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기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
사전(5)
- 고진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강으로 흘러든다. 연안에 평야가 발달되었는데 하류로 갈수록 점차 넓게 전개된다. 주로 논의 관개용수로 이용된다. 조선조에 서장관 강기수(姜耆壽)가 익사하였다 하여 서장강(書狀江)으로도 불린다. 新增東國輿地勝覽 義州郡誌(義州郡誌編纂委...
- 안지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산지청에서 3개월형에, 2년간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1919년 3월 이후 전국적으로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자, 당시 한문교사로 있으면서 조한휘(趙漢輝)‧한종순(韓鍾淳)‧이찬영(李讚榮)‧조병흠(趙丙欽)‧박건병(朴建秉)‧강기수(姜琪秀)‧한관열(韓灌烈)...이칭별칭 운익(雲翼)| 우봉(藕峯)
- 삼교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天順年間)에 서장관이던 강기수(姜耆壽)가 이 강물에서 익사했다고 하여 서장강(書狀江)이라고도 부른다. 유역에는 넓은 평야가 발달되어 있고, 상류에는 관서(館西)‧고령삭(古寧朔)‧고관(古館) 등의 여러 분지가 있다. 압록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에는 비교적 규모가 큰...이칭별칭서장강(書狀江)
- 김규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827년(순조 27)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때 왕세자가 춘당대(春塘臺)에서 유생들을 시험하였는데 강거수(講居首)로 유생의 대표였다. 승문원부정자로 출발하여 지평ㆍ정언ㆍ이조좌랑 등을 지내고 헌납ㆍ동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857년(철종 8) 대왕...이칭별칭 국서(國瑞)
- 교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신교사사론』(한숙경, 학지사, 2006) 『인간학적 교사론』(강기수, 세종출판사, 2002) 『한국교원과 교원정책』(고전, 도서출판 하우, 2002) 『교육학 용어사전』(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도서출판 하우, 2000) 『교...이칭별칭교사|선생
고서·고문서(24)
- 검동도(黔同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730 B018730 검동도 黔同島 도서 평안북도 平安道邑誌 義州牧誌 義州牧 山川 ... 姜耆壽溺死故又稱書狀江於赤島在蘭子島北周十七里其中平衍墾田六十餘頃黔同島在州西十五里周十五里鴨綠江到此分三派而島在二洲間有三氏梁凡渡江者必由島北赴京使臣入朝之路威化島在黔同島之下周四十里兩島之間...출처전거平安道邑誌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716 B073716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6年 5月 11日_011 ... 講訖, 上仍命書傳敎曰, 居首哨官金應錫, 殿講居首, 文義詳備, 何可沈滯將官? 令該曹右職調用, 不通宣傳官許俊·元綮鎭·李仁默, 部將李尙烈, 哨官申萬熙, 皆令入直, 更爲試講後替直。...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검동도(黔同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729 B018729 검동도 黔同島 도서 평안북도 平安道邑誌 義州牧誌 義州牧 山川 ... 鴨綠江江中産淡靑玉故名之古津江在州東南三十六里其源有三一出天磨山東南一出西南一出普光山北至彌勒堂俱合經古定寧十餘里至廣化里爲此江又南流經古寧州至古麟山西流入鴨綠江天順年間書狀官姜耆壽溺死故又稱書...출처전거平安道邑誌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검동도(黔同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書狀官姜耆壽溺死故又稱書狀江 於赤島 在蘭子島北周十七里其中平衍墾田六十餘頃 黔同島 在州西十五里周十五里鴨綠江到此分三派而島在二洲間有三氏梁凡渡江者必由島北赴京使臣入朝之路 威化島 在黔同島之下周四十里兩島之間有鴨 江支流隔焉稱爲掘浦距州城二十五里上三島 ...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서(島嶼)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龜亭豐山古縣西六里金山村東亭基有三石形如伏龜○東吾峯其高可六十丈亭跨峯頭東西南皆鉅野其南有大川曰曲江卽洛江上流也有馬螺潭潭上絶壁屓屭高可萬丈江上長林連亘十里亭北有鶴駕山雙溪出自山間入于洛江其水會處爲屛潭一云花川其峯又有石壁千餘丈曰屛壁雙溪北竒岩曰鵬石溪之兩傍有栗樹千餘株출처전거大東地誌 | 지역분류도서(島嶼)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5)
- 조선_1944_354(합병호)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技術的にも獨創的なものを 岡崎壽太郞 18 酒石酸石酸振興會社の性格 森直重 21 酒石酸を語る 古賀明, 澤田成爾, 吉田重僖, 尾石元興, 前田...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4
- 조선_1920_07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在鮮外國宣敎師に望む 柴田學務局長 1 朝鮮の水産業 岡崎水産課長 6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0
- 은하수_1991_1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길 김승화 15 조선족 강기수 16 봄날의 경사-흑로 문학사의 두리에 뭉친 기업가들을 두고 김철수 21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1
- 황해로동신문_1947_0826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반동파들을 깨끗이 소탕해야 한다』고 책상이 부서저라고 소리높이 웨첫다. 특히 강기수동무(콤푸레샤계)는 『인민경제게획을 넘처실행하는 것이 반동파를 분쇄하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며 박창득 동무(여자)는 『우리의 주먹으로 반동파를 분쇄하자. 그러면은 두 사람 목의 일을 해야...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826_01 | 책임주필이영조
- 승리의길_1952_0505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 서정의 박민자, 정현종, 김안숙 리종건, 안독봉, 김진용, 양준식, 김명순 김영식, 박문석, 김순덕, 홍종임, 신□선, 리복순, 김재오 김민섭, 박영남, 박미녀 군공메달 김정애 한영관 박은숙, 심점도 김용덕, 강기수, 김병함 최제균, 김인현대표표제어승리의길_1952_0505_01
기타자료(3)
- 강기수;姜琪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785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07면 강기수;姜琪秀 제5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강기수;姜琪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064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15면 강기수;姜琪秀 산청군 도산면 제5회 1916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강기수;岡崎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3767 남한 경성 경성공립농업학교 1-07 京農(제8호) 校友會會則會員名簿 1932―03―20 250면 ㅁ1. 교우회회원명부;ㅁ1) 통상회원;ㅁ(9) 제1학년 昭組 강기수;岡崎修 경성부 대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6)
-
강기수 / 姜琪秀 [역사/근대사]
1898-1946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상남도 산청(山淸)이고, 거주지는 경상남도 함안(咸安)이다. 금융조합에서 서기로 재직하던 중 1919년 고종 황제 장례식에 참여하기 위해 서울로 갔다가 만세시위운동에 참여한 후,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함안으로 돌아
-
강제하 / 康濟河 [역사/근대사]
1891-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출신지는 평안북도 창성(昌城)이다. 1919년 4월 1일 평안북도 창성군에서 신용철(申容澈)·강이달(姜利達)·선우명(鮮于明)·선우황(鮮于晃)·문창수(文昌洙)·한선학(韓善學) 등과 함께 시위운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대한독립청년단
-
고진천 / 古津川 [지리/자연지리]
갈수록 점차 넓게 전개된다. 주로 논의 관개용수로 이용된다. 조선조에 서장관 강기수(姜耆壽)가 익사하였다 하여 서장강(書狀江)으로도 불린다.
-
삼교천 / 三橋川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구성군 이현면의 가인봉(佳人峰, 536m)에서 발원하여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가인봉에서 북류하다가 의주군 고령삭면의 구창(舊倉) 부근에서 유로를 바꾸어 압록강으로 흘러든다. 길이 약 129㎞. 천순연간(天順年間)에 서장관이던 강기수(姜耆壽)가 이 강물에
-
한일동 / 韓一東 [역사/근대사]
1891-1934년 4월 3일.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상남도 함안(咸安)이다. 강기수(姜琪秀)·박건병(朴建秉)·이찬영(李讚榮)·조병흠(趙丙欽)·조한휘(趙漢輝)·한관열(韓灌烈)·한종순(韓鍾淳) 등이 고종 황제 국장(國葬)을 다녀오면서 서울에서 시행된 독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