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봉문” 에 대한 검색결과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4)

  • 옥계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29년(순조 29) 손자 주복(周福)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야순(李野淳)의 서문, 권말에 유심춘(柳尋春)ㆍ박시원(朴時源)ㆍ유상조(柳相祚)의 발문이 있...
  • 벽계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장기동에 있는 서원. [내용] 1860년(철종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 안동미림동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원남부와 충청북도와는 다르기 때문에 학술적 관광적 가치가 있는 곳이다. 안동과 영주 사이에 국도와 중앙선이 동부를 지나 교통이 좋고 동굴 부근에는 ()의 효행과 학문을 기리는 벽계서원(碧溪書院)과 그의 위패가 있는 상효사(尙孝祠), 공민왕...
    연계항목안동미림동굴(安東美林洞窟)
  • 삼척신리소재너와집및민속유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로 20㎝, 세로 15㎝쯤 되는 구멍을 뚫어놓고 저녁에는 이곳에 관솔불을 지펴서 방안을 밝힌다. 본디 조명이 목적이나 난방의 구실도 겸하여 어린이들은 이 불에 감자나 고구마를 익혀 먹기도 한다. 의 집은 김진호의 집에 비하여 윗방이 사랑방 북쪽에 배치되는...
    연계항목삼척신리소재너와집및민속유물(三陟新里所在너와집및民俗遺物)

고서·고문서(7)

  • 等狀 1장, 56x93.2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明禮宮에 올리는 等狀 1893년(癸巳) 11월 일 金乃厚/吳士彬/金明允/申成允//丁中文/裵德煥/千其學/金有根/李允三/李箕成/朴太有/曺仁煥/朴泰完/文應三/姜永文...
    자료명內需司 文績類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913년 안동군 북후면(北後面) 장기동(場基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장기동은 1914년 당시 북후면 소재지였으며, 장기(장터, 구장터), 黃鳥谷(황새곡, 황사곡), 碧寺(벽절) 등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황조곡은 安東 權氏의 동성마을이다. 벽사는 지금부터 약 280년 전 이 처음 정착한 마을로 당시에는...
    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 1 第一統統首朴文相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本晋州妻朴氏年肆拾肆甲申本密陽父學生思渾祖學 生性烈曾祖學生履禮外祖學生崔達崑本永川婢五辰前逃亡等甲子戶口相准
    연도_면이름1867년_농서면(農西面) | 면이름농서면(農西面) | 마을이름第七新畓里
  • 溪翁行實後 13 姜周福(1782∼1851)의 선조 玉溪 (1735~1815)의 효행실기를 읽고 그 끝에 써 준 글이다. 옥계옹이 어버이를 모시고 스스로 힘쓴 것은 가정의 법도로 삼아 실추시키 지 않으면 그 아름다움이 드러나고 후세에 전해질것이라고 한다. 의...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강고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효자전」을 읽고 소감을 기록해 놓은 글이다. 변 효자는 比安縣 사람이라고 한다. 書玉溪遺藁後 (15) (1735∼1815)의 문집인 『옥계유고』를 읽고 그 소감을 기록한 글이다. 李孝女傳 (17) 1797. 장수(長水) 현감으로 있을 때 李良溵의 딸이 효...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 지도군을 병신년에 신셜후로 군거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지도군을 병신년에 신셜후로 군거 리남현 등륙인이 간리를부동야 지금 다섯헤에 명업시 인민의물을 토폐단을 리로 말슈 업거니와 어부와 렴민의게 륵탈것이 슈만량이오 지금 공관이 되여 더욱 횡니 본군슈를 속히려보여야 셩이 살겟다고 그곳 인민이...
    게재일1900년 10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735년(영조 11)∼1815년(헌종 14). 아버지는 강득위이다.유홍원에게서 배웠다. 가문은 비록 한미했지만, 효자로 이름이 높았고, 학문에 힘을 쏟아 그를 따르는 문인이 100여인에 이를 정도로 많았다고 한다. 저서로《옥계유고》가 있다.《옥계유고》는 1829년(순

  • 벽계서원 / 碧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장기동에 있는 서원. 1860년(철종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가

  • 옥계유고 / 玉溪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손자 주복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야순의 서문, 권말에 유심춘·박시원·유상조의 발문이 있다.권1에 시 5수, 서 2편, 기 1편, 제문 8편, 권2에 부록으로 행장 1편, 묘갈명·묘지명 각 1편, 제문

  • 안동미림동굴 / 安東美林洞窟 [지리/자연지리]

    주 사이에 국도와 중앙선이 동부를 지나 교통이 좋고 동굴 부근에는 ()의 효행과 학문을 기리는 벽계서원(碧溪書院)과 그의 위패가 있는 상효사(尙孝祠), 공민왕이 쌓았다는 학가산성(鶴駕山城)이 있다. 또한, 물한리에는 작산정사(鵲山精舍), 도촌리에는 도계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