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남산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
사전(45)
- 강남산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매우 울창한데, 홍송(紅松)과 삼송(杉松)이 주를 이루며, 이밖에 고도가 낮은 곳에는 참나무‧피나무‧자작나무 등의 활엽수가 널리 분포한다. 삼림이 특히 풍부한 곳은 강남산맥의 북쪽 사면에서 압록강으로 흘러들어가는 후창강(厚昌江)‧자성강‧독로강‧위원강‧충만강...
- 계반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평안북도 삭주군 삭주면 광성동과 남서면 산창동 사이에 있는 고개. [내용] 높이 577m. 강남산맥의 오봉산(五峰山, 882m)과 증봉(甑峰, 787m) 사이에 있는 고개로서 온정령(溫井嶺)‧대차유령(大車踰嶺)‧완항령(緩項嶺...
- 비래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평안북도 벽동군 성남면‧송서면과 창성군 창성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1,479m. 이 산지는 동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강남산맥의 주봉을 이루며, 또한 달각산(達覺山, 1,386m)‧단풍덕산(丹楓德山, 1,159m)...
- 증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평안북도 위원군 위송면‧화창면과 강계군 어뢰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1,355m. 강계 서남쪽 강남산맥(江南山脈)의 한 산으로 위원천과 독로강에 둘러싸인 산간지대를 이룬다. 북쪽사면은 강계군...
- 단풍덕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평안북도 창성군 신창면과 벽동군 성남면‧권회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1,159m. 강남산맥의 비래봉(飛來峰) 산계에 속한다. 이 산은 주봉(主峰)과 동쪽으로 0.5㎞ 떨어져 있는 동봉(東峰), 남쪽으로 1.5㎞ 떨...
주제어사전(10)
-
강남산맥 / 江南山脈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북부에 서남쪽으로 뻗어 있는 산맥. 낭림산맥의 아득령(牙得嶺)에서 분기하여 북동에서 남서방향으로 달리며 압록강의 남사면을 이룬다. 이 산맥의 북사면은 단층애(斷層崖)로서 급경사를 이루며 압록강의 지류인 자성강(慈城江)·위원강(渭原江)·충만강(忠滿江)·독로강(禿
-
비래봉 / 飛來峰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벽동군 성남면·송서면과 창성군 창성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479m. 이 산지는 동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강남산맥의 주봉을 이루며, 또한 달각산(達覺山, 1,386m)·단풍덕산(丹楓德山, 1,159m)과 함께 강남산맥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산괴(山塊)를
-
증봉 / 甑峯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위원군 위송면·화창면과 강계군 어뢰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355m. 강계 서남쪽 강남산맥(江南山脈)의 한 산으로 위원천과 독로강에 둘러싸인 산간지대를 이룬다. 북쪽사면은 강계군 어뢰면이 되며, 풍룡동·풍산동·황추동의 좁은 골짜기의 물이 흘러 독로강으로
-
강계분지 / 江界盆地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강계읍·공북면·곡하면(지금의 자강도 강계시) 일대에 걸쳐 있는 분지. 시가지를 중심으로 동서 26㎞, 남북 19㎞ 가량의 넓이를 이루고 있으며, 분지의 면적은 약 323㎢이다. 강계분지 안에는 자강도 소재지인 강계시(江界市)가 자리잡고 있다. 강남산맥
-
적유령산맥 / 狄踰嶺山脈 [지리/자연지리]
낭림산맥에서 갈라져 평안북도를 북부와 남부로 가르는 산맥. 북쪽에 이웃한 강남산맥(江南山脈)과 남쪽의 묘향산맥(妙香山脈)과 함께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산맥으로 요동방향의 산계이다. 기반암은 중한지괴(中韓地塊)의 일원인 요동지괴(遼東地塊)와 일체인 평북육괴이다. 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