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릉토성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강릉토성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옛 토성지(土城址). [내용] 강릉토성지는 ‘예국토성지(濊國土城址)’라고도 불리는데,『삼국사기』에 의하면 강릉 즉 명주는 본시 예(濊)의 고국(古國)으로 철국(鐵國) 혹은 예국(蘂國)이라고도 하였는데,이칭별칭예국토성지(濊國土城址)|고예국성(古濊國城)
- 명주가둔지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대화한 문양이다. 가둔지유적은 강릉시 연곡면의 영진리유적이나 강릉토성지와도 관련되는 일련의 중부 동해안의 신석기시대 유적으로서 한강유역과 가까운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명주군(溟州郡) 영진리(領津里)와 가둔...
- 강릉시(강원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풍계 바람의 영향을 주로 받고 있는데, 특히 겨울과 봄에 부는 서풍계의 강풍(强風, 이른바 襄‧江之風)은 교통뿐만 아니라 대형산불 발생으로 주민생활에 큰 불편을 주고 있다. [역사] 강릉토성지에서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 조각이 발견된 것으...이칭별칭동명
주제어사전(2)
-
강릉토성지 / 江陵土城址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옛 토성지(土城址). 강릉토성지는 ‘예국토성지(濊國土城址)’라고도 불리는데,『삼국사기』에 의하면 강릉 즉 명주는 본시 예(濊)의 고국(古國)으로 철국(鐵國) 혹은 예국(蘂國)이라고도 하였는데, 고구려의 하서량 또는 하슬라라 하였다. 신라 지증왕
-
명주가둔지유적 / 溟州加屯地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늬토기편이 채집되었다. 이 곳에서 발견된 토기편은 구연부(口緣部)에는 평행집단사선문(平行集短斜線文)·점열문(點列文), 동체부에는 빗살무늬가 시문되고 있으나 대체로 단순화, 장대화한 문양이다. 가둔지유적은 강릉시 연곡면의 영진리유적이나 강릉토성지와도 관련되는 일련의 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