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갑자사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0)
사전(286)
- 갑자사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완전히 몰락하였다. 무오사화가 기성 훈구 세력과 신진사류 세력의 정치 투쟁이었다고 하면, 갑자사화는 궁중 세력과 훈구사림파 중심의 부중 세력과의 정치 투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사화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성종 때 양성된 많은 사림이 수난을 당해 유교적 왕도...
- 갑자사화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504년 연산군의 어머니 윤씨(尹氏, 1445-1482)의 폐위 문제에 얽혀서 일어난 사화.정의1504년 연산군의 어머니 윤씨(尹氏, 1445-1482)의 폐위 문제에 얽혀서 일어난 사화.[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apja Sahwa | MR표기Kapcha Sah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갑자사화(甲子士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갑자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 사화(士禍) 무오사화(戊午士禍) 정치정치운영/정쟁·정론 사건 대한민국 조선 김돈 1504년(연산군 10) 이세좌(李世佐), 홍귀달(洪貴達)/훈구, 사림 [정...상위어사화(士禍) | 관련어무오사화(戊午士禍)
- 전주이씨안양군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 에 있는 성종의 셋째 아들 안양군의 유택. [내용] 경기도기념물 제122호이다. 안양군은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연산군의 생모인 윤씨를 폐출케 했다는 이유로 어머니 귀인정씨 및...연계항목전주이씨안양군묘(全州李氏安陽君墓)
- 박인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사화가 일어난 1504년(연산군 10)에 운봉으로 부처되고, 이어서?거제도‧제주도로 이배되면서 심한 형벌을 받았다. 중종이 즉위하여 이를 불쌍히 여겨 정난공신(定難功臣) 2등에 책록하고 진천군(鎭川君)에 봉하였으며, 노비 12명을 내려주었다. 국왕의 은총을 빙...이칭별칭진천군(鎭川君)
고서·고문서(23)
- 金係行에 대한 族譜 내용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1 김계행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金係行에 대한 내용이다. 자, 호, 관직, 거주지, 한 일 등에 대한 기록이다. 佔畢齋 金宗直과의 교유를 강조하였고, 김종직이 사망하자 그를 위해 시 등을 올렸다. 무오사화와 갑자사화 등에 연루되자 고향으로 내려와서 학생을...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497년 권주(權柱) 교서(敎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갑자사화가 발발하자 귀양을 갔으며 결국 1505년(연산군 11)에 사사되었다.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교서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교서 | 현소장처안동 가곡 안동권씨 권주 종가
- 幼年必讀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산ᄯᆡ에ᄂᆞᆫ 奸臣柳子光간신류ᄌᆞ광이, 모ᄒᆡᄒᆞ되 金宗直김종직이 弔義帝文조의뎨문으로 世祖셰조ᄅᆞᆯ 誹謗비방ᄒᆞ얏다, ᄒᆞ야, 그 무덤을, ᄑᆡ여 屍身시신을 斬참ᄒᆞ고, 그 弟子뎨ᄌᆞᄂᆞᆫ, 죽이고, 귀양보ᄂᆡ니 此ᄎᆞᄂᆞᆫ 戊午士禍무오ᄉᆞ화오 ᄯᅩ 甲子士禍갑ᄌᆞᄉᆞ화...서명幼年必讀 | 자료명第十五課 本朝歷代 六
- 幼年必讀釋義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養ᄒᆞ고 風節을 激勵ᄒᆞᆫ 後라 英偉ᄒᆞᆫ 士子ㅣ 頗衆ᄒᆞ더니 不幸히 厄運을 屢遭ᄒᆞ니 其第一은 即戊午士禍오 第二ᄂᆞᆫ 甲子士禍라 戊午士禍ᄂᆞᆫ 初에 金馹孫이 史官이, 되야 李克墩이 全羅監司時에 先王喪을 當ᄒᆞ야 京師에 進香ᄒᆞᆯ ᄉᆡ 妓女ᄅᆞᆯ 載行ᄒᆞᆷ과, ᄯᅩ...서명幼年必讀釋義 | 자료명第十五課 本朝歷代 六
- ○동료들이 모두 모여 함께 밥을 먹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갑자사화에 아버지가 연루되어 온 가족이 충청도 괴산에 유배되었다가 1506년 중종반정으로 풀려났다. 李芑를 논박하다가 성주목사로 쫓겨나 유배중의 이문건과 조우하게 된다. 아들 中悅이 사사되는 비운을 겪는다. 李浚慶이 동생이다. 영공을 방문하니 대사간에 제수되었다고 한...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신문·잡지(1)
- 농은_1961_1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면 남 강신재 151 154~155 결락 갑자사화일화 박용구 158 내보 최관호 163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1
주제어사전(11)
-
갑자사화 / 甲子士禍 [정치·법제/정치]
1504년(연산군 10) 갑자년에 훈구사림파 중심의 부중 세력이 궁중 세력에게 받은 정치적인 탄압 사건. 이 사화의 결과, 궁중 세력이 승리해 정권을 잡고, 신진사류 세력은 완전히 몰락하였다. 무오사화가 기성 훈구 세력과 신진사류 세력의 정치 투쟁이었다고 하면, 갑자
-
김굉필 / 金宏弼 [종교·철학/유학]
1454-1504. 조선 성종, 연산군 때의 성리학자. 1498년 무오사화때 희천에 유배, 갑자사화때 사약을 받고 죽었다. 김종직의 문하에서 <소학>을 읽고 실천궁행을 강조했다. <소학>에서 제시한 생활규범을 적극적으로 실천하였다. 그의 도학정신은 조광조의 지치주의
-
이창신 / 李昌臣 [종교·철학/유학]
504년 갑자사화 때 섬으로 유배되었다. 그는 중국어·이문에 있어서 당대의 일인자였다.
-
김승경 / 金升卿 [종교·철학/유학]
오르기 전부터 이미 자질과 명성이 세상에 알려졌고, 또한 효성이 지극한 것으로 유명하였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연좌되어 부관참시의 추형을 당하였다.
-
사화 / 士禍 [종교·철학/유학]
조선 전기에 조신 및 선비들 사이에 일어났던 참혹한 사건. 세조, 성종 대에 이르러 주의, 정실, 향토 등의 관계로 여러 파벌이 생겨났다. 특히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이 컸다. 1498년 무오사화를 기점으로 1506년 갑자사화, 1519년 기묘사화, 1545년 을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