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릉향교” 에 대한 검색결과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6‧25전쟁 때 대부분 소실되고 현재『공부자성적도(孔夫子聖蹟圖)』 등 70여 권이 있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99호로 지정되어 있다. 『지(誌)』(1982)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연계항목강릉향교(江陵鄕校)
  • 박광우묘소및신도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선정을 베풀어 당시 부민(府民)이 세운 ‘府使朴光佑去思碑(부사박광우거사비)’가 보호각에 현존한다. 그는 ≪동국여지승람≫의 편찬에도 참가하였으며,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유배 도중에 장독(杖毒)으로 죽었다. 이이(李珥)의 상소로 복관되었으며, 청주 송천서...
    연계항목박광우묘소및신도비(朴光佑墓所및神道碑)
  • 문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계단까지는 신도(神道)를 둔다. 대성전의 평면은 일반적으로 장방형이나, 칸수는 일정하지 않다. 보통 앞면에는 퇴(退)를 두어 개방하고 있다. 예컨대, 서울의 문묘나 대성전에서는 앞면에 개방된 툇간을 두었으나, 경주향교의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에...
  • 대성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울 문묘 및 성균관(대성전ㆍ동무ㆍ서무ㆍ삼문ㆍ명륜당) 서울 종로구 명륜동. 보물 제141호. 대성전은 문묘의 시설 가운데 공자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대성전
  • 나주향교대성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위패를 모시고 있다. 이 건물은 서울문묘‧장수향교‧와 더불어 가장 큰 규모에 속하며, 향교건축물의 원형적 존재라 하겠다. 『문화재대관(文化財大觀) 3 -보물(寶物) 1-』(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한국(韓國)의 건축...
    연계항목나주향교대성전(羅州鄕校大成殿)

고서·고문서(2)

  • 과 執事들이 齋宿하는 향관청 건립 과정 등을 밝혔다. 重修記(1493) 25 江陵府使李枰등이 중수한 에 대한 기문. 저자는 1485년 강원감사로 부임하여 강릉‧삼척의 鎭兵을 이용해 향교중수를 啓請하여 허락을 받았으나 가뭄으로 중단되었었는데, 지금 府使...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동정기(東征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였다. 그 사이에 푸른 것이 바로 이른바 한송정(寒松亭)인데, 10리나 떨어져 있어 올라가 조망하지 못하고 지나가야 하니 아쉬웠다. 경포에 도착하니 북평(北坪)에 사는 진사 민재문(閔載文)이 마침 재임(齋任)으로 있는데, 소식을 듣고 경포대 위에 와서 기다리고...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채지홍(蔡之洪)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2)

  • / [교육/교육]

    강원도 강릉시 교동에 있는 향교. 일반적으로 고려 말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뒤 소실되었다가 1313년에 강원도 안무사인 김승인(金承印)이 화부산(花浮山) 아래에 설립하였는데, 1

  • 대성전 / 大成殿 [예술·체육/건축]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고려후기 공자와 선유의 위패를 모신 문묘.향교건물. 보물. 보물 제214호. 정면 5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건물. 1313년(충선왕 5)에 강릉도안렴사(江陵道按廉使) 김승인(金承印)이 강릉화부산(花浮山)연적암(硯滴巖) 아래 향교를 건립하였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