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강관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강관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規誡)가 거의 이지러짐이 없게 될 것이다.”라 하여, 제왕의 호학과 강관의 득인(得人)과 의절의 준수와 규계의 무궐(無闕)은 강관론의 네 요체임을 밝히고 있다. 이는 저자의 정치론으로서 유교의 윤리적 군자학이 여기서 정치적 제왕학으로 승화되었음을 볼 수 있다....
- 강관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836년 최한기(崔漢綺, 1803-1877)가 사전(史傳)의 경연제설(經筵諸說) 중에서 군주와 신하가 할 일을 뽑아서 만든 책.정의1836년 최한기(崔漢綺, 1803-1877)가 사전(史傳)의 경연제설(經筵諸說) 중에서 군주와 신하가 할 일을 뽑아서 만든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anggwannon | MR표기Kanggwanno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최한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34), ≪청구도제 靑丘圖題≫(1834), ≪만국경위지구도 萬國經緯地球圖≫(1834, 현존 미상), ≪추측록≫(1836), ≪강관론 講官論≫(1836), ≪신기통≫(1836), ≪기측체의 氣測體義≫(1836, 추측록과 신기통을 합본한 것), ≪감평 鑑枰≫(1838, 뒤...이칭별칭 운로(芸老)| 혜강(惠岡), 패동(浿東), 명남루(明南樓), 기화당(氣和堂)
- 명남루총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신기통 神氣通≫ 3권 2책, ≪추측록 推測錄≫ 6권 3책, ≪습산진벌 習算津筏≫ 5권 2책, 제2‧3책에 ≪인정 人政≫ 25권 12책, ≪강관론 講官論≫ 4권 1책, ≪소차유찬 疏箚類纂≫ 2권 1책, 제4책에 ≪지구전요 地球典要≫ 13권, ≪육해법 陸海法≫ 2권 1책,...
-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최한기, 『강관론(講官論)』, 국립중앙도서관, 1979. 이기순, 「인조조의 반정공신세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http://history.go.kr) 시소러스상위어정삼품(正三品) 아문(衙門), 종삼품(從三品) 아문(衙門) | 하위어강관(講官), 춘방관(春坊官), 서연진강의(書筵進講儀), 서도(書徒), 궁료(宮僚), 궁료소(宮僚疏), 궁관(宮官), 문학(文學), 배리(陪吏), 보덕(輔德), 부빈객(副賓客), 빈객(賓客), 사서(司書), 설서(說書), 세자부(世子府), 세자사(世子師), 영조동궁일기(英祖東宮日記), 이사(貳師), 자의(諮議), 진선(進善), 찬선(贊善), 필선(弼善), 겸문학(兼文學), 겸보덕(兼輔德), 겸사서(兼司書), 겸설서(兼說書), 겸필선(兼弼善) | 동의어춘방(春坊), 계방(桂坊), 시강원(侍講院) | 관련어갑관(甲觀), 경종춘방일기(景宗春坊日記), 현종동궁일기(顯宗東宮日記), 황태자궁시강원(皇太子宮侍講院), 경연(經筵), 서연(書筵), 서연관(書筵官),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동궁아관(東宮衙官), 세자관속(世子官屬)
주제어사전(1)
-
강관론 / 講官論 [역사/조선시대사]
호학과 강관의 득인(得人)과 의절의 준수와 규계의 무궐(無闕)은 강관론의 네 요체임을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