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구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16)
- 강구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51(문종 32)∼1506(중종 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용휴(用休). 도순문사 회백(淮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석덕(碩德)이고, 아버지는 좌찬성 희맹(希孟)이며, 어머니...이칭별칭 용휴(用休)| 숙헌(肅憲)
- 에그치 손베에(江口孫兵衛)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5537 인물 에그치 손베에(江口孫兵衛) 에그치 손베에 江口孫兵衛 ? ? 조선 후기의 쓰시마인. 강구손병위(江口孫兵衛). 1711년 정사 조태억(趙泰億) ‧ 부사 임수간(任守幹) ‧ 종사관 이방언(李邦彦) 등 통신사...유형분류인물
- 강태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79(성종 10)∼1526(중종 2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자삼(子三). 지돈녕부사 강석덕(姜碩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희맹(姜希孟)이고, 아버지는 장례원사평 강학손(姜鶴孫)이며, 어머니는 고...이칭별칭 자삼(子三)
- 강태수(姜台壽)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년(중종21) 진주(晉州) 서울 경기도 안산(安山) 직곶리(職串里)의 선영(先塋) 강석덕(姜碩德) 강희맹(姜希孟) (양부)강귀손(姜龜孫) (생부)강학손(姜鶴孫) (양모...
- 기계목(機械木)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인정전영건도감의궤 도설) [용례] 繕工監提調李世佐姜龜孫啓 仁政殿改丹靑機械木 須役軍人 而步兵無一名留衛者 勢甚難 然非軍力 事不得成 請定軍五百名 傳曰 可[『연산군일기』 8년 3월 5일] 경기문화재단 편집부,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경기문화재단, 2...관련어가설재(假設材), 거중기(擧重機), 녹로(轆轤), 비계(飛階)
고서·고문서(9)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606 B049606 덕진 德津 군사교통 成宗實錄 二十五年(1494) 十二月 성종실록_12512023_005 ○左副承旨姜龜孫啓曰: “宗廟、社稷、昭格署及京畿近處, 則皆令祈禱, 請兼禱于外方名山大川。” 傳曰: “可遣正郞金孝貞于熊津雞龍山, 校理鄭積于竹嶺山、楊津溟所, 校理...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부도(大阜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1474 B041474 대부도 大阜島 도서 경기도 成宗實錄 十八年(1487) 二月 성종실록_11802019_001 ○己丑 / 御經筵。 講訖, 特進官金升卿啓曰: “南陽大阜島、江華甫音島等處置屯田便否, 但遣司僕寺正姜龜孫審視。 如此沿革重事, 不可獨遣, 請司僕寺提調、戶曹堂上...출처전거成宗實錄 | 지역분류경기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곡포(曲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廟坡崔道明, 江口孫碩胄, 雙靑吳昌胤, 黃土岐黃源。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義禁府請問茂豐正, 命左副承旨姜龜孫往語于都承旨金應箕曰: “此獄辭之起, 久矣, 守非欲諱豐川尉圖婚事狀, 而與遂安君等相應, 如此造飾耶? 豐川尉先娶, 遂安君等不知而圖婚耶? 未可知, 而捨其根本, 取其枝葉, 指與宗親圖婚, 似若不干豐川尉, 爾以臣子, 右豐川尉而不畏予, 可乎? 予...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滿浦鎭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壽]啓"此是大事,必當廣詢.所謂知邊事宰相,只知其道之事,不知大體者有之.大抵知事體者,雖非目覩,而料事必當,請別選可議宰相與議."王曰"其選之.凡有大事,特召共議."遂選李克墩·李克均·李世佐·朴楗·愼守勤·朴安性·申浚·柳洵·成俔·姜龜孫·洪貴達·李季仝·尹孝孫·朴崇質等以啓曰"今日邊事,請令與...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연산군일기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주제어사전(2)
-
강구손 / 姜龜孫 [종교·철학/유학]
1450(세종 32)∼1505(연산군 11). 조선 전기의 문신. 도순문사 강회백 증손, 할아버지는 지돈녕부사 강석덕, 아버지는 좌찬성 강희맹, 어머니는 관찰사 안숭효의 딸이다. 1479년(성종 10)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조참의, 좌승지, 도승지, 경기도관찰사
-
금양잡록 / 衿陽雜綠 [경제·산업/산업]
지으며 그곳 노농(老農)들과의 대화와 자신의 체험을 토대로 지은 것으로, 은퇴한 1475년(성종 6)에서 몰년인 1483년 사이에 완성되었다. 그런데 조위(曺偉)의 서문이 1491년 신해(辛亥)에 쓰였고, 맏아들 강구손(姜龜孫)의 발문이 1492년에 쓰인 점으로 미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