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복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2)
- 경헌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강복선(姜復善)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서문과 발문은 없으나 맨 끝에 1894년(고종 31) 강복선의 족형인 강건선(姜健善)이 지은 행장이 있어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서지적 사항] 6권 3책....
- 강복선(姜復先)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330 인물 강복선(姜復先) 강복선 姜復先 1608 1682 조선 후기의 인물.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효초(孝初), 호는 고송(孤松). 1646년 39세 때 식년(式年) 문과(文科) 을과(乙科) 6위로 급제...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11)
- 1679년 강복선(姜復先)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기미년 4월 29일에 강복선(姜復先)이 숙주(叔主)에게 보낸 편지로, 상대방에게 안부를 묻고 여러 가족 및 친척들이 건안한 지 궁금하다고 했다. 자신은 묵은 병이 회복을 보이는가 싶더니 재발하는 증세가 반복되어 매우 괴롭게 지낸다고 했다. 매사에 좋은 일들만 이어지길...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679년 강복선(姜復先)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기미년 4월 29일에 강복선(姜復先)이 숙주(叔主)에게 보낸 편지로, 상대방에게 안부를 물으면서 고을 원님이 관아로 돌아온 이후 평안한 지 궁금하다고 했다. 근래 지독한 가뭄으로 인해 온 백성들이 고통을 당하지만 관아에서는 이를 돌보지 않아 원망스럽다고 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縣監, 趙聖達爲銀溪察訪, 姜栢年爲刑曹參議, 趙汝彬爲監察, 南斗杓爲廣興主簿, 申爲司饔奉事, 白大璡爲仁同府使, 朴廷生爲碧潼郡守, 金時卨爲博川郡守, 閔埏爲熙川郡守, 許恪爲寧遠郡守, 金夢男爲南海縣令, 李憕爲渭原郡守, 丁彥璧·吳燦·許悅爲典籍, 姜復先爲校檢, 權大運爲司䆃直長,...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경헌유고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따라 서양의 도적들을 배척함에, 오랑캐인 청나라를 배척하는데 解弛하지 않다면 서양과 왜적들을 배척하는데 도움이 있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上確齋先生 洪大心에게 보내는 편지글로, 姜復善이 여러 선생들로부터 가르침을 받고 여러 君子들의 보살핌을 받게 된 것은 모두 洪...분야문학 | 유형문헌
- 거제현령(巨濟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文益晙爲玉果懸監, 沈儒行爲承文院副正字, 姜復善爲校書正字, 韓恒缺 爲碧潼郡守, 田皞民爲祥原郡守, 金振聲爲朔州府使, 金汝老爲德川郡守, 崔克誠爲三登縣監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보위_1950_0725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요구하여 싸웠다. 토지를 요구하여 싸우던 여러 젊은이들은 놈들에게 학살당하였다. 그러다가 우리는 인민군대에 의하여 해방되였고 또 자나깨나 원하던 토지의 주인이 되었다. 우리 부락에서 총살된 강복선 최서집 리종권이는 이제야 땅속에서도 기뻐할 것이다. 나는 우리에게 땅을...대표표제어보위_1950_0725_03 | 책임주필정청산
기타자료(2)
- (교육논단) 교육과 사회의 관계적 고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강복선 姜福善 1993 9 충북교육 110호 충청북도교육연구원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복선 | 사료철명충북교육
- (교육논단) 학교교육계획 수립의 체계화 -MBO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잡지 강복선 1992 3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복선 | 사료철명충북교육
주제어사전(2)
-
강복선 / 姜復善 [종교·철학/유학]
1852(철종 3)∼1891(고종 28) 아버지는 강응주, 어머니는 청주 한씨이다. 유시수를 스승으로 섬겼다. 유시수의 문인 중에 이항로에게 수학했던 홍대심이라는 자가 있어 그와 사우관계를 맺었다. 이익의 문집을 교정하는 일에 참여 요청을 받은 적이 있으나, 끝내 성사
-
경헌유고 / 敬軒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 강복선의 시문집. 6권 3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은 없으나 맨 끝에 1894년(고종 31) 강복선의 족형인 강건선이 지은 행장이 있어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권1∼3에 시 103수, 서 104편, 권4∼6에 서 4편, 기 14편, 발 2편, 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