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갑신정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99)
사전(448)
- 신복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00여명을 약 1년 정도 신식으로 훈련시켰다. 이 군인들이 뒤에 친군(親軍) 전영(前營)과 후영에 전속되어 갑신정변 때 그의 지휘하에 행동대로 활약하였다. 1884년 12월 4일 갑신정변 때 전위영 병졸 40여명을 인솔하고 대신들이 출입하는 금호문 (金虎...
- 신응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58(철종 9)∼1928. 조선 말기의 무신. [내용] 육군참위로 있으며 박영효(朴泳孝)의 심복이 되었다. 1884년(고종 21) 갑신정변이 일어나자 서재필(徐載弼)ㆍ정난교(鄭蘭敎) 등과 함께 사관생도의 신분으로 국왕과 비빈들을 경우...
- 이규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정객. [내용] 1884년(고종 21) 김옥균(金玉均) 등이 갑신정변을 일으켰을 때 서재필(徐載弼)ㆍ김봉균(金鳳均)ㆍ유혁로(柳赫魯)ㆍ박제형(朴齊炯)ㆍ이인종(李寅鍾)ㆍ이창규(李昌奎) 등과 함께 이은종...
- 이석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정객. [내용] 1884년 갑신정변 때 김봉균(金鳳均)ㆍ이은종(李殷鍾)ㆍ황용택(黃龍澤)ㆍ윤경순(尹景純)ㆍ신복모(申福模)ㆍ박삼룡(朴三龍) 등과 함께 정변의 행동대원으로 참가하였다. 정변이 있던...
- 김봉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4(고종 21). 조선 말기의 정객. [내용] 1884년에 김옥균(金玉均)‧박영효(朴泳孝)‧서광범(徐光範) 등의 급진개화당 인사들이 갑신정변을 추진할 때 모의과정에서부터 적극 참여하였던 씨름장사이다. 1884년 10월 1...
단행본(1)
- 고종의 인사정책과 리더십 [고종의 국정운영과 리더십 | 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저자 : 장영숙 ... | 출판사 : 역사공간 | 출판일 : 20201021역사의 전환점마다 고종은 현실회피적 인내와 방관자적 모습을 보였다. 여러 차례 왕권의 위기를 겪는 속에서 가까스로 전제군주권을 회복하긴 했으나 변화를 요구하는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한 채 독단적인 군주의 길을 걸었다. 빠르고 정확한 판단력과 강력한 결단력을 요구하는, ...
고서·고문서(173)
- 조선에서 갑신정변이 발생하여, 조선의 국왕이 묄렌도르프의 도움을 받아 러시아의 보호 하에 있다.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국립해군함대문서보관소 | 발신일1884.12.04
- Его Превосходительству И.А. Шестакову и др.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갑신정변의 발발과 정보수집 차 시페이예르의 조선 파견 및 일본의 조선 항구 점령 가능성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국립해군함대문서보관소 | 발신일1884.12.05. 외
- Его Превосходительству И.А. Шестакову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일본이 평화와우호적 의향을 표명하고 있다. 조선에서 심각한 충돌이 가능한 만큼, 우리의 행동 수단을 강화해야 한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일본이나 중국과의 충돌을 피해야 한다.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국립해군함대문서보관소 | 발신일1884.12.19.
- 갑신정변(甲申政變)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현소장처보령 천궁 경주김씨
- 갑신정변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갑신정변 보고 갑신정변 과정과 청일 양국의 충돌 Budler Bismarck 1884.12.08 1885.01.26 제물포 베를...대표표제어갑신정변 보고 | 발신자Budler | 수신자Bismarck | 발신지제물포 | 수신지베를린
기초학문(2)
- 갑신정변 전후 개화개념의 내포와 표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866313 한국연구재단 한림과학원 2008 갑신정변 전후 개화개념의 내포와 표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08
- 갑신정변과 입헌주의-근대입헌주의 정치체제론 비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종익, 게재일 : 201147377 전종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갑신정변과 입헌주의-근대입헌주의 정치체제론 비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18)
- 갑신정변 회고담 : 박영효씨를 만난 이야기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정치가평론 갑신정변 회고담 : 박영효씨를 만난 이야기 정치·법제 문헌 현대 1931년 3월 이광수 동광 19호 평론 4 이 글은 이광수가 갑신정변의 주역 중 마지막 생존자인 박영효를 우연한 기회에 만나게 되어 갑신정변에 대한 이야기...대표표제어갑신정변 회고담 : 박영효씨를 만난 이야기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이광수 | 출처동광 19호 | 키워드갑신정변, 이광수, 박영효, 김옥균, 혁명, 조선의 전망
- 민세안재홍전집 : 東京留學生과그活躍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796 1933 1 15 1 1 黃錫禹 황석우 半島에幾多人材를내인 英‧美‧露‧日 留學史 東京留學生과그活躍 잡지 삼천리 34호, 5권 1호 22~26쪽 동정 교육 간접자료 선집외 丙子修好條約, 甲申...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交友錄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中央學校, 中東學校, 光文會, 東亞日報, 百五人事件, 太平洋會議, 甲申政變, 同志會, 興士團, 東明, 時代日報 B19350615삼천02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12월5일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9) 권리 의무론 12월5일 정치·법제 문헌 근대 1884년 김옥균저,조일문역 갑신일록(甲申日錄)(서울:建國大學校出版部, 1977)(pp.95-100) 저술 6 이 글은 김옥균이 갑신정변을 일으킬 당시에 대해 서술하는 글임. 12...대표표제어12월5일 | 자료유형저술 | 집필자김옥균저,조일문역 | 출처갑신일록(甲申日錄)(서울:建國大學校出版部, 1977)(pp.95-100) | 키워드갑신정변, 김옥균, 박영효, 조선 개화당, 청나라
- 서재필 계몽구국의 실천가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의 개화와 각성에 얼마나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지, 또한 조선 독립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민중의 각성을 꼽고 있었는지를 서술한다. 이러한 믿음 위에서 갑신정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미국 망명을 해야 했던 과정과 열강들이 우리나라를 침략했을 때 나라의 지원을 받아 민...대표표제어서재필 계몽구국의 실천가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이현종 | 출처월간중앙 79 | 키워드서재필, 독립신문, 독립협회, 갑신정변, 독립문
멀티미디어(157)
- . 정약용의 경세론 9주차. 갑신정변의 주동자, 김옥균의 개혁론 58주차. 역사학자 백남운의 사회개혁론 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김윤지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이정철 교수 퇴계학연구원 전임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조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 정약용의 경세론 9주차. 갑신정변의 주동자, 김옥균의 개혁론 59주차. 역사학자 백남운의 사회개혁론 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김윤지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이정철 교수 퇴계학연구원 전임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조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 정약용의 경세론 9주차. 갑신정변의 주동자, 김옥균의 개혁론 60주차. 역사학자 백남운의 사회개혁론 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김윤지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이정철 교수 퇴계학연구원 전임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조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 정약용의 경세론 9주차. 갑신정변의 주동자, 김옥균의 개혁론 61주차. 역사학자 백남운의 사회개혁론 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김윤지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이정철 교수 퇴계학연구원 전임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조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 정약용의 경세론 9주차. 갑신정변의 주동자, 김옥균의 개혁론 62주차. 역사학자 백남운의 사회개혁론 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김윤지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이정철 교수 퇴계학연구원 전임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조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연구과제(1)
-
한국근대 민족종교문화 지식지도 DB구축(1860-1945)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박광수 | 원광대학교 | 2014 | 국내 | 전북
주제어사전(45)
-
갑신정변 / 甲申政變 [정치·법제/정치]
1884년 개화당이 조선의 완전 자주독립과 자주 근대화를 추구하여 일으킨 정변. 갑신정변의 배경은 청국의 조선 자주독립의 침해와 조선 개화당의 자주근대화정책에 대한 청국 및 민비 수구파의 저지와 탄압이었다. 개화당은 청국의 조선에 대한 속방화정책과 개화 정책에 대한
-
김옥균 / 金玉均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정치가·개화운동가(1851∼1894). 갑신정변을 주도하였다. 갑신정변에 투영된 김옥균의 사상 속에는 문벌의 폐지, 인민평등 등 근대사상을 기초로 하여 낡은 왕정사 그 자체에 어떤 궁극적 해답을 주려는 혁명적 의도가 들어 있었다. 저서로는《기화근사》·
-
다케조에 신이치로 / 竹添進一郞 [정치·법제/외교]
1842-1917. 일본 외교관, 갑신정변 당시 조선 주재 일본공사. 조선의 개화파 지원. 1882년 11월 6일 조선국 변리공사가 되어서 조선으로 파견되었다. 1883년에는 외무독판 민영목과 조일해저전선부설조약을 체결하기도 하였다. 다케조에는 갑신정변의 사후 수습을
-
서광범 / 徐光範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관료·정치가(1859∼1897). 주미 한국공사. 갑신정변을 주도한 개화파 일원. 김옥균·박영효 등과 함께 갑신정변을 일으켰고, 실패하자 일본으로 망명했다. 이후 제2차·제4차 김홍집내각에서 법무대신과 학부대신을 역임했다. 이때 박영효와 함께 제2차 갑오
-
갑신일록 / 甲申日錄 [역사/근대사]
김옥균이 갑신정변에 관해 기록한 실기. 한문으로 된 일기체로서 총 1만9400여자에 이르며 1885년 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김옥균은 갑신정변에서 실패한 후 일본에 망명해 있는 동안 정변의 주역으로서 자신이 체험한 사실을 후세에 남기겠다는 책임감은 물론, 갑신정