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목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
사전(26)
- 강목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역사를 연ㆍ월ㆍ일순에 따라 강(綱)과 목(目)으로 기록하는 편찬 체재. [개설] 강목형식이라고 칭해야 올바른 것이다. 줄거리 기사를 큰 글씨로 쓴 것을 ‘강(綱)’이라 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내용을 ‘목(目)’이라 한다. ...
- 여사제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 강요(綱要)를 알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성리학자였던 저자는 우리나라 사서에 이미 학문적 불만을 느껴 강목체로 간략한 사서를 저술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가 고려사만을 택한 것은 그 이전의 역사적 기록은 믿을 만한 것이 못 되기 때문이라고...
- 송원화동사합편강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항로(李恒老)의 주도로 편찬된 고려‧송‧원대의 역사서. [개설] 33권 33책. 목판본. 주자(朱子)의 강목체(綱目體)를 따랐다. 33권 중 원편(原篇)이 29권이고 부편(附篇)이 4권이다. 송시열(宋時烈)의
- 황조편년강목비요(皇朝編年綱目備要)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사서 황조편년강목비요(皇朝編年綱目備要)陳均, 南宋 『皇朝編年綱目備要』는 南宋 陳均(생몰년 미상)이 지은 강목체 사서이다. 총 30권으로, 理宗 紹定 연간(1228∼1233)에 완성되어 端平 2년(1235)에 上進되었다. 시기적으로 北宋 太祖부터 南宋 孝宗까지 다루고...서명황조편년강목비요(皇朝編年綱目備要) | 간행陳均, 南宋 | 개요고려시대 관련 중국, 일본 사서
- 본국편년강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通錄)』과 『벽암록(碧巖錄)』 등의 선록(禪錄)이 참조되었음은 『고려사』를 통해 확인된다. 체재는 서명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편년체(編年體)와 강목체(綱目體)를 결합한 형식으로 여겨진다. 즉 조선조의 『동사회강(東史會綱)』‧『여사제강(麗史提綱)』 등과 같이 여러...이칭별칭본조편년강목|편년강목
고서·고문서(4)
- 『조선역대사략(朝鮮歷代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1895년 음력 10월에 발간하였다. 순한문의 편년강목체 역사서로 고대사부터 1895년까지의 당대사까지 서술하고 있다. 2. 저자 학부(學部)는 1895년(고종 32) 4월에 설치되어 1910년 대한제국이 일제에 의해 강제병합되는 시기에 이르기까지 존속한 관청이다....서명 『조선역대사략(朝鮮歷代史略)』
- 『조선역사(朝鮮歷史)』 (권1-권3)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다. 『조선역사』는 편년체로 서술되어 있으며, 주자의 강목체(綱目體)에 기반한 정통론을 고수하는 점, 중국 연호도 병기하고 있다는 점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연대 표시는 조선왕조의 개국을 기원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사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된다....서명 『조선역사(朝鮮歷史)』 (권1-권3)
- 『대동역사(大東歷史)』 (권1-권12)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다는 점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즉 의(義)라는 가치를 강조하면서 유교적 가치관에 따른 포폄을 중시하는 태도를 함께 보이고 있다. 이 점은 책의 편제와 내용에서도 드러나는데, 체제와 범례는 주자의 강목체를 따랐고 용어 사용과 포폄도 철저했던 것이다. 이렇듯 정교는 역사...서명 『대동역사(大東歷史)』 (권1-권12)
- 『중등교과동국사략(中等敎科東國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에 나타난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첫째, 역사서술 체제의 구축이었다. 현채는 기존 역사서가 체제가 없다고 한탄하였고, 우리 역사를 제대로 서술할 능력이 없어서 일본의 역사서를 역술하는 현실을 부끄럽게 생각하고 있었다. 물론 기존 역사서에는 강목체와 편년체에 입각한 왕...서명 『중등교과동국사략(中等敎科東國史略)』
기초학문(1)
- 안정복이 『동사강목』에서 강목체 필법으로 쓴 인물 평가와 그 위계 질서 -明統系‧嚴簒逆‧褒忠節 筆例와 기존 강목체 史書와의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남일, 게재일 : 201356163 김남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학사학회 2013 안정복이 『동사강목』에서 강목체 필법으로 쓴 인물 평가와 그 위계 질서 -明統系‧嚴簒逆‧褒忠節 筆例와 기존 강목체 史書와의 비교- https://www.k유형논문 | 게재일2013
연구과제(1)
-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정병준 | 동국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
-
강목체 / 綱目體 [역사]
역사를 연·월·일순에 따라 강과 목으로 기록하는 편찬 체재. 줄거리 기사를 큰 글씨로 쓴 것을 ‘강(綱)’이라 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내용을 ‘목(目)’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