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도지” 에 대한 검색결과 1,88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79)

사전(2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간행되었다. 江華府誌 甁窩全書 甁窩李衡祥硏究(權寧徹, 韓國硏究叢書 37, 韓國硏究院, 1978) 이형상 수고본 중 조선후기 1694(숙종 20)∼1696년 사...
    연계항목강도지(江都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던 양쪽 2개의 갑문(閘門)에다 중앙에 갑문 1개를 증설하였다고 ≪≫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지도에는 선두언의 갑문이 양쪽 2개로 표시되어 있어서, 1862년 이전에 작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지도의 내용은 진보‧돈대‧성곽‧제언 등이 자세히 기록되...
  • 갈암금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菴集)』 『존재집(存齋集)』 『조선도서해제(朝鮮圖書解題)』 『재녕이씨족보(載寧李氏族譜)』 갈암 금양 경북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는 갈암 이현일이 만년에 후학을 위해 강도...
    연계항목갈암금양강도지(葛菴錦陽講道址)
  • 강화부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각 도서에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속수증보(續修增補)』(1932)에 김노진의 읍지를 후본(後本)이라 하고, 이전에 구본(舊本)ㆍ전본(前本)ㆍ신본(新本) 등이 있었다고 하나, 이전 읍지들은 전하지 않는다. 최근에 이형상의 『』가 알려지기 전까...
  • 함광헌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1776년 편집한 『()』의 발문 및 여러 문집에 넣은 서문 등이 실려 있다. 권1‧2에 실려 있는 이중호의 시는 700여 수의 많은 분량으로, 수록의 경위는 알 수 없다. 작품 가운데 「소년행(少年行)」‧「규중사(閨中詞)」‧「패강곡(浿江曲)」‧「종군행(...

고서·고문서(1,846)

  • 속수증보(續修增補)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사회-지리-지지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3414 B013414 강도 江都 정치행정 _ _ 序 者, 誌書也. 凡疆域之有志, 古也, 本於遷史合年表傳記而一之, 槪欲記前而考後也. 況此陪都鑑戒關 國, 故掌之守亦係文獻. 此志之所以作也. 環島皆海也. 西南浩無涘, 獨東北兩津似不甚廣者, 而水悍礁潛, 候...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3415 B013415 강도 江都 정치행정 _ _ 序 者, 誌書也. 凡疆域之有志, 古也, 本於遷史合年表傳記而一之, 槪欲記前而考後也. 況此陪都鑑戒關 國, 故掌之守亦係文獻. 此志之所以作也. 環島皆海也. 西南浩無涘, 獨東北兩津似不甚廣者, 而水悍礁潛, 候...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1131 B011131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2年 7月 5日_039 ... 而其後, 自江都每每促納, 故以已納於戶曹·賑廳之意, 屢次文移, 而終不聽施。 此必是戶曹·賑廳, 尙不知委於致云。 取考兩衙門文書, 則本錢已捧的實, 此是朝令則該邑, 元無不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1517 B01151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2年 7月 5日_039 ... 而其後, 自江都每每促納, 故以已納於戶曹·賑廳之意, 屢次文移, 而終不聽施。 此必是戶曹·賑廳, 尙不知委於致云。 取考兩衙門文書, 則本錢已捧的實, 此是朝令則該邑, 元無不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4)

  • 김구 이승만 김성수 등을 수괴로 하는 남조선 반동파들의 북조선 파괴□□온 벌써부터 진행하여 오던 것이다. 그러나 금번 내무국 수사진에 의하여 일망타진된 한독당 무장살인 파괴사건 광복청년회 폐위조사건 무장경찰침입사건 등은 남조선 반동파들이 북조선 파괴를 위하여 얼마...
    대표표제어함북로동신문_1947_0911_01 | 책임주필김윤복
  • 검거된 광복청년회 파견원에 의하여 조직된 폐위조단은 북조선 인민의 강도 테로단에 대한 경각심을 더욱 높이었다. 한국광복청년회 파견원 김순식 (그는 광복청년회 전위대 정보원이란 책임을 가지고 있다.)는 김구의 지휘 하에 있는 오광선이가 직접 파견한 자로서 서북청년회...
    대표표제어민주청년_1948_0219_04 | 책임주필송군찬
  • 강도들에 의한 인심소란을 책모하였던 것이다. 지난 8월 15일을 전후하여 내무국에 검거된 역시 한국독립당의 외곽단체인 테로단 광복청년회와서 북청년회의 밀파원에 의하여 조직된 폐위조단은 북조선인민의 경각성을 높이었다. 한국 광복청년회 밀파원 김□직(그는 광복청년...
    대표표제어로동자신문_1947_0911_01 | 책임주필공성회(孔成檜)
  • 으 ㄹ수괴로 하는 남조선 반동파들의 북조선 파괴 계획은 벌써부터 진행하여 오던 것이다. 그러나 금번 내무국 수사진에 의하여 일망타진 된 한독당 무장 살인 파괴 사건 광복 청년회 폐 위조 사건 무장 경찰 침입사건 등은 남조선 반동파들이 북조선 파괴를 위하여 얼마나...
    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0912_01 | 날짜1947년 9월 12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주제어사전(6)

  • / [지리/인문지리]

    1694년∼1696년 사이에 이형상이 경기도 강화부의 수어방략을 중점으로 저술한 지방지.읍지. 2권 2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병자호란을 겪은 지 50여 년이 지난 당시 북쪽 오랑캐의 재침 징조가 농후해지자 요충지인 강화도의 수어방략(守禦方略)에 중점을 두어 숙

  • / [지리/인문지리]

    1694년∼1696년 사이에 이형상이 경기도 강화부의 수어방략을 중점으로 저술한 지방지.읍지. 2권 2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병자호란을 겪은 지 50여 년이 지난 당시 북쪽 오랑캐의 재침 징조가 농후해지자 요충지인 강화도의 수어방략(守禦方略)에 중점을 두어 숙

  • 도 / [지리/인문지리]

    1개를 증설하였다고 ≪≫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지도에는 선두언의 갑문이 양쪽 2개로 표시되어 있어서, 1862년 이전에 작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지도의 내용은 진보·돈대·성곽·제언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고 수로(水路)·나루터·갑곶 나루와 인접 도서,

  • 도 / [지리/인문지리]

    증설하였다고 『』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지도에는 선두언의 갑문이 양쪽 2개로 표시되어 있어서, 1862년 이전에 작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지도의 내용은 진보·돈대·성곽·제언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고 수로(水路)·나루터·갑곶 나루와 인접 도서, 그리고 대

  • 갈암금양 / 葛庵錦陽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는 조선후기의 학자 이현일(李玄逸)이 학문을 강설하던 곳. 경상북도 기념물 제116호. 갈암(葛菴)이현일(1627∼1704)이 만년에 후학을 위해 강도(講道)하던 곳이다. 이현일은 본관이 재령(載寧)이다. 이시명(李時明)의 아들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