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강감” 에 대한 검색결과 5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3)

사전(18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풍저창의 강창과 함께 낙성되었다. 그러나 군자감의 관원들이 주로 본감에만 모여 있고, 에는 창고를 지키는 고자(庫子)만이 있게 되어 절도의 위험이 있었으므로, 1460년(세조 6)에는 정(正)‧주부(主簿)‧녹사(錄事) 각 1인을 에 상주하게 하고 본감...
  • 석당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0여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논에는 중국 역대 왕조의 역사와 인물을 논평한 것이 많다. 「부소론(扶蘇論)」ㆍ「위징론(魏徵論)」ㆍ「황제론(黃帝論)」 등이 그것이다. 서에는 저자가 『자치통감(資治通鑑)』 강목(綱目)에서 734항목을 뽑아 엮은 『일찬(...
  • 낙성대유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찬(贊)이 태어난 집터. [내용]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호. 이곳은 고려시대에 거란족의 침입을 막아내어 구국의 공을 세운 찬 장군이 태어난 곳이다. 이곳의 옛 이름...
    연계항목낙성대유지(落星垈遺址)
  • 김상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08년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날 때 논의에 끝까지 참여하지 않아 광해군의 미움을 받고 쫓겨나, 11년 동안이나 벼슬에 기용되지 못했다. 『통감강목(通鑑綱目)』 을 즐겨 읽었고, 손수 『강목』 20권의 목(目)을 초(抄)해서 『요략(要略)』 을 편찬하였다....
    이칭별칭 여수(汝秀)| 휴암(休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군자감(軍資監), 군자창(軍資倉) 용산(龍山) 각사위전(各司位田), 전세(田稅), 군자(軍資), 진휼(賑恤), 국고곡(國庫穀)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최주희 ...
    상위어군자감(軍資監), 군자창(軍資倉) | 동의어용산강감(龍山江監) | 관련어각사위전(各司位田), 전세(田稅), 군자(軍資), 진휼(賑恤), 국고곡(國庫穀)

고서·고문서(213)

  • 찬(贊)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5806 창가 東西偉人唱歌 22046 1921 鄭敬惲 廣文書市 鄭敬惲 李錫圭 實價 三十五錢 郵稅 金二錢 찬(贊) 〈e〉氏는 知覺이 平和한 時代에 兵을 □하니 其不意變을 防코자함이 可謂達觀이라하겟도다〈/e〉 〈#3〉 [
    구분창가 | 편저자鄭敬惲
  • 4 第四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20년_청양면(靑良面) 1720년 청양면(靑良面) 第六所等里 4 第四統統首實 第一戶 府案付御保實年肆拾五丙辰本晋州父正兵士得祖通政大夫海云曾祖宣 武原從功臣訓鍊院僉正仁老外祖正兵李有連本密陽妻車召史年肆拾陸乙卯本開 城府父正兵慶安祖正兵禮立曾祖正兵于音金外...
    연도_면이름1720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六所等里
  • 10 第十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26년_청양면(靑良面) 1726년 청양면(靑良面) 第六所等里 10 第十統統首實 第一戶 府案付御保實年伍拾壹丙辰本晋州父正兵士得祖通政大夫亥云曾祖宣武原從 功臣訓鍊院僉正仁老外祖正兵李有連本密陽妻車召史年伍拾貳乙卯本開城府父正兵海祖 正兵禮立曾祖牙音金外祖通...
    연도_면이름1726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六所等里
  • 殷民,用乂讎斂,召敵讎不怠,罪合于一,多瘠罔詔。【馬本,讐斂爲稠斂。馬云:“稠,數也。” 鄭音疇】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30 尙書古訓 卷四 ITKC_MP_0597A_0530_070_0080 殷民,用乂讎斂,召敵讎不怠,罪合于一,多瘠罔詔。【馬本,讐斂爲稠斂。馬云:“稠,數也。” 鄭音疇】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
    권차명尙書古訓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69396 B069396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7年 4月 16日_004 ○東萊書目, 宣慰使, 倭使相接, 婉辭開導, 歸計停止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89)

  • 찬(贊)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 이야기보다 긴 이야기를 해달라고 요청했더니, 이야기의 순서가 뒤바뀌어 생각을 해야 된다며 망설이다가 ‘역사 이야기 중에 강감찬 이야기’라며 시작했다. 자신의 이야기에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고, 시계소리나 사람들의 출입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오로지 이야기 구연...
    조사일시1985-03-31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이평면 | 제보자김상철
  • 찬(贊) 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다시 요 근처의 명당에 관한 얘기가 없냐며 명당 얘기를 유도하자, 자기는 이곳이 객지라서 잘 모르겠다고 했다. 제보자가 얘기 소재를 궁색해 하는 것 같아 제보자의 고향이 옥구이며 군산농고 3기생이라는 등 제보자의 신상 얘기를 듣다가 다시 한번 이야기를 유도...
    조사일시1985-03-24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감곡면 | 제보자전병옥
  • 찬 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어제는 박종기씨의 이야기 기세에 눌려서 빛을 못 보았는데 오늘은 꼭 설욕을 해 보겠다며, 특히 최고운이 문제로 입씨름을 한 것이 마음에 걸리는지 그 문제를 다시 거론하면서 자기 주장이 맞다고 조사자를 설득시키려고 노력했다. 마침 박종기씨가 자리에 없으므로 이 문제...
    조사일시1980-08-1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 제보자황천석
  • 명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이야기를 계속 청하자 고창군 부안면 여막사 이야기라면서 이 이야기를 꺼냈다. *
    조사일시1985-05-14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주시 연지동 | 제보자김만기
  • 찬 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제보자는 자료를 제공하는 도중에 야담이란 것은 원래가 거짓말을 하는 것으로써 어떤 조그마한 이야기거리를 크게 붙여서 말하는 것이라고 민담에 대한 일가견을 피력하기도 하였다. 또한 옛날 얘기를 하면은 가난하게 산다는 말 때문에 처음에는 매우 꺼리었으나 그 후 차츰차...
    조사일시1982-07-17 | 조사장소경기도 옹진군 영종면 | 제보자최돈영

기초학문(1)

  • 다문화시대 인물탄생형 이물교혼담의 가치와 동화 스토리텔링의 방향* * 이 논문은 2010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0-413-A00013). -찬 설화의 출생담과 성장담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명현, 게재일 : 2013
    (NRF-2010-413-A00013). -찬 설화의 출생담과 성장담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43)

  • 放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흥감리 쟝긔연씨 일본경시가 경찰셔에 착슈엿다더니 항 공보에 방송이되엿다는데 그리유는 아라에 무삼간연이잇는줄알고 문부슈탐야 일일 상고즉 징거가 죠금도 업는고로 방송모양이라더라
    게재일1906년 9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捉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흥감리 쟝긔연씨 부임지가 불과슈삭에 무삼건이 잇셧든지 항졍 고문부에셔 쟝감리의 인장과 문부를 다 슈탐야 가고 쟝긔연씨 경무셔에 착슈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9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任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흥감리 죠경구씨 직여 갈니고 그에난 륙품 쟝긔연씨가 피임얏더라
    게재일1906년 1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報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흥시장 감리 황우영씨가 외부로 보고기를 감리가 삼위 통상무관을 겸임고로 삼위로 갓더니 그곳에 거류는 본국인민들이 깃버셔 영졉며 보호기를 간쳥는 그곳에 왕기는 마챠를 타려니와 그곳에 갈지라도 쥬졉 쳐소가업고  본국경회시에는 아라 관인이와셔...
    게재일1903년 1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찬(贊)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찬(贊)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11호 瓚 1907. 10. 01. 인물고 267 800~802 편집부 대한제국 찬(贊)에 대한 전기 찬(贊), 고려, 소손녕(蕭遜寧),...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주제어사전(12)

  • /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용산강 가까이에 있던 군자감의 별창. 광통교에 있던 군자감 본감의 창고, 송현에 있던 분감과 함께 군자삼감(軍資三監)이라고 불리었다.

  • 대성 / 大成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강항이 『자치통감』과 『통감절요』를 저본으로 편찬한 중국 역사서. 목활자본. 47권 18책. 본서 36권 14책, 속편 11권 4책으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삼황기(三皇紀)·순비기(循蜚紀)·인제기(因提紀)·선통기(禪

  • 찬전 / 贊傳 [문학/고전산문]

    1908년 우기선(禹基善)이 지은 찬 전기. 1908년일한주식회사(日韓株式會社)에서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앞에 현채(玄采)의 한문으로 쓴 서(序)가 있다. 애국 계몽기에 다수 출현한 창작 전기류 가운데 하나이다. 국가의 위기를 당해 찬 같은 영웅이 출현해 외

  • 찬설화 / 贊說話 [문학/구비문학]

    고려 전기의 명신 찬에 관한 설화. 문헌설화는 『고려사』 열전을 비롯하여 『세종실록』 지리지·『용재총화』·『신증동국여지승람』·『해동이적(海東異蹟)』·『기문총화(記聞叢話)』 등에 전하고, 구전설화는 전국 각지에서 널리 전승된다. 그의 출생에 관한 단편적 일화, 즉

  • 낙도교거집 / 樂道郊居集 [문학/한문학]

    고려 전기 장군 찬(贊, 948~1031)의 시문집(詩文集). 『낙도교거집(樂道郊居集)』에 대한 기사는 『고려사』 권94 「찬열전」,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찬이 벼슬에서 물러난 후 성남(城南)의 별장에서 살면서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