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달영”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7(고종 24)∼1942. 공산주의운동가. [개설] 경상남도 진주 출생. 6세때부터 한학을 수학하였으며, 3‧1운동때 농민과 청년의 선두에서 지도하다가 투옥되어 1년 6개월간 복역하였다. [생애] 1921년...
  • 박진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8(고종 25)∼1940. 독립운동가. [내용] 경상남도 진주 출신. 3‧1운동 때 진주에서 김재화(金在華)‧() 등과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이때 사회단체와의 교섭을 통하여 시위를 추진하는 한편, 인근지역인...
  • 사천3‧1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19년 3‧1운동 때 경상남도 사천시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 [내용] 1919년 3월 18일의 진주의거에 참여하였던 황순주(黃順柱)‧박기현(朴基玄)‧김종철(金鍾喆) 등 3명은 ()으로부터 독립선언...
  • 자작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립총회를 개최하여 회장에 김재홍(金在泓), 총무에 (), 재무에 신현수(申鉉壽), 간사에 천석구(千錫九) 등을 선출하였다. 그리고 강연회 및 선전유인물 살포 등 본격적인 활동을 전개하였다. 같은 해 2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자작...
  • 김재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고, 조동호와 조봉암(曺奉岩)의 코민테른 파견, 조선노동총동맹의 분리 결정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제1차 조선공산당’은 1925년 11월 ‘신의주사건’으로 무너졌는데, 책임비서인 그는 12월 뒷일을 () 등 5인의 후계 간부에게 일임한 직...

고서·고문서(3)

  • 慶尙道庄土文績_제12책 : 慶尙南道金海郡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14. 咸豊三年癸丑三月十五日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x34.9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첨지 1장 1853년(철종 4) 3월 15일 姜春白 幼學 노전주 姜春白 幼學 노전주 경상 김해 덕도 德島 李蔚員 경상도 김해(군/현) 덕도(면/방)...
    자료명慶尙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고윤상 외 94인 판결문( 高允相 外 94人 判決文(昭和2年刑公第427號 - 439號, 1059-1087號), )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八八번지 李準泰(無職, 37) 同道 同府 長沙洞 五二번지 權五卨(무직, 31) 同道 同府 三角町 二八번지 (무직, 42) 慶北 大邱府 德山町 九三번지 申哲洙(무직, 25) 위 피고 권오설 박래원 楊在植 閔昌植 李用宰 白明天에 對한 治安維持法 및 出版法違反, 피고...
    제목 고윤상 외 94인 판결문( 高允相 外 94人 判決文(昭和2年刑公第427號 - 439號, 1059-1087號), ) | 사건유형 치안유지법위반 사건 | 소장처고등법원검사국
  • 최원택 외 27인 판결문( 崔元澤 外 27人 判決文(昭和3年刑公第541號, 542號, 543號, 京城地方法院))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으로 당시 조선공산당 중앙집행위원회 책임비서였던 을 비롯한 100여명의 당간부와 관계자들이 대거 체포되었다. 두차례에 결쳐 검거된 조선공산당 당원 및 간부들에 대한 공판이 1927년 9월부터 열렸다. 에서 체포된 동지들의 공판대회를 반대함과 아울러 ‘일본제국주위를...
    제목 최원택 외 27인 판결문( 崔元澤 外 27人 判決文(昭和3年刑公第541號, 542號, 543號, 京城地方法院)) | 사건유형 치안유지법위반 사건 | 소장처국가기록원

기타자료(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1692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17면 ㅁ1. 신입회원;ㅁ1) 1학년 ; 황해 재령군 삼지강면 청룡리 568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2545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30면 ; 황해도 재령군 三江面 靑龍里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 [역사/근대사]

    1887-1942. 공산주의운동가. 경상남도 진주 출생. 6세 때부터 한학을 수학하였으며, 3·1운동 때 농민과 청년의 선두에서 지도하다가 투옥되어 1년6개월간 복역하였다. 1921년 조선노동공제회 창립에 참가하였으며, 1924년 4월 조선노농총동맹 결성과 함께 중앙위

  • 한규상 / 韓圭相 [역사/근대사]

    1896-197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한판도(韓判道)이다. 본적은 경상남도 진주(晉州)이다. 1919년 독립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자 ()·강상호(姜相鎬)·김재화(金在華)·박용근(朴龍根)·박진환(朴進煥)·이강우(李康雨) 등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