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신” 에 대한 검색결과 2,7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63)

사전(95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신천(信川). 인석(仁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윤리(允釐)이고, 아버지는 부사 거의(居義)이며, 어머니는 안렴사(按廉使) 신우(申祐)의 딸이다. 부인은 경주부윤 오식(吳湜)의 딸이다.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3(중종 38)~1615(광해군 7). 조선 중기의 문신.
    이칭별칭 면경(勉卿)| 동고(東皐)| 의간(毅簡)|진흥군(晉興君)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담은 띠의 묶음과 모래) 위에 부어 신을 내리게 하는데, 대제(大祭) 때의 영신(迎神)이 이에 해당한다. 은 기독교에서는 신이 자신을 드러낸다는 의미의 계시와 같은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다. 신종교의 경우, 동학의 창시자인 최제우(崔濟愚)의 종교체험에서처럼...
  •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가면극연희구성 가 ()은 하회별신굿이나 강릉단오제 등 동제(洞祭)와 읍치제의(邑治祭儀)에서 신내림을 위한 과정이다. 하회별신굿의 경우, 은 화산(花山) 중턱에 있는 서낭당에서 진행되는 제의이다. 섣달 그믐날 내림대를 든 산주와 서낭대를 멘 대광대,
    대분류가면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TD_L14_D_3409 인물 侍講院弼善, 詩名 我世宗朝 信川 D_15_02_27 대동운부군옥 15권 2장 2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2장 2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232)

  • 14679 B014679 인물 輿地圖書 黃海道 長淵 古跡 ... 08]海安坊倭變時築城防守處也) 舊鎭(在府西五十里海安坊卽吾义古營今防船留泊處也) 釡山(在府西四十里海安坊古置監牧官竝屬白翎今廢) 聖齋洞(在府南二十里樂山坊千佛寺西當壬辰倭變時本寺僧海日適役鄕校事急與訓導...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參神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ws_00087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五 祭禮_時祭 參神 參神 이익(李瀷, 1681~1763) DRAC_5:2:1:9Q “參神”、“”條, 設饌奉主 主: 《星湖全集》에는 ‘主’ 뒤에 ‘時’가 있다. , 則皆有“盥洗”之文, 而至、...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흑룡문 류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해림현(海林县) 신합향(新合乡) 흑룡강성 해림현 신합향 4 3 흑룡문, 사...
    대표표제어흑룡강신문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흑용문 김 남자 충청북도 영동군 길림성(吉林省) 도문시(图们市) 북방교전상점 1 1 흑용문, 1985년,
    대표표제어흑용강신문 | 성씨
  • 一再拜之由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ws_00148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五 祭禮_時祭 一再拜之由 一再拜之由 이익(李瀷, 1681~1763) 時祭灌酒後一再拜恐闕誤 DRAC_5:2:1:70 按, 《郊特牲ㆍ疏》云: “朝踐時, 取膟膋燎於爐炭, 入而 而: 《星湖全集》에는 ‘...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11)

  • 항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족관계와 성장기, 서울대학교 재학시절, 학도호국단, 한국전쟁,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공군 입대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의 구성,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의 역할, 한국전란1년지 집필을 위한 자료수집 방법, 한국전란1년지 집필 과정, 공군 정훈장교로서의 직책과 활동 내용,
    분야역사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현대사와 군
  • 06_209 경남 경상남도 의령군 경상남도 의령군_상사 상사 상사뒤 소리 경상남도 의령군 용덕면 교암리 1987.3.11 素87-3-11②A 1. 정종덕 2. 찬 정종덕(1927년생.남.토민) 찬(1933년 용덕면 신촌리 출생.남.교암리 거주) 이소라 이
    녹음지역경상남도 의령군 용덕면 교암리 | 녹음날짜1987.3.11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경상남도 창원시_1. 사, 항사 2. 상사 3. 지게말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
    포리) 1989.2.23 素89-2-23①A 1. 상 2,3. 홍오영 상(1907년생.남.토민), 홍오영(1919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1,2. 상사 류 3. 호령 류 1,2. 멕받형(선후창) 3. 독창 1. 사 -
    녹음지역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내포리 (옛 의창군 구산면 내포리) | 녹음날짜1989.2.23 | 가창방식1,2. 멕받형(선후창) 3. 독창
  • 박인숙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일생에 관해 설명한 대담이다. 2) B면 00:00-10:30에는 찬송가가 녹음되어 있다. 3) 음질 상 박인숙 내림굿 무당 무 영신 신어머니 신딸 최영장군 선덕여왕 무속음악 미상 미상 31:0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인숙
  • 03_056 충북 충청북도 보은군 충청북도 보은군_저러구 한다 저러구 한다 저러호 허네 충청북도 보은군 산외면 장갑리 1987.5.6 素87-5-6②B 황의선 황의선(1922년 보은읍 리 출생.남. 1937년경에 장갑리 입촌) 이소라 이소라 잘한다 류 중의 저러구
    녹음지역충청북도 보은군 산외면 장갑리 | 녹음날짜1987.5.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42)

  • 인도와 간다라의 집금(執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영애, 게재일 : 2007
    03314 임영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7 인도와 간다라의 집금(執金)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인도와 간다라의 執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영애, 게재일 : 2007
    41205 임영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7 인도와 간다라의 執金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념 모델을 이용한 운동참여 의식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지영, 게재일 : 2013
    51909 이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스포츠학회 2013 건념 모델을 이용한 운동참여 의식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념모형을 이용한 운동참여 측정도구 개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지영, 게재일 : 2012
    51910 이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2 건념모형을 이용한 운동참여 측정도구 개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재 「해방촌 가는 길」에 나타난 폭력적 시선과 젠더정체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원희, 게재일 : 2015
    45111 김원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재 「해방촌 가는 길」에 나타난 폭력적 시선과 젠더정체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247)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入三(-) 목포 入三 - 湖南町 - - 운송업 - 34 통관업, 용달 겸업 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入江辰三(-) | 지역목포 | 품목- | 영업종목운송업 | 자료출처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祖父三(-) 부산 祖父三 - 大廳町1-33 - - 곡물 - 205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祖父江新三(-)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곡물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藤一(藤岡商店) 서울 藤一 藤岡商店 漢江通 3-10 종이_문고_도서 - 지함(紙函) 제조 3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
    대표표제어藤岡新一(藤岡商店) | 지역서울 | 품목종이_문고_도서 | 영업종목지함(紙函)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洪(寶屋洋服店) 서울 洪 寶屋洋服店 黃金町 3-32 복장품 - 신고 기성양복(新古旣成洋服) 소매 1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
    대표표제어姜信洪(寶屋洋服店)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신고 기성양복(新古旣成洋服)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鎬(廣惠堂藥局 ) 수원 鎬 廣惠堂藥局 北水町 298 - - 약종상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姜信鎬(廣惠堂藥局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약종상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멀티미디어(58)

기타자료(214)

  • 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5119 일본 福岡 九州帝國大學 九州帝國大學一覽 昭和8年 1933―09―30 360면 항;恒 조선
    학교소재지역福岡 | 학교명九州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638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84면 1. 졸업생상황(1935년 1월 조사) 환;煥 北間島;경성 정동 이화전문학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우;宇 경상남도 창원 소화10년 3월8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5549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44면 령;令 한성은행 대구지점 제12회 1934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7556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59면 묵;默 경성부 장사정 제31회 1937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3)

  • / [종교·철학/유학]

    1543(중종 38)∼1615(광해군 7). 조선 중기의 문신. 강영숙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온, 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 어머니는 임간의 딸이다. 강사안에게 입양되었다. 1567년(명종 22) 수석으로 진사가 되고, 1577년(선조 10)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 명 / [종교·철학/개신교]

    1909년∼1985년. 목사·교육자. 1938년에 평양의 장로회신학교 본과를 마치고 1940년에 일본의 동경신학교에서 수학하였다. 광복 후 1953년에 미국의 프린스턴신학교에서 신학석사학위, 1964년에는 미국의 스털링대학으로부터 명예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5

  • 재 / [문학/현대문학]

    소설가. 1924년 서울 남대문로에서 의사인 강태순과 이순환 사이에서 4남매 중 장녀로 태어났다. 1932년함경남도 천마소학교에 입학했으나 1937년 부친의 사망으로 서울로 이주해 덕수소학교를 졸업했다. 1943년경기여고를 거쳐 이화여전에 진학했으나 1944년 서임수와

  • 철 / [종교·철학/유학]

    1879-1949. 일제강점기 유학자. 자는 길원(吉元), 호는 퇴산(退山)이다. 본관은 진양(晉陽)으로, 경상남도 밀양부(密陽府) 청운리(靑雲里)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강문영(姜文永), 조부는 도암(道巖) 강만형(姜晩馨), 아버지는 주사(主事) 강상희(姜象熙)이다

  • 금강역사 / 金剛力士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신이름. 금강저를 쥐고 불법을 호지하는 천신으로서 불교의 수호신이며,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람신이기도 하다. <능가경>에는 '금강역사 상수시위' 라는 글귀가 나온다. 보통 사찰 문의 왼쪽에는 밀적금강, 오른쪽에는 나라연금강이 서 있다. 우리나라 것으로는 석굴암 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