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상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7)
- 강상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가. [개설] 북한 정권 수립 초창기 소련파의 일원으로 입북하여 활동하였으며, 1959년 말 소련파 숙청시기에 소련으로 망명한 후 소련 해체 직전부터 반 김일성 체제 운동을 주도하였다. [생애] 강상호씨...
- 형평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 취체(取締)를 법제화할 것을 요망하였다. 이러한 백정들의 신분에 대한 불만은 형평사 조직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1923년 4월 25일 진주에서 백정의 신분으로 자산가가 된 이학찬(李學贊)이 백정에 대한 교육차별에 분개하여 신현수(申鉉壽 : 양반)‧강상호(姜...
- 평원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590년(평원왕 32). 고구려 제25대 왕. [개설] 재위 559년∼590년. 이름은 양성(陽成) 또는 탕(湯). 일명 평강상호왕(平岡上好王)‧평강왕(平岡王)‧평국왕(平國王)이라고도 한다. 양원왕의 장자로 태어나 557년(양원왕 1...이칭별칭양성(陽成)|탕(湯)|평강상호왕(平岡上好王)|평강왕(平岡王)|평국왕(平國王)
- 양원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구려 제24대 국왕[생몰년: ?∼559(양원왕 15), 재위: 545∼559]. [개설] 양강상호왕(陽崗上好王) 또는 양강왕(陽崗王)이라 했으며 이름은 평성(平成)이다. 안원왕(安原王)의 맏아들로 533년(안원왕 3)에 태자로 책봉되었...이칭별칭양강상호왕(陽崗上好王)|양강왕(陽崗王)|평성(平成)
- 기석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는 소련으로 되돌아갔다. [활동사항] 기석복은 1945년 12월 초에 소련의 구역당기관 및 행정 분야에 근무했던 조선인 그룹 허가이(許哥而), 방학세(方學世), 박의완, 강상호(姜尙昊), 김열, 김승화, 김택영, 김찬(金燦) 등과 함께 3진으로 입북하였...
고서·고문서(16)
- 주소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주소 신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치치하얼시(齐齐哈尔市) 건화구(建华区) 강상호동11호 6 6 주소, 흑룡강성, 치치...대표표제어주소 | 성씨신
- 선생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선생님 신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치치하얼시(齐齐哈尔市) 건화구(建华区) 강상호동11호 6 1 선생님, 동포, 안녕...대표표제어선생님 | 성씨신
- 밤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밤 신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치치하얼시(齐齐哈尔市) 건화구(建华区) 강상호동11호 6 2 밤, 방송, 찾는것, 기...대표표제어밤 | 성씨신
- 돈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돈 신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치치하얼시(齐齐哈尔市) 건화구(建华区) 강상호동11호 6 4 돈, 있으면, 성시, 아...대표표제어돈 | 성씨신
- 자기능력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자기능력 신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치치하얼시(齐齐哈尔市) 건화구(建华区) 강상호동11호 6 3 자기능력, 성시,대표표제어자기능력 | 성씨신
신문·잡지(8)
- 함남인민보_1949_0517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5 림상준 함남인민보사 강상호, 김창봉, 김증동, 김홍, 김대섭, 김기만, 리재운, 리승호, 리활, 리두찬, 리익성, 리근산, 박우섭, 박금철, 박효삼, 백학림, 서철, 석두관, 심승섭, 심태산, 안빈, 안영, 왕련, 장평산, 전문섭, 전창철, 정학...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517_01 | 책임주필림상준
- 모스크바삼일문화원_1998_01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극동한인 강제이주 회상록-2시련과 고난을 넘어서 (2) 강상호 24 모스크바 경로대학 28 제3회 한국어웅변 및...발행국가러시아 | 발행연도1998
- 모스크바삼일문화원_1998_0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들(1901-1937) 보리스 박 26 극동한인 강제이주 회상록-시련과 고난을 넘어서 강상호 29 북한동포를 위한 국제 금식의 날 ...발행국가러시아 | 발행연도1998
- 모스크바삼일문화원_1998_01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러시아-우크라이나 복음주의 침례교회사 남정우 16 극동한인 강제이주 회상록-시련과 고난을 넘어서 (3) 강상호 24 극동한인 강제이...발행국가러시아 | 발행연도1998
- 조선문조선_1923_06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사회의 현실과 요구 강상호 63 내지의 미작수확고 63 지정면의 추가실시와 기 증설된 면명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3
기타자료(5)
- 강상호;姜尙鎬;석천상호;石川尙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5174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84면 강상호;姜尙鎬;석천상호;石川尙鎬 김제군 백산면 조종리 459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교육논단) 다음세대를 위한 준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강상호 1992 3 교육경남 108호 경상남도교육청 166-171 6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상호 | 사료철명교육경남
- (경영자료 학급경영) 나의 학급경영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강상호 1993 12 교육경남 115호 경상남도교육청 201-202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상호 | 사료철명교육경남
- (경영자료) 논리적표현 이렇게 지도한다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강상호 1994 3 교육경남 116호 경상남도교육청 138-139 2...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상호 | 사료철명교육경남
- (교육 지도 사례) 학습 부진아 지도 중학교수학과를 중심으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과정 교과교육 잡지 강상호 1991 9 교육제주 73호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상호 | 사료철명교육제주
주제어사전(2)
-
강상호 / 姜相湖 [역사/근대사]
1919-1945.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전라남도 순천시(順天市)이다. 일본으로 유학하여 요코하마[橫濱] 전문학교에 입학하였다. 1941년 도쿄에서 유학 중이던 배종윤(裵宗潤)·원용학(元容鶴) 등과 함께 일제가 강행한 창씨 개명 및 조선어 폐지 등의 식민정
-
한규상 / 韓圭相 [역사/근대사]
1896-197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한판도(韓判道)이다. 본적은 경상남도 진주(晉州)이다. 1919년 독립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강달영(姜達永)·강상호(姜相鎬)·김재화(金在華)·박용근(朴龍根)·박진환(朴進煥)·이강우(李康雨) 등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