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갑인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9)
사전(136)
- 갑인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천(李蕆)‧김돈(金墩)‧김빈(金鑌)‧장영실(蔣英實)‧이세형(李世衡)‧정척(鄭陟)‧이순지(李純之) 등이 두 달 동안에 20여 만의 큰 중자(中字)인 대자(大字)와 소자(小字)를 만들었다. 갑인자 자본(字本)은 경연청(經筵廳)에 소장된 ≪효순사실 孝順事實≫‧≪위선...이칭별칭계유자|무신자|임진자|정유자|신묘자
- 갑인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434년에 만든 동활자(銅活字).정의1434년에 만든 동활자(銅活字).[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abinja | MR표기Kabinj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갑인자(甲寅字)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갑인자 갑인자 甲寅字 금속활자(金屬活字) 위부인자(衛夫人字) 경진자(庚辰字), 계미자(癸未字), 계유자(癸酉字), 무신자(戊申字), 무오자(戊午字), 사주갑인자(四鑄甲寅字), 삼주갑인자(三鑄甲寅字), 오주갑인자(五鑄甲寅字), 육주갑인자...상위어금속활자(金屬活字) | 동의어위부인자(衛夫人字) | 관련어경진자(庚辰字), 계미자(癸未字), 계유자(癸酉字), 무신자(戊申字), 무오자(戊午字), 사주갑인자(四鑄甲寅字), 삼주갑인자(三鑄甲寅字), 오주갑인자(五鑄甲寅字), 육주갑인자(六鑄甲寅字), 임진자(壬辰字), 장영실(蔣英實), 재주갑인자(再鑄甲寅字), 정유자(丁酉字), 『주자사실(鑄字事實)』, 주자소(鑄字所), 초주갑인자(初鑄甲寅字)
- 자치통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사의 교재로 이용되었다. 본서는 서울 강남구 역삼동 837-14 송성문이 소장하고 있으며, 초주갑인자본(初鑄甲寅字本)으로 서지학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며, 특히 권수 편자(卷首 編者)의 관직과 이름은 2항(제1항 32자, 제2항 29자)으로 낱개 활자가 아니라...연계항목자치통감(資治通鑑)
- 내각고사절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81년(정조 5) 규장각신(奎章閣臣) 사이의 예절과 격례(格例)를 규정한 절목을 수록한 책. [내용] 1책. 개주갑인자본(改鑄甲寅字本). 내용은 작성경위를 밝힌 본문과 절목 34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문에서 당나라...
고서·고문서(59)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等雜?, 則實戶八百七十七, 一人兼數人之役者, 太半皆是, 而至於御保二名, 禁保一名, 束伍二名, 馬軍一名, 合六名, 壬子自榮川來, 水軍三名, 甲寅自比安來, 而水軍武學合九十九名, 則是屬於東萊水營者也。 東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經史門1_仁者言訒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仁者言訒 司馬牛問仁, 子曰: “仁者, 其言也訒.” 曰: “其言也訒, 斯謂之仁矣乎?” 子曰: “爲之難, 言之得無訒乎?” 此此: 와세다대본에는 ‘此’ 뒤에 ‘若’이 있다. 但作言行相顧, 義所包不廣, 卽於“仁”字不帖. 蓋仁者以己及物, 人之過, 視作己過. 牛之爲人, 雖不可考...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055 B015055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仁祖實錄 三年(1625) 三月 인조실록_10303019_003 ○命東陽尉申翊聖, 往書永昌大君碑文, 蓋因慈殿之敎也。 永昌大君㼁年八歲, 被奸兇構捏, 光海囚于江華府, 使宮女二人隨往。 慈殿造送一衣, 永昌拆視之, 則衣有汚點處,출처전거仁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顏淵問仁。子曰:“克己復禮爲仁。”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c.or.kr/inLink?DCI=ITKC_MP_0597A_0300_020_0110_2014_006_XML 006 橫渠曰:“禮儀三百,威儀三千,無一物之非仁。” ○案 張子此言,眞切體貼,非衆人所能道也。蓋仁者,人也,人與人之盡分也。父與子二人也,君與臣二人也,凡父子ㆍ君臣之間,...권차명心經密驗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孟子曰:“矢人豈不仁於函人哉,矢人惟恐不傷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知斯二者。”】 有子以孝悌合作仁說。【孟子以事親爲仁,從兄爲義】 仁可以兼四端也。蓋仁者,人也,所以與人也。義與禮智,亦所以與人,故終歸於仁。若論其發動之始,則有以惻怛動者,有以羞恥動者,不必同也。 214 ~ 215쪽권차명心經密驗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신문·잡지(10)
-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 1 舍利靈應記 사리영응기 형태서지 金守溫 記 朝鮮 韓國 活字本(初鑄甲寅字混入補字版)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1449年(世宗...대표표제어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 1 | 대표서명舍利靈應記 | 한글서명사리영응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金剛般若波羅密經五家解說誼) 2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寅字覆刻) 蔚山 雲興寺 1681年(肅宗 7) 1卷1冊(零本) 34.3x22.0 永樂乙未(1415)六月日涵虛堂衲守伊盥水焚香謹序 康熙二十年辛酉(1681)四月日慶尙道蔚山圓寂山雲興寺刊 H7, p.10. 個人所藏(金敏榮)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대표표제어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金剛般若波羅密經五家解說誼) 21 | 대표서명金剛般若波羅密經五家解說誼 | 한글서명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 | 서지형태형태서지
-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金剛般若波羅密經五家解說誼) 2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寅字覆刻)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朝鮮中期] 1卷1冊(零本) 37.2x25.0 H7, p.10. 個人所藏(金敏榮)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金敏榮 所藏)古書目錄, 2007, p.29.대표표제어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金剛般若波羅密經五家解說誼) 22 | 대표서명金剛般若波羅密經五家解說誼 | 한글서명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 | 서지형태형태서지
-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金剛般若波羅密經五家解說誼) 3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寅字覆刻)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朝鮮中期] 1卷1冊(零本) 38.7x24.7 佛紀二九五九年(1932)九月二十四日金月波和尙會上 H7, p.10. 個人所藏(金敏榮)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金敏榮 所藏)古書目錄, 2007, p.29...대표표제어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金剛般若波羅密經五家解說誼) 34 | 대표서명金剛般若波羅密經五家解說誼 | 한글서명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 | 서지형태형태서지
-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 1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 14 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 형태서지 顯正論 己和 著 朝鮮 韓國 金屬活字本(初鑄甲寅字) [發行地不...대표표제어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 14 | 대표서명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 | 한글서명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기타자료(4)
- 왜의 사마숙녜가 이파이와 과고를 백제에 보내 초고왕을 위로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摩宿禰 便自卓淳還之也 (日本書紀 9 神功紀) 『일본서기』의 신공황후, 응신천황기의 한반도 관계 기사는 그 연대가 『삼국사기』 등 한국 측 사료와 내용을 비교해 보았을 때 120년 즉 이주갑인상(二周甲引上)되어 있다는 것이 일반의 인식이다. 예를 들어 『일본서기』...대표표제어왜의 사마숙녜가 이파이와 과고를 백제에 보내 초고왕을 위로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246년(丙寅/고구려 동천왕 20/백제 고이왕 13/신라 조분이사금 17/魏 正始 7/倭 神功 46)
- 백제가 왜에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사료와 내용을 비교해 보았을 때 120년 즉 이주갑인상(二周甲引上)되어 있다는 것이 일반의 인식이다. 상기 『일본서기』 신공황후 섭정 47년조는 백제 사신의 이름에 구저(久氐) 등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동 46년조와 일련의 기사로 보이며 따라서 동 46년조의 경우와...대표표제어백제가 왜에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247년(丁卯/신라 조분이사금 18, 첨해이사금 1/고구려 동천왕 21/백제 고이왕 14/魏 正始 8/倭 神功 47)
- 왜가 신라에 천웅장언(千熊長彦)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일본서기』의 신공황후, 응신천황기의 한반도 관계 기사는 그 연대가 『삼국사기』 등 한국 측 사료와 내용을 비교해 보았을 때 120년 즉 이주갑인상(二周甲引上)되어 있다는 것이 일반의 인식이다. 상기 『일본서기』 신공황후 섭정 47년조는 백제 사신의 이름에 구저(久氐)...대표표제어왜가 신라에 천웅장언(千熊長彦)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367년(丁卯/신라 나물이사금 12/고구려 고국원왕 37/백제 근초고왕 22/東晉 太和 2/倭 仁德 55)
- 백제가 왜에 구저(久氐)를, 신라가 왜에 조사(調使)를 보내다. 왜가 신라에 천웅장언(千熊長彦)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神功紀) 『일본서기』의 신공황후, 응신천황기의 한반도 관계 기사는 그 연대가 『삼국사기』 등 한국 측 사료와 내용을 비교해 보았을 때 120년 즉 이주갑인상(二周甲引上)되어 있다는 것이 일반의 인식이다. 상기 『일본서기』 신공황후 섭정 47년조는 백제 사신의 이름에 구...대표표제어백제가 왜에 구저(久氐)를, 신라가 왜에 조사(調使)를 보내다. 왜가 신라에 천웅장언(千熊長彦)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367년(丁卯/신라 나물이사금 12/고구려 고국원왕 37/백제 근초고왕 22/東晉 太和 2/倭 仁德 55)
주제어사전(14)
-
갑인자 / 甲寅字 [언론·출판]
1434년(세종 16) 주자소에서 만든 동활자. 1420년에 만든 경자자의 자체가 가늘고 빽빽하여 보기가 어려워지자 좀더 큰 활자가 필요하다하여 1434년 갑인년에 왕명으로 주조된 활자이다.
-
고려사절요(갑인자본) / 高麗史節要 [역사/고려시대사]
1452년 김종서 등이 『고려사』를 저본으로 찬수한 편년체 역사서. 1452년(문종 2)에 김종서(金宗瑞) 등이 왕명을 받고 『고려사(高麗史)』를 저본으로 내용을 축약하여 5개월 만에 찬수(纂修)한 편년체 역사서이다. 2010년 12월 8일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5
-
서경언해 / 書經諺解 [언어/언어/문자]
사기(內賜記)를 가진 판본들이 현존하지만, 이 『서경언해』만은 내사기를 가진 것이 없다. 현재 전하는 판본 중 1695년(숙종 21)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신자활자본(戊申字活字本)이 최고본으로 보인다. 그리고 간행연도를 알 수 없는 개주갑인자본(改鑄甲寅字本)이 있
-
분류보주이태백시 / 分類補註李太白詩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이백(二伯, 唐) 저, 양제현(楊齊賢, 明) 집주, 소사빈(蕭士贇) 보주, 금속활자본(초주갑인자), 16세기 이전, 1책(전 25권 7책). 표제는 이태백시(李太白詩), 판심제는 이시주(李詩註)로 되어 있다. 당대 이백(李伯)의 시와
-
유중외대소민인등척사윤음 / 諭中外大小民人等斥邪綸音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조령·주의류(詔令·奏議類) 헌종(憲宗) 찬, 금속활자본(갑인자), 1839년(헌종 5), 불분권 1책(한문 7, 언문 9, 합 16장).政院傳敎 1839년 10월 18일에 천주교를 배격하는 내용의 척사윤음이다. 한문윤음 뒤에 언문윤음이 합본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