씨명 (168명);(2) 文科 1학년 B조(43명) ; (본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예과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 36명) ; (원적)京城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예과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4386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27 90면 1. 학생 및 생도 성명 (1927년 3월 1일 현재);2) 法文學部;(1) 學生(79명);e. 문학과(20명)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879-1949. 일제강점기 유학자. 자는 길원(吉元), 호는 퇴산(退山)이다. 본관은 진양(晉陽)으로, 경상남도 밀양부(密陽府) 청운리(靑雲里)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강문영(姜文永), 조부는 도암(道巖) 강만형(姜晩馨), 아버지는 주사(主事) 강상희(姜象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